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볼펜으로 책상 위의 사물을 그려보는 시간입니다. 


 오늘 그려볼 사물을 고르던 중 갑자기 고등학생, 대학생 시절 공부를 어떤 식으로 했는지 기억이 잘 나지않았습니다. 기억이 나지않을 수 밖에 없죠. 고등학생 때는 공부에 관심이 없었고 대학생 때는 실기 위주의 평가였으니까 책을 들고 할 일이 적었으니까요. 이상한 일이 아니었습니다. 어떻게든 오늘 그릴 사물과 저의 공부하던 시절을 연결하려고 했으나 실패했죠. 그래서 새로운 연결법을 찾아갔습니다. 그래서 선호하는 공책을 생각해봤습니다. 풀 제본과 스프링노트로 말이죠. 예전에는 분명 값이 싸고 조금씩 쓸 수 있는 제본식 노트를 선호했는데요. 요즘은 그것도 귀찮은지 한번에 여러가지 파트를 구분하기도 좋고 양도 묵직한 스프링노트가 좋아졌습니다. 다만 이렇게 선호하면 뭐하겠습니까. 정작 사용을 하질 않으니... 여러분이 선호하는 노트는 어느 쪽인가요?

 오늘 그려볼 사물은 펀치였습니다. 설마하시겠지만 스프링노트나 다이어리에 구멍을 뚫는 기구라는 것으로 연결시킨겁니다.굳이 연결시키지 않고 그림 과정만 해도 될텐데 무슨 욕심을 부리는건지 스스로도 모르겠습니다. 펀치는 종이에 구멍을 뚫어 여러 문서를 연결하는데 사용하죠. 물론 다른 재질의 사물에 구멍을 뚫을 때도 사용되는데 금형 쪽일까요? 두서없고 연결성 없는 펀치 설명 속에서 그림 시작해보겠습니다. 


<준비물 - 종이,볼펜,볼펜 굵기 보다 조금 두꺼운 네임펜 or 잉크펜>

        

        



 펀치 그리기


  1. 순서는 있지만 그리는 방식이 따로 있지 않습니다. 볼펜을 이용하여 사물의 외곽에서 부분부분을 눈으로 따라가며 그려봅시다. 사물의 부분과 전체의 비율도 생각해 보세요.


  2. 그림자로 어두워진 부분을 그리고 해칭(빗금)을 이용해 간단히 명암을 넣습니다.


  3. 사물의 외곽선을 네임펜 혹은 잉크펜을 이용하여 정리해 줍니다.(외곽선을 조금 더 두껍게 그리면 형태의 외부선이 명확해지고 내부선과의 차이를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 당장 선이 얇아 삐뚤해진 얇은 선들을 정리해주는 효과를 줍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앞서 말하는 시간이 실제 그림 그리는 시간보다 길겠네요. 좀 더 그림에 도움이 되실만한 내용을 가져와야 하는데 죄송합니다. 그림 블로그가 시작된지 1년이 다 되어가니까 아마 2, 3년 후면 그래도 조금 나아지지않을까요? 그때까지 잘 부탁드립니다.  


 그럼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볼펜으로 책상 위의 사물을 그려보는 시간입니다. 


 컴퓨터를 사용하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여러 가지 업무 기능을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많은 사무기기들에 비해 공간을 적게 차지한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그리고 여러 가지 문서나 정보를 분류해서 정리하기가 좋습니다. 이 점은 제 방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여전히 뭔가 자료가

필요하면 A4로 프린트해서 책상 여기저기에 출력물을 쌓아놓고 보는 것이죠. 그리고 다시 찾으려고 할 때 마다 어디에 두었는지 찾지 못해서 온 방을 뒤적이게 됩니다. 오늘 그려볼 사물은 그럴 때 문서 별로 구분해서 손쉽게 묶어주는 도구입니다.  

