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볼펜으로 (제)책상 위의 사물을 그려보는 펜드로잉 시간입니다. 


 필기구만 주구장창 그리다가 언제 끝냈는지도 모르게 다시 시작하고 있는 펜드로잉 시간입니다. 지난 첫 시간은 필기구와 가장 가깝게 느껴지는 사물로 미니 휴대용 연필깎이로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이번 시간을 위해 책상을 두리번 훑어보았습니다. 그리고 깨달았습니다. 아. 당분간은 연필깎이와 칼만 그려도 되겠구나. 무슨 말인지 감이 오시나요? 바로 시작해보겠습니다.

     

 

<준비물 - 종이,볼펜,볼펜 굵기 보다 조금 두꺼운 네임펜 or 잉크펜>

        

        



 미니 연필깎이(2) 그리기


  1. 순서는 있지만 그리는 방식이 따로 있지 않습니다. 볼펜을 이용하여 사물의 외곽에서 부분부분을 눈으로 따라가며 그려봅시다. 사물의 부분과 전체의 비율도 생각해 보세요.


  2. 그림자로 어두워진 부분을 그리고 해칭(빗금)을 이용해 간단히 명암을 넣습니다.


  3. 사물의 외곽선을 네임펜 혹은 잉크펜을 이용하여 정리해 줍니다.(외곽선을 조금 더 두껍게 그리면 형태의 외부선이 명확해지고 내부선과의 차이를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 당장 선이 얇아 삐뚤해진 얇은 선들을 정리해주는 효과를 줍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연필깎이는 하나의 연필깎이로 끝내야 하는 것이 아니냐고 하실 분들도 계실텐데요. 우선은 실제로 책상에 이런 것들이 조금 많이 널려 있습니다. 그리고 지난 필기구 때 처럼 비교적 비슷한 형태를 반복적으로 그리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그런 방법도 있구요. 그렇다고 한가지 사물만을 죽어라 반복하고 싶지만 그렇게 되면 흥미가 떨어져서 즐거운 그리기가 되지 않을 겁니다. 결론적으로 똑같은 거 자꾸 그리기 싫습니다만 적어도 같은 사물이라도 비슷한 형태가 있다면 비슷한 형태의 사물 안에서 좀 더 정밀한 특징? 개성?을 관찰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제 생각이었습니다. 어찌보면 당연한 이야기입니다. 자연스럽게 손과 눈에 익숙해지도록 하는 것이 어떤 것을 배우든 좋은 방법 중 하나일테니까요.


 이번 시간도 이렇게 끝이났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볼펜으로 그려보는 펜드로잉 시간이 돌아왔습니다. 


 지난 시간까지 필기구 그리기를 끝내고 이번 시간부터는 책상 위에 있는 사물들을 볼펜으로 그려볼거예요. 아무래도 사물을 직접 보고 그리는게 좋은 만큼 저는 제 책상에 주로 보이는 사물들을 위주로 그릴겁니다. 여러분은 굳이 제가 그리는 사물을 찾거나 구입하지 마시고 여러분 책상에 놓여있는 사물들을 위주로 그리시면 되겠습니다. 이번 기회에 책상 위에 물건들도 정리 좀 해야겠어요. 방법은 필기구 그리기 때와 같으니까 바로 시작해보겠습니다.

     

 

<준비물 - 종이,볼펜,볼펜 굵기 보다 조금 두꺼운 네임펜 or 잉크펜>

        

        



 미니 연필깎이 그리기


  1. 순서는 있지만 그리는 방식이 따로 있지 않습니다. 볼펜을 이용하여 사물의 외곽에서 부분부분을 눈으로 따라가며 그려봅시다. 사물의 부분과 전체의 비율도 생각해 보세요.


  2. 그림자로 어두워진 부분을 그리고 해칭(빗금)을 이용해 간단히 명암을 넣습니다.


  3. 사물의 외곽선을 네임펜 혹은 잉크펜을 이용하여 정리해 줍니다.(외곽선을 조금 더 두껍게 그리면 형태의 외부선이 명확해지고 내부선과의 차이를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 당장 선이 얇아 삐뚤해진 얇은 선들을 정리해주는 효과를 줍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첫 번째 책상 사물로 제가 택한 것은 휴대용 미니 연필깎이 입니다. 아무래도 필기구가 끝난 바로 다음이다 보니 필기구와 관련된 사물을 하고 싶었어요. 필기구랑 다른 네모진 형태의 사물은 오랜만이네요. 역시나 1번은 엉망 2번부터 조금씩 나아지는 모습입니다. 여러분도 한번에 마음에 드는 그림그리기가 쉽지않다는 것 이제는 잘 알고 계시죠? 하지만 언제나 그랬듯 우리는 조바심 내지 않고 즐거운 마음으로 그려나가면 됩니다.  


 이번 시간도 빠르게 끝이났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필기구를 볼펜으로 그려보는 펜드로잉 시간입니다. 


 글이 올라가는 오늘은 6월 6일 현충일입니다.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치신 분들을 대한 묵념... 매일은 아니더라도 하루 정도는 되새겨보았으면 합니다.

 이제 돌아와서 20번째 필기구를 그려보겠습니다. 글에서 숙연함이 느껴지네요. 굳이 무겁게 하려는 것은 아니었는데... 오늘 그려볼 필기구는 태극기가 생각나는 삼색볼펜입니다. 볼펜 3개를 다 들고 다니지 않아도 되는 혁신의 제품이죠. 한 번 그려보았습니다.

