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목요일 인간 그리기 시간입니다.

 뼈와 근육 그리기. 목근육 두 번째 시간입니다. 지난 시간과의 차이라면 넓은목근을 그렸느냐 그리지 않았느냐의 차이일뿐입니다. 하지만 넓은목근을 그리면서 지난 시간에 그렸던 대부분의 목근육이 간춰지기 때문에 그 차이를 보기위해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목 근육(Neck Muscles)(2) 그리기

 

  Step 1 - 목과 어깨의 너비를 생각해서 범위를 정하고 턱, 목, 어깨의 높이를 정합니다.


  Step 2 - 턱, 목, 어깨로 이어지는 근육들 특히 넓은목근과 등세모근, 목빗근의 크게 나눠지는 부부을 위주로 간단히 그립니다.


  Step 3 - 근육들의 형태를 좀 더 자세하게 나누어 그립니다.


  Step 4 - 전체적인 선을 정리하고 근육의 느낌을 선으로 그립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확실히 상당한 면적이 가려지죠? 그래서 보통 그림에서는 절반은 넓은목근이 보이고 절반은 안보이게 표시하는 것 같습니다. 목근육들은 이후에 표정이나 행동을 다루게 되면 자연스럽게 어떻게 움직이는지 알게 될테니까 여기서는 대략적인 위치만 알고 넘어가겠습니다. 미래의 저에게 미루는 것이죠.  

 저는 오후에 크로키가 아닌 다른 시간으로 다시 찾아올께요. 감사합니다. 



카카오TV에서 영상보기
네이버TV에서 영상보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목요일 인간 그리기 시간입니다.


 뼈와 근육 그리기. 목뼈를 그렸으니까 다른 부부으로 넘어가기 전에 간단하게 근육을 살펴보겠습니다. 목근육입니다.

<준비물>

  목 근육(Neck Muscles) 그리기

  Step 1 - 목과 어깨의 너비를 생각해서 범위를 정하고 턱, 목, 어깨의 높이를 정합니다.


  Step 2 - 턱, 목, 어깨로 이어지는 근육들의 크게 나눠지는 부부을 위주로 간단히 그립니다.


  Step 3 - 근육들의 형태를 좀 더 자세하게 나누어 그립니다.


  Step 4 - 전체적인 선을 정리하고 근육의 느낌을 선으로 그립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턱을 들고 있어서 목뿔뼈와 그 주변의 근육들이 어덯게 연결되어있는지 보여주고 있습니다. 목 근육은 많이 보지 않아서 명칭이나 위치가 많이 생소하네요. 다음 시간에는 지금의 목 근육을 감싸는 큰 근육을 그려보고 비교해보겠습니다.

 저는 오후에 크로키 시간으로 다시 찾아올께요. 감사합니다. 

카카오TV에서 영상보기
네이버TV에서 영상보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목요일 인간 그리기 시간입니다.


 뼈와 근육 그리기. 이제 다시 돌아와서 목뼈를 이어보겠습니다. 예전에 한번 그려봤으니까 쉬울줄 알았죠? 아니였어요. 목뼈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목뼈(cervical vertebra) 그리기

 

  Step 1 - 목뼈의 너비와 높이를 정하는 선을 긋고 7개의 목뼈의 범위를 생각해서 층을 나누어 그립니다.


  Step 2 - 뼈의 크게 나누어지는 면이나 돌기 등을 위주로 간단한 형태를 그립니다.


  Step 3 - 뼈의 구체적인 형태들을 단순한 선으로 나누어 그립니다.


  Step 4 - 전체적인 선을 정리하고 간단한 명암을 채워넣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목뼈의 기울기를 보면 1번에서 3번까지 줄어들었다가 다시 3번부터 7번까지 점점 커지는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생각보다 납작하기 때문에 층을 나눌때 너무 두껍게 그리지 않는 것이 좋겠어요. 저는 매번 굵게 그려지네요. 다음 번에는 성공하겠습니다.

 저는 오후에 크로키 시간으로 다시 찾아올께요. 감사합니다. 

카카오TV에서 영상보기
네이버TV에서 영상보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목요일 인간 그리기 시간입니다.


 뼈와 근육 그리기. 목뼈를 다 그리고 목뼈의 결합 형태를 그리려고 했는데 보통은 잘 그리지 않는 뼈가 눈에 띄었습니다. 잠시 쉬어가는 시간으로  목과 턱뼈 사이에 위치한 작은 뼈를 한번 그려보겠습니다. 설골이라고도 불리는 목뿔뼈입니다. 

<준비물>


  목뿔뼈(Hyoid Bone) 그리기

  Step 1 - 목뿔뼈의 너비와 높이를 정하는 선을 긋고 윗면은 길쭉한 오각형에 가까운 형태, 앞면은 사다리꼴, 옆면은 기울기에 맞춰서 너비만 형태에 가깝게 도형화시켜서 그립니다.


  Step 2 - 뼈의 크게 나누어지는 면이나 돌기 등을 위주로 간단한 형태를 그립니다.


  Step 3 - 뼈의 구체적인 형태들을 단순한 선으로 나누어 그립니다.


  Step 4 - 전체적인 선을 정리하고 간단한 명암을 채워 넣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목뿔뼈라고 하면 쉽게 들어보는 뼈는 아니죠. 아래턱뼈와 3번 목뼈 사이에 있고 갑상연골의 위쪽에 있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다른 뼈들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다기보다는 인대나 근육으로 연결되어있습니다. 찾아보면 이 뼈 자체보다는 이 뼈 주변으로 연결되는 근육들이 호흡이나 발성, 식도와 관련되어 있는 내용들이 자주 보입니다. 이런 위치나 역할이라면 해골 언데드 같은 몬스터에게서는 목뿔뼈가 포함되기는 힘들겠네요. 

 저는 오후에 크로키 시간으로 다시 찾아올게요. 감사합니다. 

 

https://tv.kakao.com/channel/2835952

https://tv.naver.com/zeroness0083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목요일 인간 그리기 시간입니다.



 뼈와 근육 그리기 목뼈 그리기 네 번째 시간. 목뼈의 가장 아래에 있고 가장 큰 목뼈인 7번 목뼈입니다. 솟을뼈(융추)라고도 하죠?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목뼈(cervical vertebra)(C7) 그리기

  Step 1 - 목뼈의 너비와 높이를 정하는 선을 긋고 목뼈의 형태에 가깝게 도형화시켜서 그립니다.


  Step 2 - 뼈의 크게 나누어지는 면이나 구멍 등을 위주로 간단한 형태를 그립니다.


  Step 3 - 뼈의 구체적인 형태들을 나누어 그립니다.


  Step 4 - 전체적인 선을 정리하고 간단한 명암을 채워넣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뒤로 뻗어있는 돌기가 길고 날카롭습니다. 아마도 지금 제 목 뒤로 만져지는 가장 튀어나온 부분이 이 녀석이 아닐까 생각되네요. 목뼈는 다 그린 것 같은데 확인해보고 다음 주에는 합쳐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오후에 크로키 시간으로 다시 찾아올께요.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