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화요일 색연필 그림 시간 입니다.



 색연필로 잎 그리기. 세 번째 그려볼 잎은 느티나무 잎 입니다.영어로 톱날잎 나무라고 되어있죠? 예전에도 연필로 간단히 그려보았지만 잎에 색을 넣게 되면 생각보다 어려울 것 같은 모양입니다. 시작해보겠습니다. 


<준비물>



  느티나무 잎(Saw-leaf) 그리기

  Step 1 -  잎의 방향, 중앙 잎맥을 그리기 위한 선을 긋고, 타원형으로 길쭉하게 형태를 만듭니다.


  Step 2 -  톱날같은 잎의 형태를 만들고 간단하게 잎맥들을 나누어 그립니다.

 

  Step 3 - 잎의 밝은 부분, 중간 부분, 어두운 부분을 나누어 영역별로 스케치합니다.


  Step 4 - 잎의 밝은 부분, 중간 부분 위주로 노란색, 연두색 등으로 채워넣습니다.


  Step 5 - 색이 겹쳐지는 경계부분과 어두운 부분 위주로 색을 좀 더 나누어 칠합니다. 


  Step 6 -  잎의 외형과 잎맥에 맞춰 전체적으로 정리하면서 묘사합니다. 부분부분 시들거나 병충해를 입은 부분에 갈색과 검정으로 묘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밝은 영역과 중간영역, 어두운 영역 순서대로 영역을 나누고 묘사해가는 방법을 사용하면서 그림은 괜찮아 보이지만 쉬운 방법은 아닌 것 같은데요. 조만간 좀 더 쉬운 방법을 찾아봐야겠습니다. 이건 저를 위해서도 그렇지만 보시는 분들을 위해서라도 좀 더 보편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 같아요.


 저는 내일 연필 소묘 시간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화요일은 식물 그리기를 하는 날 입니다. 


 지난 시간 창 형태의 대나무 잎을 그렸습니다. 만족스럽지는 않지만 그려보았고 오늘은 잎의 가장자리가 톱날 형태로 되어있는 잎을 가지고 있는 나뭇잎을 골라서 그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그려볼 잎은 느티나무 잎 입니다.  속씨식물 문, 쌍떡잎식물 강, 쐐기풀목 목 이라고 검색해보니 나오네요. 검색할 때 마다 느끼지만 뭔가 생물적으로 비슷한 것이 있으니까 분류를 했겠지만 외형적으로 의외인 경우가 많습니다. 쐐기풀목이라니... 느티나무는 한국, 일본, 중국, 몽골, 시베리아 유럽 등지에서 자란다고 합니다. 주로 동쪽에서 몰려 더위보다는 추위에 강해보입니다. 지구온난화가 지속되면 사라지게 되지는 않을지 벌써부터 걱정을 해봅니다.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느티나무 잎 그리기


  Step 1. 중심 잎맥을 그리고 길쭉한 타원형을 그립니다.


  Step 2. 중심잎맥을 스케치하고 잎맥을 대칭이 되도록 그립니다.


  Step 3. 가장자리의 톱날형태의 잎모양을 그리면서 외곽을 정리해주고 간단한 명암을 넣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이제 알게 되었는데 중심의 잎맥에서 가장자리로 뻗어나가는 잎맥을 측맥이라고 한다네요. 곁맥, 옆맥이라고도 하는 것 같은데 지식은 파면 팔수록 자꾸 다른게 나오네요. 오늘은 여기쯤에서 묻어놔야겠습니다.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