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수요일 오후의 오일 파스텔 그리기 시간입니다.



 크레파스로 그리는 사물그림. 오늘 이 시간에는 주사위입니다. 육면체의 깔끔한 형태의 사물인 주사위를 그려야 되겠다는 생각은 하지 못했어요. 역시 세상은 넓어요. 다했고 더 이상 그릴 것이 없다고 속단하는 것은 정말 어리석은 생각이었습니다. 그려볼게요.


<준비물> 




  주사위(Dice) 그리기

  Step 1 - 정육면체에 가깝게 도형을 그린 후 모서리를 깎고 동그라미를 그려서 주사위를 그립니다.


  Step 2 - 밝은 부분은 연두색, 어두운 부분은 녹색으로 칠합니다. 점 부분은 검정으로 칠하기 위해 비워둡니다.

 


  Step 3 - 연두색과 녹색의 범위를 나누고 검정으로 어둠을 칠하고 배경에 전체적으로 연두색을 칠합니다.


  Step 4 - 색을 섞어 자연스럽게 만들어 칠합니다. 연두색과 녹색으로 전체적인 배경을 칠하고 전체적으로 정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이번에는 스케치에 너무 신경을 써서 그런지 연필 선이 탁하게 많이 남아버렸어요. 보통은 녹색 계열과 회색은 어느 정도 섞여도 자연스러운 색이 나온다고 알고 있습니다만 제 주사위 그림에서는 연필 선과 연두색 사이의 명암 차이가 생겨서 그런지 조금은 지저분하게 느껴집니다. 질감면에서는 괜찮은 것 같습니다.

 

 여기까지 하고 저는 내일 인간 그리기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네이버TV '천천히 조금씩_그리는 찰리' 채널에서도 시청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화요일 색연필 그림 시간 입니다.



 색연필로 식물의 잎 그리기 시간. 이번 시간에는 동백 잎, 동백나무 잎 입니다. 지난 주의 목련 잎을 그릴 때 처럼 겨울에서 봄으로 이어지는 감성이 있는 식물이죠. 굳이 따지자면 겨울에 다 가까운 식물이고 동백나무의 경우에는 겨울에도 푸른 잎을 유지하는 식물이니까 다르긴 할 거에요. 붉은 꽃봉오리와 푸른 잎에 눈이 쌓인 것을 보면 추운 겨울에 포근함을 느낄 수 있을겁니다. 오늘따라 감성적이네요.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동백 잎(Camellia) 그리기

  Step 1 - 중심선을 긋고 아래쪽이 넓은 육각형 혹은 타원형을 기본형태를 설정합니다. 


  Step 2 - 대략적인 줄기와 잎의 외형을 그립니다.

 


  Step 3 - 잎의 생김새와 잎맥에 맞춰 명암선과 스케치를 합니다.


  Step 4 - 연두색과 올리브색으로 기본적인 명암의 밑색을 칠합니다.


  Step 5 - 녹색으로 간단한 명암을 나누어 칠합니다.


  Step 6 - 녹색으로 전체적인 잎의 선과 모양을 묘사하고 검정색으로 어두운 부분을 칠하며 정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동백잎은 크기는 작지만 두껍고 광택이 있습니다. 명암이 강한 부분과 밝은 부분을 어느 정도는 강조를 해서 그리는 것도 좋겠습니다. 최근에 진한 녹색 계열이 없어서 검정을 섞어가며 사용하고 있는데 색표현이 가능한 다른 색이 있으신 분들은 굳이 검정을 사용해서 명암을 만들지 않으셔도 됩니다.


 저는 내일 연필 소묘 시간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네이버TV '천천히 조금씩_그리는 찰리' 채널에서도 시청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수요일 오후의 오일 파스텔 그리기 시간입니다.



 크레파스로 그리는 사물그림. 이번 시간에는 수도꼭지입니다. 수도꼭지는 흔한 소재였지만 제가 그린 적은 없었네요. 지난 시간 금속 사물의 색상에 대해서도 이야기했기 때문에 선택해봤습니다. 그려볼게요.


<준비물> 




  수도꼭지(Faucet) 그리기

  Step 1 - 우선은 수도관 부분을 직육면체를 ㄱ자 형태로 그리고 그 위로 잠금장치 부분의 직육면체를 그립니다. 각 직육면체를 원기둥 형태로 바꿔 자연스러운 관 형태로 그립니다. 수도꼭지의 형태를 형태를 다듬어 그리고 금속의 질감, 반사광의 스케치를 그립니다.


