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월요일. 기계장치에 공부 시간입니다.

 기계장치들을 구성하는 부품을 그려보고 알아보기. 이번 시간에는 벨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여기서 벨트는 허리띠가 아니죠? 기계를 작동시키기 위해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입니다. 알아보겠습니다. 

<준비물>



  벨트(Belt)


 모터 옆에 바퀴를 달고 그 바퀴의 홈에 벨트를 끼워 다른 바퀴를 돌리는 형태가 생각나네요. 이렇게 두 개의 벨트 풀리. 풀리가 저 바퀴를 말합니다. 두 개의 풀리에 벨트를 연결하여 벨트의 마찰을 이용해서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를 벨트 전동 이라고 합니다. 그림은 가장 흔한 평벨트로 오픈벨트(좌)와 크로스벨트(우)가 있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저는 이 장치를 예전에 시골 경운기에서 본 기억이 납니다. 아마 자동차 안에도 이런 장치가 있었던 것 같은데 그렇게 모터와 연결해서 동력을 전달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것 같습니다.

 잠시 후 월요일 크로키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잠시 후에 만나요. 감사합니다.



카카오TV에서 영상보기
네이버TV에서 영상보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월요일. 기계장치에 공부 시간입니다.

 기계장치들을 구성하는 부품을 그려보는 시간. 모름지기 기계장치, 스팀펑크 같은 장르를 그린다면 이 부품은 꼭 그릴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나사나, 파이프 등도 중요하지만 오늘 이 부품만큼 매력이 있다고는 생각되지 않습니다. 오늘 알아볼 부품은 톱니바퀴. 기어입니다.

<준비물>



  톱니바퀴(Gear)

 톱니바퀴는 말그대로 바퀴에 톱니같은 돌기들이 있는 부품입니다. 톱니바퀴들은 이 톱니를 맞물리며 회전하게 되는데 두 개 이상의 회전축 사이에 회전 혹은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이때 톱니가 많은 톱니바퀴를 큰기어, 톱니가 적은 톱니바퀴를 작은 기어 혹은 피니언이라고 합니다. 
 종류로는 가장 평범하게 옆으로 연결하는 평기어, 직각으로 연결하는 베벨기어, 작은 기어를 기어의 안쪽에서 돌아가게 만드는 내기어 등이 있습니다.(그림)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톱니바퀴는 따로 그리는 방법을 생각해봐야겠어요. 톱니하나하나를 그리는 것도 그렇고 쉽게 그리고 많이 그리고 싶으니까요. 여기까지입니다.

 잠시 후 월요일 크로키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잠시 후에 만나요. 감사합니다.



카카오TV에서 영상보기
네이버TV에서 영상보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월요일. 기계장치에 공부 시간입니다.


 기계장치들을 구성하는 부품을 그려보는 시간. 오늘은 밸브를 그려볼거에요. 간단하게 생각하면 수도꼭지도 밸브에 포함되겠네요.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밸브(Valve)

 밸브는 유량과 압력을 제어하는 장치 입니다. 수도꼭지에서 물의 양을 조절하고 가스밸브로 가스를 흘러나가게 제어하는 그런 장치라는 것이죠. 종류로는 크게 스톱밸브 / 슬루스밸브 / 체크밸브 / 감압밸브 등이 있습니다. 그림은 스톱밸브 중에서 글로브 밸브와 앨글 밸브를 그렸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기계장치 그리기니까 당연히 시간이 갈수록 점점 더 복잡해지고 어려워지겠죠? 조금씩 걱정이 되기 시작하네요. 재밌지만 후덜덜한 요즘입니다.

 오늘은 한 번더 찾아오겠습니다. 잠시 후에 만나요. 감사합니다.



카카오TV에서 영상보기
네이버TV에서 영상보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월요일. 기계장치에 공부 시간입니다.

 기계장치들을 구성하는 부품을 그려보는 시간. 이번에 그려볼 부품은 용수철. 스프링입니다. 스프링도 알게 모르게 많이 들어가는 부품 중 하나죠? 그려볼게요.

<준비물>

  스프링(Spring)

 스프링은 탄성, 변형 에너지를 이용한 기계부품중 하나입니다. 탄성이니까 원래 형태로 돌아가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아는 꽈배기같은 형태도 있지만 시계나 장난감 속에 소용돌이모양으로 감겨져서 에너지를 축적하고 있는 스프링 종류도 있습니다. 그밖에도 자동차에서 사용하는 충격완화용 스프링 등도 있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스프링이라는 부품은 단순히 형태 변형을 하는 것이 아니라 에너지를 담을 수 있다는 말에 뭔가 컨셉을 잡을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적어뒀다가 나중에 써먹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는 내일 화요일 색연필 그림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TV에서 영상보기
네이버TV에서 영상보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월요일. 기계장치에 공부 시간입니다.


 기계장치들을 구성하는 부품을 그려보는 시간. 이번 시간에도 축과 관련된 축 보조 부품 중 하나를 그려보겠습니다. 베어링이란 부품인데요.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준비물>


  베어링(Bearing)

 베어링에 대한 대략적인 설명은 회전중인 축의 위치를 고정하고 축에 하중을 지지하여 회전을 원할하게 하는 역할이라고 나와있습니다. 마찰과 관련이 있는 것 같습니다. 베어링에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고 있는데요. 
 그중 하나인 미끄럼 베어링(sliding bearing)은 축 표면을 그대로 감싸는 구조를 하고 있습니다. 그만큼 하중을 견디는 힘은 크지만 마찰저항은 크기 때문에 윤활유 구멍으로 윤활유를 공급하여 마찰을 줄이는 것으로 보입니다. 또 다른 베어링인 구름 베어링(rolling bearing)은 미끄럼 베어링과 반대로 축과의 마찰을 베어링 내부의 볼이나 롤러들을 이용하여 줄입니다. 마찰저항은 높지만 아무래도 미끄럼 베어링에 비해 하중을 견디는 힘은 약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 외에 베어링의 종류를 나누는 기준으로 하중 방향이 있습니다. 축과 수직으로 하중을 받을 경우에 맞는 구조로 제작된 베어링을 레디얼(radial) 베어링, 축방향으로 받을 경우에 맞는 구조로 제작된 베어링을 스러스트(thrust) 베어링이라고 한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저는 분명 예체능 계열이니까 문과라고 봐도 될 것 같은데요. 뭔가 다른 세상을 보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아직 시작도 하지않은 단계라는 것이죠. 앞으로 어떤 일이 벌어질지 예측하지 못하겠네요. 좋은 방향으로 흘러갔으면 좋겠네요.

 저는 내일 화요일 색연필 그림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TV에서 영상보기

네이버TV에서 영상보기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