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연필로 인간의 이모저모를 그려보는 시간입니다.


 그림을 그리면서 걱정아닌 걱정을 한 적이 있었어요. 혹시나 손을 다쳐서 그림을 못 그리게되면 어떻게 해야될까? 였습니다. 정~말 쓸데없는 걱정이죠. 손을 다치거나 못 쓸 수는 있지만 그것은 그 때 생각하면 되는 것이죠. 저는 손을 다치면 발로 그려봐야겠다 라고 생각했습니다. 지금 이 이야기는 제가 지난 시간 팔 그리기에 이어서 손을 그리기 위해 들려드린 잡설이었습니다. 그러니까 이제 그림 그리겠습니다.       


 

 <준비물>




 손 대충 그리기


  Step 1. 손목에서부터 손가락이 시작되기 전의 손바닥까지 사다리꼴 형태로 그립니다. 엄지가 시작되는 부분도 삼각형으로 그려주고 1, 2, 3 번째 손가락의 관절만 동그라미로 그렸습니다. 나머지 손가락들은 보이지 않을 것 같습니다.

 


  Step 2. 이제 손가락들을 사각형으로 관절을 동그라미 해서 주먹을 쥐고 있는 형태로 다듬어 나갑니다. 

  


  Step 3. 각이진 부분과 각 관절에서 손, 손가락으로 이어지는 부분을 자연스럽게 이어서 그려줍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주먹진 손이 쉬울 것 같아서 주먹손으로 그려보았습니다. 손은 관절과 손가락 마디만 잘 맞춰서 그릴 수 있다면 어느 정도 모양을 갖출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른 부위도 마찬가지지만 다른 부위는 크기가 크고 근육에 의한 모양 변화가 있기 때문에 손이 조금은 그리기 쉽지 않나 생각됩니다.    


 다음 시간에도 또 다른 부분을  그려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연필로 인간의 이모저모를 그려보는 시간입니다.


 인간 그리기르 시작하고 다른 때보다 긴장하고 있습니다. 사람은 역시 어려워요. 어려워도 편안한 마음으로 그려야지 생각하고 있지만 긴장한 탓인지 영상 촬영에 자꾸 손을 떨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이 제 블로그의 좋은 점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능숙하지 못한 부분이 조금씩 보완이 되어나가는 과정을 보시기에 좋을테니까요. 여러분들이 보시고 참고가 가능하시도록 앞으로도 대충대충 그려서 보완해 나가보겠습니다. 그럼 오늘도 시작해보겠습니다.        


     

<준비물>




 팔 대충 그리기


  Step 1. 팔은 입체로 보면 원기둥 형태겠지만 평면으로 봤을 때는 사각형, 그리고 관절을 구에서 원으로 그리면 기본형태는 갖출 수 있습니다. 

 


  Step 2. 어깨와 팔목 관절, 윗팔과 아랫팔의 근육방향을 구분하겠습니다.

   


  Step 3. 나눠진 부분을 자연스럽게 이어서 마무리 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지금 보시면 평소에는 윗팔과 아랫팔을 저런 방향으로 자세를 취하기가 힘듭니다. 그러니까 제가 잘못그렸을 겁니다. 우선은 저런 방법으로 그려보겠다 정도로 봐주시면 좋겠습니다. 아직 인체를 시작하려면 좀 더 의문을 가져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팔을 그렸는데 손이 나오지 않았죠? 그러니까 손은 다음 시간에 따로 그려보겠습니다.  


 그럼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연필로 인간의 이모저모를 그려보는 시간입니다.


 제목을 대충 그리는 인간이라고 했는데 어감이 조금 이상해서 고민중입니다. 어짜피 조금만 시간이 지나면 제목이 알아서 바뀌겠지만 혹시나 이곳에 찾아오시는 분들은 아무쪼록 제목에서 맘 상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오늘은 몸통 부분을 연습해보려고 합니다. 계속 이야기는 하겠습니다만 아직 비율은 생각하고 있지 않고 인간의 각 부분도 정확하지는 않습니다. 생각나는 대로, 봤던 대로 연습만 해보겠습니다.         


