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화요일 색연필 그림 시간 입니다.



 색연필로 식물의 잎 그리기 시간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친숙한 이름 대추나무의 잎을 그려보겠습니다. 대추라고하면 빨갛고 작은 열매로 제삿상의 1번이고 한약재로도 많이 쓰이죠? 그래서 대추는 잘 알지만 대추잎이 어떻게 생겼는지는 별로 관심이 없어요. 오늘 그 대추잎을 보여드릴게요. 이미 보셨죠. 시작하겠습니다. 


<준비물>



  대추 잎(Jujube) 그리기

  Step 1 - 중심 기준선을 긋고 타원형을 준비합니다.


  Step 2 - 중심 잎맥 외에 세로 잎맥을 긋고 잎의 외형을 간단히 그립니다.

 


  Step 3 - 잎의 외형과 잎맥을 다듬어서 그리고 명암의 영역을 간단히 설정합니다.


  Step 4 - 올리브 그린과 녹색으로 전체적인 밑색을 칠합니다.


  Step 5 - 올리브 그린과 녹색으로 잎맥과  간단한 명암을 나누어 칠합니다.


  Step 6 - 진한 녹색과 전체적으로 잎의 선과 모양을 묘사하고 정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대추 잎의 잎맥이 독특하죠?없을만한 형태는 아니지만 세 갈래의 세로 잎맥 사이사이로 측맥들이 퍼져있는 모습은 평범한 잎의 외형과는 다르게 신기해 보입니다. 식물 그림을 그리고 있으면 뭔가 인간이 상상할 수 있는 형태는 모두 실존한다라는 느낌이 듭니다. 


 저는 내일 연필 소묘 시간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화요일 색연필 그림 시간 입니다.



 색연필로 식물의 잎 그리기 시간입니다. 오늘 그려볼 식물의 잎은 콜레우스 입니다. 갑작스런 영어 이름이 익숙하지 않으시겠지만 아마 모습을 보면 이 식물 본 것 같다라는 생각을 하실 겁니다. 콜레우스를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곳은 길가 도로변에 설치된 화단인데요. 생긴 것은 깻잎같은데 색상은 알록달록 식물이 보인다면 그게 콜레우스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려볼게요.


<준비물>



  콜레우스 잎(Coleus) 그리기

  Step 1 - 중심 기준선을 긋고 오각형의 기본형태로 시작합니다.


  Step 2 - 측맥들을 선으로 그리고 깻잎같은 잎의 외형을 간단히 그립니다.

 


  Step 3 - 잎의 외형과 잎맥을 다듬어서 그리고 명암의 영역을 간단히 설정합니다.


  Step 4 - 보랏빛에 가까운 자주빛과 녹색으로 전체적인 밑색을 칠합니다.


  Step 5 - 녹색과 자주색으로 잎맥 주변의 어두운 부분의 명암을 나누어 칠합니다.


  Step 6 - 진한 녹색과 보라색을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잎의 선과 모양을 묘사하고 정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콜레우스의 색상은 이 색상 외에도 여러가지 색 조합이 있습니다. 검색해보시고 원하시는 색상으로 그려보시길 바랍니다. 혹은 꼭 있는 색상으로 그리지 않으셔도 됩니다. 이럴 때는 마음껏 안 써보던 색상을 써보는 것도 하나의 재미겠습니다. 


 저는 내일 연필 소묘 시간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화요일 색연필 그림 시간 입니다.



 색연필로 식물의 잎 그리기 시간입니다. 이번에는 예전에 여름과 어울리는 식물로 소개를 한 적이 있는 것 같은데 맨드라미의 친구라고 제가 불렀던 봉숭아입니다. 잎을 그리고 있어서 오늘도 봉숭아 잎만 그리게 될텐데요. 봉숭아의 핵심은 꽃이지만 잎에서도 매력을 찾아보기로 하죠.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봉숭아 잎(Garden Balsam) 그리기

  Step 1 - 중심 기준선을 긋고 뾰족한 타원형으로 시작합니다.


  Step 2 - 측맥들을 선으로 그리고 톱니모야의 잎 외형을 간단히 그립니다.

 


  Step 3 - 잎의 외형과 잎맥을 다듬어서 그리고 명암의 영역을 간단히 설정합니다.


  Step 4 - 올리브 그린과 녹색으로 밝은 부분과 중간 부분으로 나누어 전체적인 밑색을 칠합니다.


  Step 5 - 녹색으로 잎맥 주변의 어두운 부분의 명암을 나누어 칠합니다.


