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월요일. 기계장치에 공부 시간입니다.

 바퀴의 발전에 대해 그려보고 알아보고 있습니다. 지난 시간 통나무를 이용한 운반을 알아보았는데요. 이번 시간부터는 바퀴가 등장합니다. 하지만 아직은 단순합니다. 

<준비물>



 나무 바퀴(Wood Wheel)

 기원전 5천년 경이 되면 드디어 바퀴의 형태가 나타납니다. 바퀴라고는 하지만 단순히 통나무를 잘라서 원반의 형태를 만들고 축으로 연결시킨 바퀴달린 썰매 형태였다고 합니다. 이런 나무 바퀴는 통나무를 그대로 잘라서 사용해서 많이 무거웠다고 합니다. 하지만 통나무보다는 편리했겠죠?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다음 시간부터는 무거운 나무 원반 바퀴를 가볍게 만들면서 내구력을 높이는 방법들을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잠시 후 크로키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잠시 후에 만나요. 감사합니다.



카카오TV에서 영상보기
네이버TV에서 영상보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월요일. 기계장치에 공부 시간입니다.

 부품을 잠시 멈추고 이번 시간 부터는 바퀴에 대해 그려보겠습니다. 단순히 바퀴의 종류나 형태를 그려보기 보다는 바퀴가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알아보겠다는 생각입니다. 하지만 너무 파고 들어가지는 않겠습니다. 바퀴에서 다음 바퀴로 넘어가는 정도로만 알아보겠습니다. 첫 시간은 그냥 통나무입니다. 

<준비물>



 통나무 바퀴(Log Wheel)

 바퀴라고 하기 힘들지 모르겠지만 운송수단으로서 바퀴의 역할을 했다고 생각해서 그려보았습니다. 이런 통나무는 미끄럼 마찰을 굴림 마찰로 변화하여 저항 감소 시키는 원리로 바퀴의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인 바퀴는 바퀴와 축으로 구분되겠지만 통나무는 둥근 원기둥 형태로 축과 바퀴가 합쳐져있다고 볼 수도 있겠죠? 하지만 이런 통나무 운송은 방향 전환도 힘들고 무거운 통나무를 계속해서 옮겨야해서 효율적이지는 않겠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위의 이야기는 바퀴의 기원중 하나로 고대 피라미드 건축방법으로 가끔 볼 수 있었죠? 참고는 했지만 어디까지나 예상일뿐 저도 정확하게는 모르겠네요. 다음 시간에는 무겁고 방향도 바꾸기 어렵고 자원 소모도 심한 이 통나무 바퀴가 어떻게 변하게 되는지 다음 바퀴로 넘어가보겠습니다.

 잠시 후 크로키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잠시 후에 만나요. 감사합니다.



카카오TV에서 영상보기
네이버TV에서 영상보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월요일. 기계장치에 공부 시간입니다.

 기계장치들을 구성하는 부품을 그려보고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오늘은 전동장치들 중에서 마찰차를 그려볼거에요. 대충 그림을 보면 이해하겠지만 실제는 이름도 처음 들어봐서 뭔지 모르겠네요. 일단 그려볼게요.

<준비물>



  마찰차(Friction Wheel)

 차라는 것이 자동차의 차와 같은 뜻이었네요. 그야말로 바퀴였어요. 마찰차는 바퀴 접촉면의 마찰을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입니다. 직접적으로 닿는 면적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때문에 그에 맞는 여러가지 형태들이 있습니다. 원뿔형, 디스크형, 외접형,내접형 등 약간 톱니바퀴의 형태들과도 비슷해 보입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부품은 여기에서 잠시 멈추고 다음 주 부터는 바퀴의 형태와 발전에 대해 그려보겠습니다. 공부해와야겠네요.

 잠시 후 크로키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잠시 후에 만나요. 감사합니다.



카카오TV에서 영상보기
네이버TV에서 영상보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월요일. 기계장치에 공부 시간입니다.

 기계장치들을 구성하는 부품을 그려보고 알아보는 시간. 이번 시간에 동력을 전달하는 부품으로 로프를 가져왔습니다. 동아줄이죠.어떻게 보면 가장 기초적인 동력 전달 재료일텐데요. 그려보고 알아보겠습니다.

<준비물>



  로프(Rope)

 로프 전동은 체인 전동이나 벨트 전동처럼 로프를 이용한 구동장치입니다. 벨트 전동에서 벨트를 감는 바퀴를 벨트 풀리라고 했었습니다. 똑같이 로프 전동에서 로프를 감는 바퀴를 로프 풀리라고 하네요. 큰 동력을 전달하려면 로프 풀리와 로프를 옆으로 늘려서 여러 개의 로프를 사용하면 된다고 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로프 전동이라고 헤서 흔히 생각하는 동아줄만 생각할 수도 있지만 기계에서 사용하는 로프 중에는 얇은 와이어 가닥을 이용해서 만든 로프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튼튼하다는 것이죠.

 잠시 후 크로키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잠시 후에 만나요. 감사합니다.



카카오TV에서 영상보기
네이버TV에서 영상보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월요일. 기계장치에 공부 시간입니다.

 기계장치들을 구성하는 부품을 그려보고 알아보기. 톱니바퀴를 시작으로 계속해서 동력장치를 그리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도 이어서 체인 전동장치를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체인(Chain)

 체인 전동은 말 글대로 체인을 이용한 구동장치입니다. 체인은 다들 아실테니까 넘어가죠. 체인을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려면 기어가 필요합니다. 체인 전동에 사용되는 기어를 체인 스프로킷이라고 합니다. 체인에 맞는 톱니바퀴입니다. 이런 체인 전동은 축 간격이 긴 곳 보다는 짧은 간격에서 주로 사용된다고 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실생활에서 관찰할 수 있는 체인 전동하면 자전거 아니겠어요. 전동은 아닐까요? 그래도 관찰은 할 수 있겠네요. 그런데 이거 기어도 그리기 힘든데 체인 부분도 하나씩 그리려고하면 엄청 힘들겠어요. 생략을 많이 해야겠네요. 

 잠시 후 크로키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잠시 후에 만나요. 감사합니다.



카카오TV에서 영상보기
네이버TV에서 영상보기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