     

 

<준비물 - 종이,볼펜,볼펜 굵기 보다 조금 두꺼운 네임펜 or 잉크펜>

        

        



 삼색 볼펜 그리기


  1. 순서는 있지만 그리는 방식이 따로 있지 않습니다. 볼펜을 이용하여 사물의 외곽에서 부분부분을 눈으로 따라가며 그려봅시다. 사물의 부분과 전체의 비율도 생각해 보세요.


  2. 그림자로 어두워진 부분을 그리고 해칭(빗금)을 이용해 간단히 명암을 넣습니다.


  3. 사물의 외곽선을 네임펜 혹은 잉크펜을 이용하여 정리해 줍니다.(외곽선을 조금 더 두껍게 그리면 형태의 외부선이 명확해지고 내부 선과의 차이를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 당장 선이 얇아 삐뚤해진 얇은 선들을 정리해주는 효과를 줍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20번의 필기구 그리기 볼펜을 연필과 다르게 지워지지 않으니까 마음대로 그려지지 않으면 짜증도 나고 조바심도 나죠. 그것은 결국 그림을 그리는 것에 집중하고 있다는 말이 될 수 있습니다만 좋은 마음 가짐은 아니라고 생각해요. 저는 이번 과정에서 선이 삐뚤어도 사물의 특징, 각각의 개성적인 형태를 관찰하는 것에 좀 더 초점을 두고 싶었습니다. 우리 좀 더 즐거운 마음으로 세상을 관찰하고 다른 것의 차이를 이정하고 관찰하면서 즐겁게 그림으로 옮겨봐요. 

 그렇게 필기구 그리기는 여기서 끝을 내고 다음 시간부터는 나의 책상 위에 있는 사물들을 필기구처럼 볼펜으로 그려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필기구를 볼펜으로 그려보는 펜드로잉 시간입니다. 


 19번째 필기구를 찾아보았습니다. 이쯤되니 그리지 않은 것 보다 그렸던 필기구가 많아져야 하는데 이상하게 까도까도 어디선가 자꾸 못 보던 아이들이 나타납니다. 덕분에 사용불가능한 아이들을 속아내어 책상을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오늘은 그 정리 와중에 일순위로 버려질거라 예상했지만 살아남은 필기구라고 하기에는 조금 다른 아이를 그려보았습니다. 화이트입니다.

     

 

<준비물 - 종이,볼펜,볼펜 굵기 보다 조금 두꺼운 네임펜 or 잉크펜>

        

        



 화이트 그리기


  1. 순서는 있지만 그리는 방식이 따로 있지 않습니다. 볼펜을 이용하여 사물의 외곽에서 부분부분을 눈으로 따라가며 그려봅시다. 사물의 부분과 전체의 비율도 생각해 보세요.


  2. 그림자로 어두워진 부분을 그리고 해칭(빗금)을 이용해 간단히 명암을 넣습니다.


  3. 사물의 외곽선을 네임펜 혹은 잉크펜을 이용하여 정리해 줍니다.(외곽선을 조금 더 두껍게 그리면 형태의 외부선이 명확해지고 내부선과의 차이를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 당장 선이 얇아 삐뚤해진 얇은 선들을 정리해주는 효과를 줍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사실 저는 필기라는 것을 잘 하지 않기 때문에 화이트를 사용할 일이 거의 없었습니다. 오랫만에 공부라는 것을 해볼까요. 줄공책 사서 지난 일들을 반성하고 앞으로를 계획해봐야겠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필기구를 볼펜으로 그려보는 펜드로잉 시간입니다. 


 오늘도 서랍장과 필통을 뒤적이며 필기구를 찾아보았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깊숙이 찾아보지도 않았지만 지금까지 그리지 않은 필기구가 나왔습니다. 보물 발견. 지금까지 왜 이 녀석은 그냥 지나쳤을까... 오늘의 필기구는 요즘 한창 캘리그라피 펜으로도 각광 받고 있는 쿠레타케 붓펜입니다.

     

 

<준비물 - 종이,볼펜,볼펜 굵기 보다 조금 두꺼운 네임펜 or 잉크펜>

        

        



 쿠레타케 붓펜 그리기


  1. 순서는 있지만 그리는 방식이 따로 있지 않습니다. 볼펜을 이용하여 사물의 외곽에서 부분부분을 눈으로 따라가며 그려봅시다. 사물의 부분과 전체의 비율도 생각해 보세요.


  2. 그림자로 어두워진 부분을 그리고 해칭(빗금)을 이용해 간단히 명암을 넣습니다.


  3. 사물의 외곽선을 네임펜 혹은 잉크펜을 이용하여 정리해 줍니다.(외곽선을 조금 더 두껍게 그리면 형태의 외부선이 명확해지고 내부선과의 차이를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 당장 선이 얇아 삐뚤해진 얇은 선들을 정리해주는 효과를 줍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쿠레타케는 실제 붓을 사용하는 느낌과 가까워서 많은 분들이 사용하고 있죠. 저는 드로잉 신 김정기 선생님이 사용하시는 것을 보고 알게 되었습니다. 붓펜이지만 탄력이나 촉감이 정말 좋은 것 같습니다. 하지만 붓과 비슷하다보니 갈라짐도 비슷하게 나타나더군요. 제가 관리 잘못한 탓이겠지만...


 오늘은 여기까지...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