<준비물 - 종이,볼펜,볼펜 굵기 보다 조금 두꺼운 네임펜 or 잉크펜>

        

        



 스테이플러 그리기


  1. 순서는 있지만 그리는 방식이 따로 있지 않습니다. 볼펜을 이용하여 사물의 외곽에서 부분부분을 눈으로 따라가며 그려봅시다. 사물의 부분과 전체의 비율도 생각해 보세요.


  2. 그림자로 어두워진 부분을 그리고 해칭(빗금)을 이용해 간단히 명암을 넣습니다.


  3. 사물의 외곽선을 네임펜 혹은 잉크펜을 이용하여 정리해 줍니다.(외곽선을 조금 더 두껍게 그리면 형태의 외부선이 명확해지고 내부선과의 차이를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 당장 선이 얇아 삐뚤해진 얇은 선들을 정리해주는 효과를 줍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솔직히 요즘은 스테이플러를 잘 사용하지는 않죠. 저야 아날로그 같은 것을 즐겨하기 때문에 그렇지만 이제는 숨겨진 스테이플러를 찾아도 그 속에 스테이플러 철침이 들어있지 않은 경우도 많더군요. 뭔가 슬픈 일입니다. 참고로 스테이플러가 맞는 표기랍니다. 우리가 간혹 스템플러, 호치키스라고 알고 있는 경우가 종종 있었는데 스테이플러가 맞다고 하더라구요. 게다가 호치키스는 상표명이라고 합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그럼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볼펜으로 (제)책상 위의 사물을 그려보는 시간입니다. 


 요즘 자주 듣는 팟캐스트에서 신자유주의나 사장이라는 말을 자주 접하게 되었습니다. 요즘 저의 꿈이 사장님이기도 하고요. 노동착취에서 노동력 이용으로 단계를 넘어서고 싶은 것이죠. 그렇다고 사람들에게 막 노동을 강요하고 그런 악덕사장은 아닙니다. 그렇게 사장이 되면 해보고 싶은 것 중에 하나가 결제 서류에 도장을 쾅쾅 박아넣는 일인데요. 각서나 대출 서류 말고 회사 진행에 관련된 서류에 도장 한번 찍어보고 싶네요. 그래서 마침 책상에 제가 사용하던 로고가 들어간 스탬프가 있어서 이것을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 종이,볼펜,볼펜 굵기 보다 조금 두꺼운 네임펜 or 잉크펜>

        

        



 스탬프 그리기


  1. 순서는 있지만 그리는 방식이 따로 있지 않습니다. 볼펜을 이용하여 사물의 외곽에서 부분부분을 눈으로 따라가며 그려봅시다. 사물의 부분과 전체의 비율도 생각해 보세요.


  2. 그림자로 어두워진 부분을 그리고 해칭(빗금)을 이용해 간단히 명암을 넣습니다.


  3. 사물의 외곽선을 네임펜 혹은 잉크펜을 이용하여 정리해 줍니다.(외곽선을 조금 더 두껍게 그리면 형태의 외부선이 명확해지고 내부선과의 차이를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 당장 선이 얇아 삐뚤해진 얇은 선들을 정리해주는 효과를 줍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요즘은 스탬프에 잉크도 충전되고 참 좋네요. 역시 과학 기술과 자본주의는 현대 사회에서 꼭 필요한 것 같습니다. 그나저나 다들 잘 사셔야 할텐데 저도 좀 살고 말이죠. 오늘이 금요일이죠? 네. 이번 주도 수고하셨습니다. 


 그럼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볼펜으로 (제)책상 위의 사물을 그려보는 시간입니다. 


