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월요일. 기계장치 공부 시간입니다.



 기계장치들을 구성하는 부품을 그려보는 시간. 지난 시간에는 축을 그렸었죠? 이번에는 그 축을 이어서 축이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바로 시작할게요.


<준비물>


  축이음(Shaft Coupling)

 영어로는 커플링입니다. 축이음이라는 말처럼 축과 축을 잇는 부품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이을 수 있는 것은 아니죠? 축의 종류가 여러가지인 만큼 어울리고 맞는 축이음을 사용해야 합니다. 구조나, 고정방식, 회전수 등을 고려해서 가장 알맞은 부품을 사용해야겠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축이음의 영어가 커플링인 탓에 한글로 그대로 커플링으로 검색을 했었는데요. 여러분들의 예상처럼 연인들을 위한 커플링만 페이지 가득 나왔습니다. 검색을 하실 때는 축이음이나 영어로 검색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저는 내일 화요일 색연필 그림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월요일. 기계장치에 공부 시간입니다.



 기계장치들을 구성하는 부품을 그려보는 시간. 이번 시간에는 초반부터 계속 등장했지만 언급하지 않았던 부품입니다. 축 인데요. 나사를 연결하거나 키를 연결할 때 보이던 길쭉한 기둥같은 부품 그것들의 통칭이죠.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축(Shaft)

 축은 단순한 기둥이나 지지대가 아니라고 나옵니다. 특정한 동력장치를 통해서 다른 장치로 동력을 전달하는 부품으로서 축이 사용됩니다. 차의 바퀴 등을  연결하는 차축, 전동기 등에 연결되는 전동축, 증기기관의 크랭크 축 처럼 목적에 따라 여러가지 축이 있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단순해서 그리는 목적 보다는 이용 목적이 무엇인지 공부하는 시간이었습니다. 축을 봤으니까 축에 연결되는 다른 부품들도 알아봐야겠죠. 다음 시간에 알아보겠습니다.


 저는 내일 화요일 색연필 그림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월요일. 기계장치에 공부 시간입니다.



 기계장치들을 구성하는 부품을 그려보는 시간. 지난 시간에 나사를 그려었는데 이번 시간에는 그 나사를 이용한 대표적인 부품 중 하나인 볼트와 너트를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그 사이로 끼어든 와셔까지 함께 그려보고 알아보겠습니다. 


<준비물>


  볼트/너트/와셔(Bolt/Nut/Washer)

 볼트(bolt) - 볼트는 일종의 나사못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끝이 뾰족하지 않고 나사부분을 다른 부분에 연결하여 두 가지 물체나 목적을 가진 볼트를 체결합니다.


 너트(Nut) - 주로 구멍에 암나사를 가지고 있어서 볼트와 함께 사물을 체결 시키는 용도의 부품입니다. 주로 육각형이지만 다른 형태도 있습니다.


 와셔(Washer) - 와셔는 볼트나 나사못을 연결할때 그 사이에 함께 넣어 체결하는 부품입니다. 주로 볼트의 구멍이 크거나 연결시키는 부분의 표면이 고르지 않을 때, 헐거움 방지들을 이유로 사용한다고 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이번에는 3가지나 있어나 다른 종류의 그림들이 없었는데요. 언제나처럼 볼트, 너트, 와셔도 여러가지 형태와 목적을 가집니다.


 저는 내일 화요일 색연필 그림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월요일. 기계장치에 공부 시간입니다.



 기계장치들을 구성하는 부품을 그려보는 시간. 이번 시간에는 나사를 그려보겠습니다. 오랜만에 아는 이름이 나왔습니다. 인류의 위대한 발명품 중에 하나인 나사입니다. 그 중에서 저는 나사못을 위주로 그려보고 알아보겠습니다.


<준비물>


  나사(Screw)

 - 설명에는 직삼각형 종이를 원통에 감았을 때 그 빗변이 만드는 나사선을 따라 홈을 판 것이라고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이 나사를 이용하여 둘 이상의 물체를 고정시킵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나사로는 나사못 외에도 볼트, 너트 등 다양합니다. 그리고 김기는 방향에 따라 오른나사와 왼나사가 있는데 대부분의 경우 오른나사를 많이 사용합니다. 제 그림에서 나사의 방향이 잘못되었다고 수정표시가 되어있죠?그림이 바로 왼나사입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대충 용도와 생김새만 알려고 했더니 이렇게 수정사항이 생겨나는 것인데 말이죠. 공부할 때는 좀 더 신중히 해야겠습니다.


 저는 내일 화요일 색연필 그림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월요일. 기계장치에 공부 시간입니다.



 기계장치들을 구성하는 부품을 그려보는 시간. 이번에는 리벳입니다. 이번에도 생소한 이름이네요. 하지만 이미지를 보면서 저는 이것이 무엇인지 알게 되었습니다. 전쟁과 관련된 만화나 영화를 보다보면 자주 나오는 것이었기 때문이죠. 리벳 그림으로 그리면서 알아보겠습니다. 


<준비물>


  리벳(Rivet)

 - 강철판을 포개어 놓고 판을 관통하는 구멍을 뚫은 후 그 그멍에 가열한 리벳을 꽂고 그 형태를 변형 시켜서 영구적으로 결합하는 목적을 가지 기계요소란고 합니다. 이렇게 리벳을 박는 일을 리벳팅이라고 합니다. 선박이나 다리, 건축물 등 많은 곳에 사용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만화나 영화에서 탱크나 배가 나오는 장면이 있었는데 그때마다 탱크나 선박에 일렬로 박혀있던 둥근 형태의 못이 보였는데 그것이 리벳이었어요. 저는 단순히 철판에 못을 박아놓았네라고만 생각했었어요. 이렇게 또 하나 알게 되었네요. 


 저는 내일 화요일 색연필 그림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