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화요일 색연필 그림 시간 입니다.



 색연필로 식물의 잎 그리기 시간. 스물 여덟 번째 시간이자 스물 다섯 번째 잎은 사라세니아가 당첨되었습니다. 뭔가 독특한 형태인데 왠지 어디선가 본 것 같은 잎이죠? 사라세니아는 식충식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식물 식물중에서 네펜데스라는 식물이 꽤 유명하죠? 네펜데스의 잎의 형태와 많이 닮아있습니다. 어떻게 벌레들을 사냥하는지 알 것 같네요. 하지만 네펜데스는 완전한 주머니 형태이지만 사라세니아는 식물 줄기에서 자라나 대롱 같은 느낌입니다. 신기한 식물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알로카시아 잎(Alocasia amazonica) 그리기

  Step 1 - 중심선을 긋고 원기둥의 형태를 기본형태로 하고 그 위로 덮개 형태도 함께 그립니다. 


  Step 2 - 관 모양 잎돠 덮개 잎의 간단한 형태를 그립니다.

 


  Step 3 - 잎의 생김새와 거미줄 같은 잎맥선, 그리고 명암선을 스케치를 합니다.


  Step 4 - 연두색과 회색으로 기본적인 명암의 밑색을 칠합니다.


  Step 5 - 녹으로 간단한 명암을 나누어 칠합니다.


  Step 6 - 녹색으로 전체적인 잎의 선과 모양을 묘사하고 빨강으로 붉은 색이 들어가는 부분을 강조하며 정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사라세니아 중에서 윗부분이 흰색인 종을 그렸더니 형태가 잘 보이지 않네요. 소묘 때 처럼 배경에 색을 살짝 넣으면 윤곽은 더 잘 살아나겠습니다. 주로 주변에서 보던 평평한 잎을 그리다보면 좀 더 다양한 형태의 잎을 그리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는데 그런 면에서 즐거운 시간이었어요.


 저는 내일 연필 소묘 시간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수요일 오후의 오일 파스텔 그리기 시간입니다.



 크레파스로 그리는 사물그림. 이번에 그려볼 사물은 마우스입니다. 이번에는 좀 간단하게 그리면서 제 자신을 돌아보면서 라고 말하지만 2시간 정도 더 쉬어보려고 합니다. 하지만 과연 제 생각대로 그렇게 쉽게 풀렸을까요?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마우스(Mouse) 그리기

  Step 1 - 마우스의 형태는 기본적으로 약간 납짝한 직육면체로 시작합니다. 마우스의 버튼 부분과 몸통 부분을 나누어 서 마우스의 형태를 만듭니다.


  Step 2 - 밝은 부분은 노강, 중간 부분은 주황, 어둠은 갈색으로 칠합니다.

 


  Step 3 - 노랑과 주황, 갈색으로 색을 나누어 칠하고 어둠에 검정으로 더하고 배경에 전체적으로 주황을 칠합니다.


  Step 4 - 색을 섞어 자연스럽게 만들어 칠합니다. 역광색으로 연두색을 섞고 주황으로 전체적인 배경을 칠하고 전체적으로 정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마우스의 형태와 색상은 쉬웠을까요? 저에게 쉬운 그림은 없었습니다. 마우스 버튼이 어디쯤 있어야 할까 외곽 형태가 어느 정도 기울기도 곡선을 그려야할지 생각해봐야했습니다. 저는 왠지 매끈한 형태의 그림은 어려워하는 것 같습니다. 

 

 저는 내일 인간 그리기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화요일 색연필 그림 시간 입니다.



 색연필로 식물의 잎 그리기 시간. 이번 시간에 그려볼 식물은 알로카시아 아마조니카 입니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알로카시아라는 이름 뒤로 구분가능한 식물들이 많습니다. 그 중에서 아마조니카를 선택한 것이죠. 알로카시아 아마조니카는 그 형태 때문에 영어로는 Elephant's Ear, 우리나라에서는 거북 알로카시아로도 불립니다.  울퉁불퉁하고 넓은 잎이 특징이라는 것이겠죠. 그 특징들을 살려서 그려보도록하겠습니다. 


<준비물>



  알로카시아 잎(Alocasia amazonica) 그리기

  Step 1 - 중심선을 긋고 긴 오각형으로 기본형태를 그립니다. 


  Step 2 - 측맥이 될 선들을 긋고 울퉁불퉁한 잎의 외형을 간단히 그립니다.

