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볼펜으로 (제)책상 위의 사물을 그려보는 시간입니다. 


 최근 중학교, 고등학교에서는 기술이나 가정시간이 없거나 수업은 있어도 주로 이론적인 수업으로만 이루어진다고 들었습니다. 컴퓨터 기술 이외에 기술이나 가정은 수능에 선택과목도 아니고 안전문제도 있어 수업이 줄어든 것으로 생각됩니다. 초등학교 때부터 방석만들기,냄비 받침 만들기 등 각종 공예 수업을 받았었던 저로써는 너무 한쪽으로 치우쳐진 학습 방법이 아닌가라는 생각도 듭니다. 목공예를 할 때 미적 감각 외에 과학과 수학도 도움이 되기도 하죠. 여러 가지 과목을 적절히 공부하고 응용해서 학생 스스로가 자신이 원하는 방향을 찾을 수 있는 학교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만 어디까지나 제가 좋아하는 방향일 뿐이라 많은 분들이 더 좋은 교육지침을 마련할 것이라고 믿겠습니다. 그래서 지난 시간에 그린 공작칼에 이어서 아크릴 칼을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 종이,볼펜,볼펜 굵기 보다 조금 두꺼운 네임펜 or 잉크펜>

        

        



 아크릴 칼 그리기


  1. 순서는 있지만 그리는 방식이 따로 있지 않습니다. 볼펜을 이용하여 사물의 외곽에서 부분부분을 눈으로 따라가며 그려봅시다. 사물의 부분과 전체의 비율도 생각해 보세요.


  2. 그림자로 어두워진 부분을 그리고 해칭(빗금)을 이용해 간단히 명암을 넣습니다.


  3. 사물의 외곽선을 네임펜 혹은 잉크펜을 이용하여 정리해 줍니다.(외곽선을 조금 더 두껍게 그리면 형태의 외부선이 명확해지고 내부선과의 차이를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 당장 선이 얇아 삐뚤해진 얇은 선들을 정리해주는 효과를 줍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중학생 때 아크릴 판으로 액자 만들기를 했었는데 그 때 기억이 새록새록 납니다. 액자 만들기가 생각나서 몇 년전 태블릿 거치대를 만들어 사용해 보았어요. 단점이 발견되어서 오래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한동안은 만족했었습니다. 괜히 공예한다고 나서서는 예쁜 쓰레기를 생산하는 일이 없도록 좀 더 치밀한 준비가 필요할 것 같아요.


 다음 시간에 만나요.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볼펜으로 (제)책상 위의 사물을 그려보는 시간입니다. 


 오늘도 책상에서 그려볼 사물을 찾았습니다. 지난 시간에 분명 아트칼을 그렸기때문에 오늘도 비슷한 사물이 있는지 찾다가 결국 또 다른 커터를 찾았습니다. 지난 시간보다 좀 더 넓고 큰 칼날, 좀 더 굵어진 손잡이. 칼날의 각도까지 용도는 비슷하지만 모양은 전혀 다른 공작칼(?)을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 종이,볼펜,볼펜 굵기 보다 조금 두꺼운 네임펜 or 잉크펜>

        

        



 공작칼 그리기


  1. 순서는 있지만 그리는 방식이 따로 있지 않습니다. 볼펜을 이용하여 사물의 외곽에서 부분부분을 눈으로 따라가며 그려봅시다. 사물의 부분과 전체의 비율도 생각해 보세요.


  2. 그림자로 어두워진 부분을 그리고 해칭(빗금)을 이용해 간단히 명암을 넣습니다.


  3. 사물의 외곽선을 네임펜 혹은 잉크펜을 이용하여 정리해 줍니다.(외곽선을 조금 더 두껍게 그리면 형태의 외부선이 명확해지고 내부선과의 차이를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 당장 선이 얇아 삐뚤해진 얇은 선들을 정리해주는 효과를 줍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플라스틱 몸체가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아서 뭔가 끈적한 것이 묻어나네요. 지우개같은 것들과 함께 지냈나봅니다. 사용하려면 테이프로 칭칭감아서 사용해야할 것 같습니다. 오늘은 일단 피곤하니까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내일 연필그림으로 돌아오겠습니다. 


 다음 시간에 만나요.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볼펜으로 (제)책상 위의 사물을 그려보는 시간입니다. 


 저는 책을 좋아합니다. 특히나 만화책을 좋아하죠. 어린시절 만화를 좀 좋아해본 분들은 아시겠지만 재미있게 읽다보면 결국에는 그려보게 되죠. 그리고 첫 번째로 하는 일이 도구를 사는 일이죠. 오늘 그려볼 사물은 만화를 만들 때 톤을 자르기 위해 구입한 것입니다. 직접 구입한 건 아니지만요. 페이퍼 커터로 많이 사용하는 뭐라고 하죠? 아트칼?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 종이,볼펜,볼펜 굵기 보다 조금 두꺼운 네임펜 or 잉크펜>

        

        



 아트 커터 그리기


  1. 순서는 있지만 그리는 방식이 따로 있지 않습니다. 볼펜을 이용하여 사물의 외곽에서 부분부분을 눈으로 따라가며 그려봅시다. 사물의 부분과 전체의 비율도 생각해 보세요.


