728x90
반응형

연필 소묘 연습지 입니다.

This is Dessin practice paper.




아래 파일 혹은 이미지를 내려받기 하셔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You can use files or images by downloading them.


dessin practice-07.zip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화요일 이론 공부 시간입니다. 



 조형 이론에서 각 요소에 대해서 하나씩 알아보는 시간. 지금까지는 형과 형태를 이루는데까지 포함되거나 기초적인 요소들을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색인데요. 형태 외에 그림에 영향을 주게 될 요소들의 이야기가 되겠습니다.



 질감(Texture)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시각적 촉감과 재질감이란 말이 조금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는데 예로 들면 이해하기 편할 것 같습니다. 시각적 촉감은 명암을 이용해서 특정 질감을 직접 그려내는 것입니다. 돌의 질감이나 나무 질감 같은 것 말이죠. 재질감은 만졌을 때 느껴지는 질감이에요. 유화같은 재료를 사용할 때 특히 많이 들어나는데 사용한 재료 자체의 만질 수 있는질감을 말합니다.


 그럼 저는 수요일 소묘 시간에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이론(Theory) > 그림이론(Art The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론[Theory]09 - 통일(Unity)  (0) 2019.04.02
이론[Theory]08 - 공간(Space)  (0) 2019.03.26
이론[Theory]06 - 색(Color)  (0) 2019.03.12
이론[Theory]05 - 형태(Form)  (0) 2019.03.05
이론[Theory]04 - 형(Shape)  (0) 2019.02.26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화요일 색연필 그림 시간 입니다.



 색연필로 꽃 그리기 시간. 이번 시간에도 한창 피어나고 있을 꽃을 그려보겠습니다. 목련을 그릴건데요. 그냥 목련은 하얘서 잘 안보이니까 자목련을 그려보겠습니다. 은은한 자색빛을 띤 목련.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자목련(lily magnolia) 그리기

  Step 1 - 중심선을 긋고 꽃의 범위에 맞춰서 영역을 정합니다.


  Step 2 - 꽃잎과 꽃 받침의 형태를 간단히 그립니다.

 

  Step 3 - 꽃잎과 꽃받침의 자세한 형태를 스케치합니다.


  Step 4 - 분홍색, 올리브 그린, 갈색으로 전체적인 밑색을 칠합니다.


  Step 5 - 분홍과 고동색으로 꽃잎 방향에 맞춰서 명암을 더하여 칠합니다.


  Step 6 - 자주, 보라색으로 꽃잎 결 방향과 볼륨을 고려해서 정리하듯 색을 넣습니다.고동색으로 꽃받침과 가지부분의 명암을 넣어주고 전체적으로 정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꽃잎 자체의 진한 색을 띠는 꽃들도 있지만 목련처럼 흰색에 색이 스며든 것 같은 색을 가진 꽃들도 있습니다. 색연필로 색을 칠할 때도 그런 색감을 잘 살려주면 좋겠습니다.


 여기까지하고 저는 오후에 이론 시간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월요일. 기계장치에 공부 시간입니다.



 기계장치들을 구성하는 부품을 그려보는 시간. 이번 시간에는 초반부터 계속 등장했지만 언급하지 않았던 부품입니다. 축 인데요. 나사를 연결하거나 키를 연결할 때 보이던 길쭉한 기둥같은 부품 그것들의 통칭이죠.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축(Shaft)

 축은 단순한 기둥이나 지지대가 아니라고 나옵니다. 특정한 동력장치를 통해서 다른 장치로 동력을 전달하는 부품으로서 축이 사용됩니다. 차의 바퀴 등을  연결하는 차축, 전동기 등에 연결되는 전동축, 증기기관의 크랭크 축 처럼 목적에 따라 여러가지 축이 있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단순해서 그리는 목적 보다는 이용 목적이 무엇인지 공부하는 시간이었습니다. 축을 봤으니까 축에 연결되는 다른 부품들도 알아봐야겠죠. 다음 시간에 알아보겠습니다.


 저는 내일 화요일 색연필 그림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월요일. 사물 그리기 시간입니다.



 사물을 그리기를 위한 투시 연습 시간. 3점 투시에서 도형을 그리고 있습니다. 두 번째 도형은 당연히 원기둥이죠. 3점 원기둥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3점 원기둥(3p Cylinder)

 Step 1 - 눈높이선(Eye Level)을 긋습니다. 눈높이선을 기준으로 위쪽은 올려다보는 시선이 될 것이고 아래는 내려다보는 시선이 되겠습니다. 


 Step 2 - 눈높이선의 양쪽 끝에 소실점 2개를 찍습니다. 그리고 위쪽 혹은 아래쪽에 임의의 3번째 점을 찍습니다.


 Step 3 - 랜덤한 위치에 육면체를 그리기 위한 점을 몇 개 찍습니다. 


 Step 4 - 위와 아래의 3번 소실점과 육면체 점을 선으로 연결시킵니다.


 Step 5 - 그려진 선에서 육면체의 높이로 설정할 임의의 점을 그립니다. 그리고 처음 그렸던 점과 높이 점을 1, 2번 소실점과 연결합니다.


 Step 6 - 육면체 점과 1,2번 소실점 사이에서 그려진 두 선에서 넓이를 결정할 점을 그리고 3번 소실점과 연결합니다.


 Step 7 - 넓이 점과 보이지 않는 교차점들을 1, 2번 소실점과 연결하고 정리하여 육면체를 완성합니다.


 Step 8 - 한 면을 임의로 선택하고 면의 각 모서리에서 중심점을 연결하여 중심선을 긋습니다. 그 선을 이용하여 원을 그립니다. 반대면에도 같은 방법으로 원을 그립니다.


 Step 9 - 두 원을 투시 방향에 맞춰서 연결하여 원기둥을 완성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세 번째 점이 하나면 형태 왜곡이 심하고 그리기도 힘들어서 각 도형 별로 점을 다르게 했습니다. 이렇게 그려도 결국 각 도형을 그릴 때 사용하는 점은 3개니까 3점 투시가 되겠죠? 


 저는 오후에 기계장치 그리기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