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인간 그리기 도형화 연습 시간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첫 번째 도형화에서 전체적인 신체를 그려보겠습니다. 부분부분 떨어져 있던 형태들을 하나로 연결하고 여기서 앞으로 어떻게 진행될지도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준비물>

 #전신 도형(Body Figure) 그리기

  Step 1 - 정면 / 후면 / 측면의 형태를 그리기 위한 8등분선 3개를 준비합니다. 발을 구분하기 위해 마지막 등분은 다시 반으로 나누었습니다.


  Step 2 - 머리는 한 등분을 3등분선하여 사각형과 삼각형의 형태를 만들고, 몸통은 가슴/허리/골반으로 등분만 나누어 일자의 사각형 형태를 만듭니다. 팔은 뼈대와 관절부분만 간단하게 그립니다. 다리부분도 다리와 발만 구분하여 간단히 그립니다.

 
  Step 3 - 몸통의 형태 / 기울기 등을 고려하여 그립니다. 팔의 뼈대와 관절을 보고 형태를 그립니다. 손과 엄지손가락의 간단한 형태를 만듭니다. 무릎과 발목의 관절과 발가락 뭉치도 만듭니다.

  Step 4 - 선들을 정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이렇게 첫 번째 도형화가 완성되었습니다. 그럭저럭 인간 티가 나내요. 기존의 과정들을 따라오셨다면 아직까지는 크게 어렵지 않았을 것입니다. 이제 여기서 단계를 추가하여 도형을 깎아나갈 생각입니다. 그전에  첫 번째 도형화 모델의 각 시점 별 형태를 그려보고 넘어가겠습니다. 그러니까 다음 주에는 도형화 레벨 1의 모델들을 한 바퀴 돌려보겠습니다.

 오후에는 캐릭터 연습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TV에서 영상보기
네이버TV에서 영상보기
페이스북에서 영상보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인간 그리기 도형화 연습 시간입니다. 지금까지 머리부터 발까지 신체의 간단한 도형을 만들어보았습니다. 그러니까 이제는 그 부분들을 연결시켜보겠습니다. 한번에 연결을 촤라락 해버리면 복잡할 수도 있으니까 두 번으로 나누어서 신체의 도형화를 완성시켜보겠습니다.

<준비물>

 #상체 도형(Upper Body Figure) 그리기

  Step 1 - 정면 / 후면 / 측면의 형태를 그리기 위한 4등분선 3개를 준비합니다.


  Step 2 - 머리는 3등분선을 이용하여 사각형과 삼각형의 형태를 만들고, 몸통은 가슴/허리/골반으로 등분만 나누어 일자의 사각형 형태를 만듭니다. 팔은 뼈대와 관절부분만 간단하게 그립니다.

 
  Step 3 - 몸통의 형태 / 기울기 등을 고려하여 그립니다. 팔의 뼈대와 관절을 보고 형태를 그립니다. 손과 엄지손가락의 간단한 형태를 만듭니다.


  Step 4 - 선들을 정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생각보다 어깨가 듬직하네요. 도형화로 간단하게 그렸지만 부분부분을 이렇게 연결해놓고 보니 마냥 간단하게 느껴지지도 않습니다. 하지만 인간의 형태가 이 정도에서 끝나지는 않겠죠. 게다가 근육의 움직임이나 투시, 포즈 등을 생각했을 때 이 정도에서 어려워하고 포기할 수는 없습니다. 조금씩 꾸준히 그려야겠습니다.

 오후에는 크로키 연습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TV에서 영상보기
네이버TV에서 영상보기
페이스북에서 영상보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인간 그리기 도형화 연습 시간입니다. 이번 시간에 그려볼 부분은 그냥 그대로 그린다면 어렵지만 도형화를 진행한다면 그 어느 부위 보다 단순해지는 부분입니다. 바로 발 인데요. 이미 제목에 발이라고 적혀있지만요. 이번에는 도형화의 첫 단계인만큼 어떻게든 간단한 형태에서 끝낼 생각입니다. 정말 이렇게 그린 것으로 끝인거이냐고 물어도 그렇다 라고 답할 수 밖에 없는 초간단 도형화입니다.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발 도형(Foot Figure) 그리기

  Step 1 - 정면 / 후면 형태는 정사각형의 길이와 너비, 측면은 정사각형 3개 정도의 너비와 길이로 준비합니다.


