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수요일 오후의 오일 파스텔 그리기 시간입니다.



 크레파스로 그리는 사물그림. 마지막 사물 소묘를 마치고 왔는데 시간이 없어서 급하게 오일파스텔 사물을 준비했습니다. 오일파스텔 사물 그리기는 조금 더 그릴거에요. 크레파스 그림을 좋아하시는 분들도 계시고 몇 안되는 색 재료 사용시간이잖아요. 오늘 그릴 사물 이야기로 돌아가서 이번 시간에는 양초입니다. 사물하는데 초는 한번 그려야죠. 붉게 타오르는 양초의 신비로운 느낌을 떠올리며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양초(Candle) 그리기

  Step 1 - 원기둥을 사용하여 양초의 형태를 잡고 불꽃에 녹아내린 촛농의 형태를 간단히 스케치합니다. 중심에 심지를 그리고 불꽃의 길쭉한 타원을 간단히 그립니다.


  Step 2 - 우선 불꽃을 중심으로 가장 밝은 양초의 윗부분에 노란색으로 밑색을 칠합니다. 그리고 그 아래로 주황색, 그리고 상대적으로 어둡지만 붉은 빛이 돌게 되는 아랫부분에 적갈색을 칠합니다. 

 

  Step 3 - 노랑 바탕이 칠해진 초의 윗부분은 그림자로 주황을 칠합니다. 그리고 주황과 갈색이 섞여있는 아래부분에는 검정으로 어둠을 칠하고, 불꽃은 테두리의 주황을 시작으로 가장 밝은 노랑, 주황, 갈색, 검정 순으로 배경을 채웁니다.


  Step 4 - 이제 각 부분의 색들을 섞어 자연스럽게 만들어 칠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불꽃이 자연스럽게 그라데이션 되었나요? 크레파스의 성질이 있는 만큼 엄청  부드러운 그라데이션 보다는 점묘나 덧칠로 질감있는 그라데이션을 연출하면 다르지만 멋진 양초가 그려지겠습니다. 겨울인데 괜시리 따뜻해지는 그림이네요.

 

 저는 내일 인간 그리기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화요일 색연필 그림 시간 입니다.



 색연필로 식물의 잎 그리기 시간. 잎 그리기 마지막 시간입니다. 마지막으로는 행복을 전해드리기 위해 클로버로 정했어요. 지난 시간에는 사랑초 옥살리스의 사랑이었으니까 세잎 클로버의 행복한 결말이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보통은 네잎클로버를 그렸겠지만 잎 하나 더 그린다고 힘들기도 하고 의미로도 세잎 클로버가 더 좋다는 생각입니다. 클로버 그려볼게요. 


<준비물>



  클로버 잎(Clover) 그리기

  Step 1 - 동그라미를 그리고 중심에서부터 삼등분 합니다.


  Step 2 - 삼등분 된 각 부분을 하트모양으로 간단히 나누어 그립니다.

 


  Step 3 - 클로버의 잎을 참고하여 잎 끝부분을 둥글둥글하게 전체적인 형태를 스케치합니다.


  Step 4 - 연두색으로 기본적인 명암의 밑색을 칠합니다.


  Step 5 - 연두색과 녹색으로 간단한 명암을 나누어 칠합니다.


  Step 6 - 녹색으로 전체적인 잎의 선과 모양을 묘사하고 정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형태나 난이도로 보았을 때 이전의 식물들에 비해 조금은 쉽게 그려졌습니다. 편안한 마음으로 그릴 수 있었네요. 다들 행복한 하루 되시고 다음 주에는 잎이 아닌 식물의 다른 부분을 색연필로 그려보겠습니다.


 저는 내일 연필 소묘 시간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수요일 오후의 오일 파스텔 그리기 시간입니다.



 크레파스로 그리는 사물그림. 오늘은 트럼펫입니다. 지난 주 호루라기를 그린 후에 살펴보니 제 그림에 악기가 보이지 않았어요. 30개가 넘는 그림파일 중에 악기가 이렇게 없을 줄이야. 그래서 뭔가 쉬워보이면서도 간단하지 않을 악기를 찾다가 선택한 것이 트럼펫입니다. 솔직히 나팔 같은 것을 그리려고 했지만 그냥 노란 깔때기 모양의 물건울 그리려니 양심에 조금 걸리네요. 트럼펫 그리려니 쉬워보이진 않는데요.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트럼펫(Trumpet) 그리기

  Step 1 - 전체적인 방향과 범위를 정하고 앞의 큰 관을 그리기 위한 사각형을그리고 각 관이 휘어지고 꼬여있는 형태를 선으로 그립니다. 선으로 그려진 각 관에 두께를 그려넣어 트럼펫의 형태를 스케치합니다.