 이제 책상 위에 왠만한 물건들은 거의 다 그려본 것 같습니다. 일부 다른 종류의 사물들이 있긴 하지만 주제가 다를 것 같아서 다음으로 미루도록 하겠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이쯤부터는 무엇을 그려야 할지 하루하루 고민하게 되네요. 솔직히 그림 그릴 때는 별 생각없이 긴장하면서 그리지만 대상 정하기가 오히려 곤욕입니다. 그럴때면 지난 시간에 뭘 그렸는지 참고해서 비슷한 것들을 찾아봅니다. 이번 주도 그렇게 하나를 찾았습니다. 결국에는 잉크병.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 종이,볼펜,볼펜 굵기 보다 조금 두꺼운 네임펜 or 잉크펜>

        

        



 잉크병 그리기


  1. 순서는 있지만 그리는 방식이 따로 있지 않습니다. 볼펜을 이용하여 사물의 외곽에서 부분부분을 눈으로 따라가며 그려봅시다. 사물의 부분과 전체의 비율도 생각해 보세요.


  2. 그림자로 어두워진 부분을 그리고 해칭(빗금)을 이용해 간단히 명암을 넣습니다.


  3. 사물의 외곽선을 네임펜 혹은 잉크펜을 이용하여 정리해 줍니다.(외곽선을 조금 더 두껍게 그리면 형태의 외부선이 명확해지고 내부선과의 차이를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 당장 선이 얇아 삐뚤해진 얇은 선들을 정리해주는 효과를 줍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이 잉크병 뭔가 고급집니다. 요즘은 거의 만년필을 사용하고 있지만 만년필도 그림그릴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저는 잘 못 그리지만... 어쨌든 오늘도 어떻게 어떻게 끝났습니다. 이제 슬슬 책상 위 사물 다음을 준비해봐야겠습니다.


 그럼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볼펜으로 (제)책상 위의 사물을 그려보는 시간입니다. 


 저는 아날로그를 꽤나 좋아합니다. 기존의 것부터 쭉 이어져 내려오는 것을 좋아할 때도 있지만 어느 날 다시 새롭게 느껴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디지털 시대라고 하는 이 시대에는 심플하고, 간편하고, 실용적인 것들이 대부분 자리를 차지합니다. 한껏 심플해진 공간이나 제품들을 보다보면 어느 순간 실증날 때도 있겠죠. 그럴 때 아날로그 적인 방식을 접하게 되면 불편함 속에서도 재미를 느끼게 됩니다. 이미 지나간 거인데 새롭게 느껴집니다. 만화도 그렇습니다. 한국은 이미 디지털 웹툰 시장이 대세이지만 잉크펜으로 종이에 그려낸 만화책이 더 멋 스럽게 느껴지는 경우도 많으니까요. 손에 뭍은 잉크에서 나는 냄새, 종이 만화책에서 나는 종이 냄새, 오늘 따라 더 좋습니다. 이 기분으로 오늘은 굴러다니는 잉크병을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 종이,볼펜,볼펜 굵기 보다 조금 두꺼운 네임펜 or 잉크펜>

        

        



 잉크병 그리기


  1. 순서는 있지만 그리는 방식이 따로 있지 않습니다. 볼펜을 이용하여 사물의 외곽에서 부분부분을 눈으로 따라가며 그려봅시다. 사물의 부분과 전체의 비율도 생각해 보세요.


  2. 그림자로 어두워진 부분을 그리고 해칭(빗금)을 이용해 간단히 명암을 넣습니다.


  3. 사물의 외곽선을 네임펜 혹은 잉크펜을 이용하여 정리해 줍니다.(외곽선을 조금 더 두껍게 그리면 형태의 외부선이 명확해지고 내부선과의 차이를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 당장 선이 얇아 삐뚤해진 얇은 선들을 정리해주는 효과를 줍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유럽은 여전히 이런 형태의 잉크병이 나옵니다. 일본도 그렇죠. 이것 말고도 자신들의 브랜드의 맞는 병을 꼭 디자인해서 오랜 시간을 고수하죠. 자존심이나 자부심 같은 것일까요? 아무튼 예쁩니다. 잉크와 만년필이 사치품이라는 얘기도 있는데 하나씩 사서 모으고 싶네요.


 그럼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