 


  Step 3 - 울퉁불퉁한 잎의 생김새와 잎맥에 맞춰 명암선과 스케치를 합니다.


  Step 4 - 녹색과 회색으로 기본적인 명암의 밑색을 칠합니다.


  Step 5 - 녹색과 연두색으로 간단한 명암을 나누어 칠합니다.


  Step 6 - 검정과 녹색으로 전체적인 잎의 선과 모양을 묘사하고 검정색으로 어두운 부분을 칠하며 정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아마조니카의 잎은 검은 색에 가까울 정도로 어둡습니다. 바탕이 되는 밑색을 처음부터 조금 강하게 사용해고 괜찮겠습니다. 검정이라고 해도 결국 기본이 되는 색은 녹색 계열이기 때문에 녹색과 섞어서 사용합니다.


 저는 내일 연필 소묘 시간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수요일 오후의 오일 파스텔 그리기 시간입니다.



 크레파스로 그리는 사물그림. 새해 첫 크레파스 그림은 바로바로 립스틱입니다. 코스메틱. 화장품이 전체 그림을 통틀어서도 처음인 것 같은데요. 화장품 가게에서 립이나 쉐도우, 블러셔 등의 여러가지 색상들이 모여있는 것을 보면 신기하고 재밌습니다. 제가 화장할 일은 없지만 사람의 피부톤에 맞는 여러가지 색상을 조합한다는 것은 꽤 흥미로운 일일 것 같습니다. 오늘은 일단 립스틱을 그려야죠.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립스틱(Lipstick) 그리기

  Step 1 - 길쭉한 직육면체에서 립스틱의 케이스 부분과 화장품 부분을 구분합니다. 립스틱과 금속 부분을 원기둥 형태로 깎아내고 립스틱의 형태에 맞춰서 스케치합니다.


  Step 2 - 립스틱은 빨강, 금속은 노랑, 금속의 어둠은 황토색, 케이스의 밑색은 갈색으로 칠합니다.

 


  Step 3 - 립스틱의 어둠을 갈색, 금속과 케이스의 어둠을 검정으로 칠하고 배경에 전체적으로 빨강을 칠합니다.


  Step 4 - 색을 섞어 자연스럽게 만들어 칠합니다. 케이스의 검정을 긁어내어 모서리를 표현하고 빨강으로 전체적인 배경을 칠하고 전체적으로 정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새빨간 것이 또 색다르네요. 색이 너무 강하면 부담스러울 것 같았는데 하긴 이렇게 전체적인 배경을 화장품 색상으로 채워서 보여주는 지면 광고도 많이 있었죠. 그리고 이번에는 아주 약간이지만 스크래치도 사용해보았습니다. 검으 사물에 모서리를 표현하기에는 스크래치 방법이 딱입니다. 다음에는 스크래치로만 그리는 그림도 생각해봐야겠습니다.

 

 여기까지 하고 저는 내일 인간 그리기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2019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화요일 색연필 그림 시간 입니다.



 2019년 첫 시작은 색연필로 그리는 식물 잎 그리기입니다. 이번 시간에 그려볼 잎은 몬스테라입니다. 유명한 식물이죠? 지난 연필로 식물그리기에도 마지막 잎은 몬스테라였습니다. 요즘은 취미 미술로 아크릴화를 많이 하시죠. 아크릴화를 그릴 때 많이 그리는 것 중 하나가 몬스테라입니다. 오늘은 색연필로 그려볼게요.  


<준비물>



  몬스테라 잎(Monstera) 그리기

  Step 1 - 중심선을 긋고 넓은 타원형으로 기본형태를 설정합니다. 


  Step 2 - 잎맥과 잎의 외형을 간단히 그립니다.

 


  Step 3 - 잎의 생김새와 잎맥에 맞춰 명암선과 스케치를 합니다.


  Step 4 - 녹색과 회색으로 기본적인 명암의 밑색을 칠합니다.


  Step 5 - 녹색과 올리브 색으로 간단한 명암을 나누어 칠합니다.


  Step 6 - 녹색으로 전체적인 잎의 선과 모양을 묘사하고 검정색으로 어두운 부분을 칠하며 정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몬스테라 잎은 크고 넓고 광택이 있습니다. 밝은 광택 부분은 흰색 혹은 밝은 색으로 적당히 남겨두고 잎이 말려드는 형태에 맞춰서 색을 넣어주면 되겠습니다. 색이 조금씩 부족해지는 것 같습니다. 슬슬 다른 색연필을 써야겠습니다.


 저는 내일 연필 소묘 시간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