  Step 2 - 밝은 부분은 노랑, 중간 부분은 황토색으로 트럼펫의 전체적인 밑색을 칠합니다.

 


  Step 3 - 노랑과 황토색으로 색을 나누어 칠하고 검정을 어둠에 섞어넣습니다. 금속이기 때문에 검정의 범위를 강하고 넓게 칠합니다. 배경에는 전체적으로 노랑을 칠합니다.


  Step 4 - 색을 섞어 자연스럽게 만들어 칠합니다. 노랑으로 전체적인 배경을 칠하고 전체적으로 정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금속의 강한 빛과 어둠이 잘 표현되었는지 모르겠네요. 나쁘지 않게 그럭저럭 잘 나온 것 같습니다.확실히 금속은 중간영역이 적고 빛과 어둠의 양이 극단적으로 표현되어야 더 확실해보입니다. 

 

 저는 내일 인간 그리기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화요일 색연필 그림 시간 입니다.



 색연필로 식물의 잎 그리기 시간. 이번 시간에는 옥살리스 잎을 그려보겠습니다.  처음보시는 분들은 잎이 알록덜록 예쁘게 생겼다 라고 생각하시겠지만 식물을 좋아하시는 분들에게는 사랑초라는 이름으로 알려져있죠? 클로버 처럼 하트 모양의 잎이 조금 크게 달려있는데요. 종류에 따라서 녹색잎을 가진 옥살리스도 있고 붉은 잎을 가진 것도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마침 저희 집에도 붉은 잎 옥살리스, 사랑초가 보여서 한번 그려보았습니다.


<준비물>



  옥살리스 잎(Oxalis) 그리기

  Step 1 - 3개의 삼각형을 둥글게 배치합니다.


  Step 2 - 잎 모양에 따라 삼각형을 간단하게 깎아내서 그립니다.

 


  Step 3 - 잎의 끝부분과 무늬처럼 주요 부위들을 깔끔하게 그리고 명암 영역도 설정합니다.


  Step 4 - 자주색으로 기본적인 명암의 밑색을 칠합니다.


  Step 5 - 자주색과 보라색으로 간단한 명암을 나누어 칠합니다.


  Step 6 - 보라색으로 전체적인 잎의 선과 모양을 묘사하고 검정으로 강조하며 정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잎의 색이 신비롭고 예쁘죠? 실제로 보면 더 예쁜 식물입니다. 옥살리스는 잎맥이 없어보이지만 식물인 만큼 결이 존재합니다. 옥살리스의 결은 잎의 중앙으로 향하기 때문에 색연필을 칠할 때도 되도록 그 방향으로 선을 사용하면 표현에 도움이 되겠습니다.


 저는 내일 연필 소묘 시간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수요일 오후의 오일 파스텔 그리기 시간입니다.



 크레파스로 그리는 사물그림. 이번 주는 호루라기입니다. 휘슬이죠. 제가 이 물건을 그리지 않았었네요. 왠만한 물건들은 연필그림 그리면서 그렸다고 생각했지만 분류가 달라서 지나쳤습니다. 학생 때도 가끔 그려었던 그리기 좋은 사물 호루라기 오랜만에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호루라기(Whistle) 그리기

  Step 1 - 살짝 길쭉한 직육면체에서 호루라기의 몸통(?) 부분과 바람을 불어넣는 부분으로 나누어 원기둥과 납작한 직육면체 형태로 기본형태로 합니다. 그리고 기본형태에서 호루라기의 형태를 다듬어서 스케치합니다.


  Step 2 - 밝은 부분은 연두, 어둠 부분은 녹색으로 칠합니다.

 


  Step 3 - 연두와 녹색으로 색을 나누어 칠하고 검정을 어둠에 섞어넣습니다. 녹색과 검정으로 그림자를 만들고  배경에 전체적으로 연두를 칠합니다.


  Step 4 - 색을 섞어 자연스럽게 만들어 칠합니다. 역광색으로 갈색을 섞고 연두색으로 전체적인 배경을 칠하고 전체적으로 정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영상에서 스케치를 할 때 보면 제가 잠시 머뭇거리는 느낌이 드실 수도 있습니다. 여러분 그림을 그릴 때 너무 딴짓을 하면 그림을 그릴 때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드라마나 영화의 소리가 너무 재밌을 경우에는 거실의 가족들에게 볼륨을 줄여달라고 부탁하세요.  

 

 저는 내일 인간 그리기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