     

<준비물>




 몸통 대충 그리기


  Step 1. 중심선을 긋고, 얼굴은 동그라미, 몸통은 직사각형으로 그립니다. 앞서 그렸던 머리 그리기에서처럼 작은 동그라미로 머리의 형태를 그리고 목도 직사각형으로 그리겠습니다.

  


  Step 2. 얼굴은 간략히 그리고 몸통을 4등분하여 부분별로 가슴, 복부 위, 복부 아래, 하체와 연결부분을 대충 그립니다. 배꼽, 어깨 쪽도 간략히 그리겠습니다.

  


  Step 3. 목과 어깨 연결 근육, 몸통의 각부분으로 이어지는 굴곡을 그려주고 마무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아직 각 근육별 설명이 부족하니까 설명하기가 어렵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조금씩 아는 대로, 모양 대로만 찬찬히 연습하겠습니다. 때로는 머릿속에 들어오는 정보보다 자기 생각을 좀 더 믿고 그려도 좋겠습니다. 그래야 후에 스스로 무었을 잘못그렸는지 구분도 잘 가지 않을까요?  


 그럼 다음 시간에 만나요.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연필로 인간의 이모저모를 그려보는 시간입니다.


 사람의 몸을 그려보니 부족한 점이 많이 느껴집니다. 아직까지는 그냥 인간 형체를 하고 있는 공기인형같이 어색한 느낌이 가득합니다. 당분간은 계속 이럴 것 같아요. 오늘부터는 부분부분 연습해볼께요. 제가 지금까지는 그래도 조금은 볼만한 그림이었을지 모르지만 오늘부터는 상상을 초월할 것입니다. 얼굴. 머리부터 시작하겠습니다.          


 

 <준비물>




 머리 대충 그리기


  Step 1. 얼굴을 그리기 위해 큰 동그라미와 그 아래 작은 동그라미를 그렸습니다. 큰 동그라미가 코. 턱 위쪽. 작은 동그라미가 코 아래 부분입니다. 그 경계를 저는 코 위치로 잡았습니다. 그리고 그 아래로 입 위치를 정합니다.

  


  Step 2. 눈, 코, 입, 귀, 눈썹의 간략한 형태를 그립니다. 

 


  Step 3. 전체적인 윤곽을 다듬어서 마무리 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사람 얼굴을 그리면 몽타주 느낌이라도 날줄 알았는데... 아닙니다. 사람은 눈, 코, 입, 귀만 있으면 누구나 사람입니다. 하지만 좀 더 다양한 사람들을 그려보기 위해서 노력해야겠습니다.   


 그럼 다음 시간에 만나요.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연필로 인간의 이모저모를 그려보는 시간입니다.


 지난 시간부터 인간 그리기가 시작되었습니다. 이전 시간에는 인간을 어떻게 그리면 좋을지 생각해보았습니다. 그리고 이번 시간부터는 조금씩 천천히 연습을 시작해보겠습니다. 사람을 마음 먹은 대로 그려보고 싶지만 이런 기회가 아니면 연습을 하기는 쉽지 않으니까요. 바로 시작해보겠습니다.          


     

<준비물>




 인간 대충 그리기


  Step 1. 중심선을 잡고 머리를 원, 몸통을 사각형으로 그립니다. 어깨나 다리가 시작되는 부분의 관절도 원으로 그려넣습니다.

 


  Step 2. 머리의 턱을 그리고 목, 팔, 손, 다리, 발 등을 사각형으로 간단히 설정하고 각 관절 부위를 원으로 그립니다. 

 


  Step 3. 얼굴을 간단히 그리고 각 연결 부위를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그려줍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원하는 형태의 인간을 그리려면 비율이 중요하겠지만 우선은 비율에 대해서는 생각하지 않겠습니다. 우선은 신체의 각 부분이 어떻게 나눠지는지 도형으로 나눠서 그려보면 되겠습니다. 지금까지 사물과 동.식물을 그리면서 계속 도형화시키는 방법으로 그려왔으니까 인간을 그릴 때도 원, 원기둥, 육면체, 사각형 등을 최대한 이용해서 연습해보겠습니다.  


 그럼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