  Step 2 - 밝은 부분은 분홍색, 어두운 부분은 빨강으로 칠합니다.

 


  Step 3 - 분홍색과 빨강의 범위를 나누고 검정으로 어둠을 칠하고 배경에 전체적으로 분홍을 칠합니다.


  Step 4 - 색을 섞어 자연스럽게 만들어 칠합니다. 분홍과 빨강으로 전체적인 배경을 칠하고 전체적으로 정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분홍색 수도꼭지도 나쁘지 않은 것 같습니다. 하지만 분홍색과 빨강이지만 따뜻한 느낌보다는 차가운 느낌이 드는 것은 단지 제 생각일까요? 재밌는 그림이었습니다. 

 

 여기까지 하고 저는 내일 인간 그리기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네이버TV '천천히 조금씩_그리는 찰리' 채널에서도 시청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화요일 색연필 그림 시간 입니다.



 색연필로 식물의 잎 그리기 시간. 오늘은 목련 잎 입니다. 오랜만에 아주 친숙한 식물이죠? 한창 추워진 겨울이라서 이 식물이 더 반갑습니다. 봄이 다가오면 솜털같은 꽃봉우리와 함께 꽃을 피우는 식물이죠. 추운 겨울이 끝나고 빨리 따뜻한 봄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시작할게요. 


<준비물>



  목련 잎(Magnolia) 그리기

  Step 1 - 중심선을 긋고 아래쪽이 넓은 육각형을 기본형태를 설정합니다. 


  Step 2 - 대략적인 줄기와 잎의 외형을 그립니다.

 


  Step 3 - 잎의 생김새와 잎맥에 맞춰 명암선과 스케치를 합니다.


  Step 4 - 회색으로 기본적인 명암의 밑색을 칠합니다.


  Step 5 - 연두색과 녹색으로 간단한 명암을 나누어 칠합니다.


  Step 6 - 녹색으로 전체적인 잎의 선과 모양을 묘사하고 검정색으로 어두운 부분을 칠하며 정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역시 기본적인 형태의 잎이라 묘사나 색을 선정하기는 편했습니다. 목련잎을 그려보니 가장 처음에 그렸던 감나무 잎이 생각나네요. 형태는 물론 다르지만 잎맥이나 잎의 묘사에서 많은 부분이 닮아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저는 내일 연필 소묘 시간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네이버TV '천천히 조금씩_그리는 찰리' 채널에서도 시청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수요일 오후의 오일 파스텔 그리기 시간입니다.



 크레파스로 그리는 사물그림. 이번 시간에는 나사못입니다. 사물 기초 때부터 계속해서 등장하는 나사못입니다. 나사못의 종류는 계속해서 바꼈기 때문에 형태로만 보면 새로운 것을 계속 그리는 부분은 있습니다. 오늘도 배경은 빼곡히 채워가며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나사못(Screw Nail) 그리기

  Step 1 - 나사못이 놓여지는 방향선을 잡고 우선 길쭉한 직육면체를 기본형태로 시작합니다. 나사못의 머리부분과 못부분으로 나누고 원기둥으로 만들고 못 부분에 대각선으로 나선의 간격을 그린 후 나선을 그립니다. 나사못의 전체적인 형태를 스케치합니다.


  Step 2 - 밝은 부분은 하늘색, 어두운 부분과 그림자는 파랑으로 칠합니다.

 


  Step 3 - 하늘색과 파랑의 범위를 나누고 검정으로 어둠을 칠하고 갈색으로 역광을 칠합니다.


  Step 4 - 색을 섞어 자연스럽게 만들어 칠합니다. 파랑으로 전체적인 배경을 칠하고 전체적으로 정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처음 단계에서 스케치가 조금 틀어졌지만 마지막에는 자리를 잡는 모습입니다. 차가운 금속은 푸른색이 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이것도 하나의 편견일 수 있죠. 언젠가 가장 따뜻한 색으로 파랑을 써볼 수 있길 바래봅니다.

 

 여기까지 하고 저는 내일 인간 그리기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네이버TV '천천히 조금씩_그리는 찰리' 채널에서도 시청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