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목요일 인간 그리기 시간입니다.

 뼈와 근육 그리기. 이제 등뼈(Back Bone, Thoracic vertebrae) 모양들은 다 보았고 연결해서 보겠습니다. 합체 시작하겠습니다.

<준비물>

 

 등뼈(Back Bone) 그리기



  Step 1 - 앞, 뒤, 옆의 뼈의 너비를 정하고 12개의 뼈를 그리기 위해 등분을 나누어 그립니다.


  Step 2 - 뼈의 외형 위주로 간단히 나누어 그립니다.


  Step 3 - 뼈의 돌기, 홈 등을 더 자세히 그립니다.


  Step 4 - 전체적인 선을 정리하고 간단한 명암을 넣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이렇게 모아서 보면 지금까지 그렸던 등뼈들이 어디쯤에 있는 뼈인지 대략적으로 알 수 있겠죠? 위치와 쓰임새에 따라 형태들이 다르도록 진화되어 온 것 같아요. 저도 생물학은 알지 못하기 때문에 정확한 이야기는 할 수 없겠지만 신기하네요. 

 저는 오후에 캐릭터 시간으로 다시 찾아올께요. 감사합니다.



카카오TV에서 영상보기
네이버TV에서 영상보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목요일 인간 그리기 시간입니다.

 뼈와 근육 그리기. 등뼈(Back Bone, Thoracic vertebrae)를 형태 별로 그리고 있었죠. 개별 등뼈 마지막 시간인 11번과 12번 등뼈의 형태입니다. 바로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등뼈(Back Bone)T11~12 그리기



  Step 1 - 뼈의 너비를 정하고 간단한 형태를 그립니다.


  Step 2 - 뼈의 휘어지는 부분, 돌기 부분 등 외형을 간단히 나누어 그립니다.


  Step 3 - 뼈의 접합면,홈 등 더 자세히 그립니다.


  Step 4 - 전체적인 선을 정리하고 간단한 명암을 넣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얼핏보면 10번 등뼈도 여기에 속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만 잘 보시면 지난 번과 다르게 밋밋한 부분이 있죠? 다른 뼈가 붙을 수 있는 접합부위가 한 군데 적습니다. 등뼈는 갈비뼈와 연결되는데 1번에서 10번까지의 등뼈와 갈비뼈 두 개의 접합부분이 있지만 11번과 12번 등뼈와 갈비뼈는 접합부가 한 곳 뿐입니다.이유는 저도 모르겠네요. 크기가 줄어들면서 그렇게 되는 것인지 알게 되면 나중에 다시 한번 다뤄보겠습니다. 

 저는 오후에 캐릭터 시간으로 다시 찾아올께요. 감사합니다.



카카오TV에서 영상보기
네이버TV에서 영상보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목요일 인간 그리기 시간입니다.

 뼈와 근육 그리기. 다시 등뼈(Back Bone, Thoracic vertebrae) 그리기 시작입니다. 지난 시간 1번에서 5번 정도의 형태를 그려보았었죠? 오늘은 이어서 6에서 10번 등뼈의 형태를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등뼈(Back Bone)T6~10 그리기


  Step 1 - 뼈의 너비를 정하고 간단한 형태를 그립니다.


  Step 2 - 뼈의 휘어지는 부분, 돌기 부분 등 외형을 간단히 나누어 그립니다.


  Step 3 - 뼈의 접합면,홈 등 더 자세히 그립니다.


  Step 4 - 전체적인 선을 정리하고 간단한 명암을 넣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6번 부터 10번까지의 형태는 확실히 조금씩 다릅니다. 번호가 높아질수록 급격한 경사가 조금씩 완만해지고 특히 10번 뼈에 와서는 길이도 짧아지고 많이 뭉툭해집니다. 하지만 갈비뼈가 붙는 접합부 등을 생각해서 이번 형태에 포함시켰습니다. 남은 등뼈는 11~12번인데 이 두 개의 등뼈는 확실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 보여드릴게요.

 저는 오후에 캐릭터 시간으로 다시 찾아올께요. 감사합니다.



카카오TV에서 영상보기
네이버TV에서 영상보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목요일 인간 그리기 시간입니다.

 뼈와 근육 그리기. 다시 목뼈 다음으로 이어지는 등뼈(Back Bone, Thoracic vertebrae)를 그려보겠습니다. 목뼈처럼 비슷한 형태들끼리 묶어서 등뼈를 하나씩 그려볼텐데요. 이번 시간에는 1번에서 5번 정도의 뼈의 형태를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등뼈(Back Bone)T1~5 그리기



  Step 1 - 뼈의 너비를 정하고 간단한 형태를 그립니다.


  Step 2 - 뼈의 휘어지는 부분, 돌기 부분 등 외형을 간단히 나누어 그립니다.


  Step 3 - 뼈의 접합면,홈 등 더 자세히 그립니다.


  Step 4 - 전체적인 선을 정리하고 간단한 명암을 넣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그린 등뼈는 2번 혹은 3번으로 생각됩니다. 제가 봤을 때 이것을 구분하는 것은 뼈의 윗쪽에 파여진 홈의 방향인데요. 1번 등뼈의 경우 이 홈이 좀 더 수직으로 되어 있어보입니다. 그리고 번호가 높은 뼈일수록 점점 대각선으로 휘어지는 것이죠. 아마도 갈비뼈의 방향과 관계가 있겠죠? 신기합니다.

 오후에 캐릭터 시간으로 다시 찾아올께요. 감사합니다. 



카카오TV에서 영상보기
네이버TV에서 영상보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목요일 인간 그리기 시간입니다.

 뼈와 근육 그리기. 목근육을 그리는 동안  목 아래로 목 근육과 연결되는 뼈가 계속 눈에 밟혔습니다. 빗장뼈입니다. 흔히 쇄골이라고도 하죠? 목보다는 복장뼈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빗장뼈를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빗장뼈(Clavicle) 그리기

 

  Step 1 - 뼈의 너비를 정하고 간단한 형태를 그립니다.


  Step 2 - 뼈의 휘어지는 부분, 돌기 부분 등 외형을 간단히 나누어 그립니다.


  Step 3 - 뼈의 접합면,홈 등 더 자세히 그립니다.


  Step 4 - 전체적인 선을 정리하고 간단한 명암을 넣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빗장뼈는 복장뼈와 어깨뼈 끝부분을 연결하고 목 근육도 연결되는 연결고리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후에 갈비뼈와 상체 뼈와 근육을 그리다보면 자주 마주치게 될 것입니다. 

 오후에 캐릭터 시간으로 다시 찾아올께요. 감사합니다. 



카카오TV에서 영상보기
네이버TV에서 영상보기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