  Step 6 - 진한 녹색을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잎의 선과 모양을 묘사하고 붉은색으로 잎의 끝부분을 살짝 물들여주고 정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나뭇잎으로 따지자면 예전에 그렸던 느티나무의 형태와 비슷해 보입니다. 하지만 좀 더 가늘고 날카로워 보이죠? 뭔가 담장 그늘처럼 습기가 있는 곳에 사는 식물들이 이런 잎을 가진 경우를 많이 본 것 같은 기분이 듭니다. 기분만 그렇습니다.


 저는 내일 연필 소묘 시간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화요일 색연필 그림 시간 입니다.



 색연필로 식물의 잎 그리기 시간. 오늘은 고구마 잎입니다. 고구마 잎이라니 고구마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고구마일텐데 고구마 잎을 가져왔습니다. 보통 조금 황량한 밭에서 이렇게 하트모양의 잎들이 둥둥 떠있는 것이 보인다면 그 밭은 분명 고구마 밭일 겁니다. 고구마는 맛있고 고구마 줄기도 맛있지만 고구마 잎도 먹는다고 하더라구요. 잎은 잘 안먹었던 것 같은데 무슨 효능이 있는 것 같아요. 잎부터 뿌리까지 버릴 것이 없는 고구마 잎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고구마 잎(Sweet Potato) 그리기

  Step 1 - 중심 기준선을 긋고 길쭉한 오각형을 기본형태로 그립니다.


  Step 2 - 잎맥들을 선으로 그리고 잎의 외형을 간단히 그립니다.

 


  Step 3 - 잎의 외형과 잎맥을 다듬어서 그리고 명암의 영역을 간단히 설정합니다.


  Step 4 - 올리브 그린과 녹색으로 밝은 부분과 중간 부분으로 나누어 전체적인 밑색을 칠합니다.


  Step 5 - 올리브 그린과 녹색으로 잎맥 주변의 어두운 부분의 명암을 나누어 칠합니다.


  Step 6 - 녹색을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잎의 선과 모양을 묘사하고 보라색 계열로 중앙 잎맥에 중심으로 색을 넣고 검은색으로 정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뭔가 과정 순서가 지난 번이랑 비슷하다 했는데 민들레 잎이랑 색상이 비슷했네요. 일주일 차이인데 이렇게 기억 못 할 일인가 싶네요. 오늘도 무사히 잎 그리기가 마무리 되었습니다.


 저는 내일 연필 소묘 시간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화요일 색연필 그림 시간 입니다.



 색연필로 식물의 잎 그리기 시간입니다. 이번에 그려볼 식물은 민들레입니다. 민들레하면 주로 봄을 떠올리시는 경우가 많은데요. 민들레 솔직히 날씨만 따듯하면 1년 내내 볼 수 있는 식물이죠? 줄기없이 잎과 뿌리로만 뭉쳐서 자라고 우리에게 익숙한 민들레 홀씨를 바람에 흩날리며 살아가는 여러해살이풀입니다. 저는 생야채로 양념장과 먹는 것을 좋아합니다. 쌉싸름한 맛과 민들레 향이 좋아요. 그만먹고 이제 그려야죠. 


<준비물>



  민들레 잎(Dandelion) 그리기

  Step 1 - 중심 기준선을 긋고 길쭉한 마름모를 기본형태로 그립니다.


  Step 2 - 톱니같은 잎의 외형을 간단히 그리고 잎맥도 선으로 그어놓습니다.

 


  Step 3 - 가시같은 잎의 형태를 스케치하고 잎맥 주변을 좀 더 자세히 그립니다.


  Step 4 - 올리브 그린과 녹색으로 밝은 부분과 중간 부분으로 나누어 전체적인 밑색을 칠합니다.


  Step 5 - 올리브 그린과 녹색으로 잎맥 주변의 어두운 부분의 명암을 나누어 칠합니다.


  Step 6 - 녹색을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잎의 선과 모양을 묘사하고 보라색 계열로 중앙 잎맥에 색을 넣고 정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민들레 잎처럼 형태가 복잡한 잎은 외형때문에 명암을 넣기 전에 어려워 보일 수 있습니다. 잎의 기본형태를 생각해서 잎맥 중심으로 어둠과 밝음으로 나누어 칠해 나가면 되겠습니다. 외관상으로 보여지는 복잡한 형태에 현혹되면 안됩니다.


 저는 내일 연필 소묘 시간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