  Step 2 - 대략적으로 너비의 1/4 지점에서 아래쪽 끝으로 내려 정면과 후면에서 보이는 발의 형태를 만듭니다. 그리고 높이의 1/4정도에서 발가락뭉치의 높이를 설정합니다. 
 측면에서는 가장 뒤쪽의 정사각형의 1/4너비에서 대각선을 그어 발뒤꿈치 부분을 만들고 가장 앞쪽 정사각형 높이의 1/4 길이로 발가락뭉치의 형태를 만듭니다. 그리고 2번째 정사각형의 끝에서 발가락 끝까지 연결하며 발의 형태를 만듭니다.

 
  Step 3 - 선들을 깔끔하게 정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어떤가요? 정말 단순한 형태죠? 이것으로 동영상을 굳이 찍었다는 것도 놀랍습니다. 너무한 것 아니냐는 말을 들을지도 모르지만 걱정마세요. 저는 다음 시간부터 조금씩 어렵게 그릴테니까요. 발까지 그렸다면 다음은 뭘까요? 그렇죠. 붙이고 연결해야죠. 다음 시간부터 연결해보겠습니다.

 오후에는 캐릭터 연습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TV에서 영상보기
네이버TV에서 영상보기
페이스북에서 영상보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인간 그리기 도형화 연습 시간입니다. 요즘 그 어느 때 보다 손 쉽고 빠르게 그리고 있는 인체 도형 그리기 입니다. 한때는 크로키나 캐릭터 초반 부분이 빠르게 그리는 그림이었지만 최근에는 인간그리기입니다. 뼈와 근육을 그리는 동안에는 정보 확인 및 묘사를 위해 그럴 수 없었죠. 이런 일이 얼마만인지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마냥 좋아하고 있을 수 만은 없습니다. 도형화도 복잡해지기 때문이죠. 그리고 그것은 가까운 시일 내에 다가올 것 입니다. 그래도 지금이 저는 좋습니다. 편하고 좋네요. 준비하기도 널널하고 말이죠. 오늘은 다리 그리기 입니다. 시작할게요. 

<준비물>

 #다리 도형(Leg Figure) 그리기

  Step 1 - 정면 / 측면 / 후면의 형태를 그리기 위해 4등분선 3개를 준비합니다.


  Step 2 - 2등분까지는 허벅지 부분, 아래에서 1/2등분은 발목으로 설정해서 다리와 발의 형태를 사각형(원기둥)으로 그리고 각 관절은 동그라미로 표시하겠습니다. 

 
  Step 3 - 선들을 깔끔하게 정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다리부분은 아직 골반에서 연결되는 부분을 자세하게 다루지 않고 움직이지 못하는 거대로봇의 다리같은 형상입니다. 계속 도형화를 이루어가며 가동범위를 넓혀가며 리얼한 형태를 만들어가야겠습니다.

 오후에는 목탄 크로키 연습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TV에서 영상보기
네이버TV에서 영상보기
페이스북에서 영상보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인간 그리기 도형화 연습 시간입니다. 전체적인 인체를 그릴 때 모든 부분이 어렵게 느껴지겠지만 부분들중에서 당연 돋보이는 부분은 손과 발 일 것입니다. 인체의 전신을 그릴 때도 작고 정교한 형태로 애를 먹이고 클로즈업 되었을 때도 5개의 손가락의 조합으로 복잡한 형태를 만들어내죠. 어려운 것은 사실이지만 쉽게 풀어내는 방법을 연구하고 반복적인 연습으로 익숙해진다면 마냥 어려운 요소로 남지는 않을 것입니다. 저에게도 쉬우냐 어려우냐라고 질문한다면 어렵다라고 답하겠지만 쉬워지도록 계속 그려보겠습니다. 손 도형화 입니다. 

<준비물>

 #손 도형(Hand Figure) 그리기

  Step 1 - 정면 / 측면 / 후면의 형태를 그리기 위해 2등분선 3개를 준비합니다.


  Step 2 - 첫 등분의 2/3 지점까지 엄지와 손바닥이 연결되는 삼각형을 만들겠습니다. 아래쪽 등분에서는 2등분으로 나누어 손가락의 형태를 만듭니다. 손가락은 앞과 뒤에서 보았을 때는 삼각형과 사각형의 조합으로, 옆에서 보았을 때는 사각형의 조합만으로 그립니다.

 
  Step 3 - 선들을 깔끔하게 정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이 정도면 손은 쉽게 그려진 것이겠죠? 정말 간단한 도형으로 이루어지도록 그렸습니다. 언제나 그렇듯 제 과정은 단계가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번 도형화에서 끝낼 생각은 없습니다. 앞으로 차근차근 도형을 나누어 나갈 생각입니다.

 오후에는 캐릭터 연습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TV에서 영상보기
네이버TV에서 영상보기
페이스북에서 영상보기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