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리입니다.
수요일의 연필소묘 연습 시간 입니다.
연필 소묘로 사물 그리기 시간. 이번 시간은 솔방울을 그려보겠습니다. 솔방울은 우선 분류상으로는 식물인데요. 정물 소묘를 하면 사과라던가 바나나같은
과일도 정물로 그리는 경우가 많잖아요. 그러니까 솔방울도 그런 정물로 취급해서 그려보겠습니다. 너무 하나하나 분류하고 엄격히하면 자유로운 발상이 힘들거에요. 아마도 말이죠.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 켄트지(180g/㎡ 이상), 4B연필, 미술용 지우개>
- 켄트지 앞부분은 잘 지워지고 부드럽고 결이 일정합니다. 구분해서 그리시면 도움이 되겠습니다.
솔방울(Pine Cone) 그리기
Step 1 - 동그라미를 그려서 기본형태로 삼습니다.
Step 2 - 솔방울의 세로 중심과 가로 중심에서 가까운 형태를 기준으로 외형을 간단하게 그려나갑니다.
Step 3 - 그림자로 묶여지는 어둠 영역을 제외한 주요 형태를 스케치하면서 전체적인 형태를 다듬습니다.
Step 4 - 밝은 부분을 제외하고 1번 정도의 밑색을 전체적으로 칠합니다.
Step 5 - 어두운 부분 위주로 묶어서 연필을 쌓듯이 그려서 명암을 구분합니다. 솔방울의 갈라지는 시작부분의 더 진한 부분을 더 진하게 칠합니다.
Step 6 - 솔방울의 나눠지는 부분의 깊은 어둠과 중간면의 어둠을 칠합니다.
Step 7 - 명암을 좀 더 세분화하고 솔방울 질감과 명암에 맞춰서 묘사합니다. 그림자를 문질러 부드럽게 표현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솔방울의 형태를 찾아가며 묘사를 하면 시간은 오래 걸립니다. 그래도 이런 형태를 그릴 때면 집중도 잘 되죠? 밋밋한 형태보다는 이렇게 묘사가 많은 형태가 그릴 때 머리는 덜 아프다는 이야기죠. 결과적으로 오래 걸렸고 오랫동안 집중한 그림이고 저는 끝나고 누워버렸습니다.
저는 오후 오일파스텔 시간으로 돌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드로잉 연습(Drawing Practice) > 연필 소묘(Dess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물[Object]18 - 항아리(Pot) (0) | 2018.11.07 |
---|---|
사물[Object]17 - 연필깎이(Pencil Sharpener) (0) | 2018.10.31 |
사물[Object]15 - 성냥(Matches) (0) | 2018.10.17 |
사물[Object]14 - 테이프(Tape) (0) | 2018.10.10 |
사물[Object]13 - 스테이플러(Stapler) (0) | 2018.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