  2. 그림자로 어두워진 부분을 그리고 해칭(빗금)을 이용해 간단히 명암을 넣습니다.


  3. 사물의 외곽선을 네임펜 혹은 잉크펜을 이용하여 정리해 줍니다.(외곽선을 조금 더 두껍게 그리면 형태의 외부선이 명확해지고 내부선과의 차이를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 당장 선이 얇아 삐뚤해진 얇은 선들을 정리해주는 효과를 줍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만화에서 톤을 붙일 때 이 칼을 자주 사용한다고 하는데요. 저는 사용해 본 적이 없습니다. 이걸로 취미로 페이퍼 아트나 해봐야겠어요. 페이퍼 아트 하게 되면 블로그에 올려볼까요? 우선 그림이나 좀 더 잘 그리게 되면 그 때 생각해 봐야겠습니다. 


 다음 시간에 만나요.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볼펜으로 (제)책상 위의 사물을 그려보는 시간입니다. 


 오늘도 연필깎이를 그려볼까했지만 이제 남은 연필깎이는 큰 책상용 연필깎이밖에 보이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커터칼을 준비했습니다. 예전에 미술학원을 다닐 적에는 4B 연필을 커터칼로 깎았었죠. 부러지지않게 빠르게 샤샤샥 깎는 것이 포인트였는데요. 저는 매번 부러뜨렸었습니다. 그 추억을 떠올리며 분노의 커터칼 그리기 시작해보겠습니다.

     

 

<준비물 - 종이,볼펜,볼펜 굵기 보다 조금 두꺼운 네임펜 or 잉크펜>

        

        



 커터 칼 그리기


  1. 순서는 있지만 그리는 방식이 따로 있지 않습니다. 볼펜을 이용하여 사물의 외곽에서 부분부분을 눈으로 따라가며 그려봅시다. 사물의 부분과 전체의 비율도 생각해 보세요.


  2. 그림자로 어두워진 부분을 그리고 해칭(빗금)을 이용해 간단히 명암을 넣습니다.


  3. 사물의 외곽선을 네임펜 혹은 잉크펜을 이용하여 정리해 줍니다.(외곽선을 조금 더 두껍게 그리면 형태의 외부선이 명확해지고 내부선과의 차이를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 당장 선이 얇아 삐뚤해진 얇은 선들을 정리해주는 효과를 줍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삐뚤빼뚤한 선으로 즐겁게 그려보았습니다. 사물을 관찰해서 그릴 때는 현재 보이는 방향과 시선 그대로 그림으로 그리셔야 합니다. 안 보이는 부분을 좇아 고개를 돌리다보면 형태가 일그러져 보일꺼예요. 그런데 그것 나름대로 재미있는 그림이 될 것 같긴하지만요. 우선은 방향잡고 보이는 모습대로만 그려봅시다.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다음 시간에 만나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볼펜으로 (제)책상 위의 사물을 그려보는 시간입니다. 


 지난 시간 말한대로 이번 시간에도 연필깎이를 들고 왔습니다. 이 넓지도 좁지도 않은 책상 위에 무슨 잡동사니들이 이렇게 많은지... 필요없는 것들을 버리고 버려도 자꾸만 나타나네요. 그림연습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많이 그리고 많이 버려야겠어요. 오래된 미술용품들도 빨리 사용해야할텐데... 조만간 새로운 카테고리들이 쭉쭉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제 오늘 그림 시작할께요.

     

 

<준비물 - 종이,볼펜,볼펜 굵기 보다 조금 두꺼운 네임펜 or 잉크펜>

        

        



 미니 연필깎이(3) 그리기


  1. 순서는 있지만 그리는 방식이 따로 있지 않습니다. 볼펜을 이용하여 사물의 외곽에서 부분부분을 눈으로 따라가며 그려봅시다. 사물의 부분과 전체의 비율도 생각해 보세요.


  2. 그림자로 어두워진 부분을 그리고 해칭(빗금)을 이용해 간단히 명암을 넣습니다.


  3. 사물의 외곽선을 네임펜 혹은 잉크펜을 이용하여 정리해 줍니다.(외곽선을 조금 더 두껍게 그리면 형태의 외부선이 명확해지고 내부선과의 차이를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 당장 선이 얇아 삐뚤해진 얇은 선들을 정리해주는 효과를 줍니다.)

<아래부분이 너무 안보여서 새로 그렸어요.>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이 연필깎이는 지금도 제가 사용하고 있는 아이입니다. 보면 칼날이나 연필깎이같은 것들은 독일제가 확실히 많은 것 같아요. 강철의 제국이라더니 식칼이나 공구도 독일제가 그렇게 좋다죠? 미술용품도 독일제가 많은데 다른 유럽 제품들은 잘 안보입니다. 실제 유럽에 갈 기회가 생긴다면 화방에 꼭 가서 그 나라 사람들은 무슨 제품으로 그림 그리는지 한번 보고 싶네요.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다음 시간에 만나요.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