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화요일 색연필 그림 시간 입니다.



 색연필로 식물의 잎 그리기 시간입니다. 이번에는 예전에 여름과 어울리는 식물로 소개를 한 적이 있는 것 같은데 맨드라미의 친구라고 제가 불렀던 봉숭아입니다. 잎을 그리고 있어서 오늘도 봉숭아 잎만 그리게 될텐데요. 봉숭아의 핵심은 꽃이지만 잎에서도 매력을 찾아보기로 하죠.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봉숭아 잎(Garden Balsam) 그리기

  Step 1 - 중심 기준선을 긋고 뾰족한 타원형으로 시작합니다.


  Step 2 - 측맥들을 선으로 그리고 톱니모야의 잎 외형을 간단히 그립니다.

 


  Step 3 - 잎의 외형과 잎맥을 다듬어서 그리고 명암의 영역을 간단히 설정합니다.


  Step 4 - 올리브 그린과 녹색으로 밝은 부분과 중간 부분으로 나누어 전체적인 밑색을 칠합니다.


  Step 5 - 녹색으로 잎맥 주변의 어두운 부분의 명암을 나누어 칠합니다.


  Step 6 - 진한 녹색을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잎의 선과 모양을 묘사하고 붉은색으로 잎의 끝부분을 살짝 물들여주고 정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나뭇잎으로 따지자면 예전에 그렸던 느티나무의 형태와 비슷해 보입니다. 하지만 좀 더 가늘고 날카로워 보이죠? 뭔가 담장 그늘처럼 습기가 있는 곳에 사는 식물들이 이런 잎을 가진 경우를 많이 본 것 같은 기분이 듭니다. 기분만 그렇습니다.


 저는 내일 연필 소묘 시간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수요일 오후의 오일 파스텔 그리기 시간입니다.



 크레파스로 그리는 사물. 이번 시간에는 체스 말을 그려보겠습니다. 체스말이 여러가지가 있죠? 왕부터 여왕, 나이트 등등 이 있는데요. 오늘은 가장 간단한 폰을 그릴겁니다. 소묘가 힘들었으니까 여기서는 조금 쉽게 가려고 합니다. 그려볼게요.

 

<준비물> 




  체스 말(Chess Pieces) 그리기

  Step 1 - 중심선을 그어 전체적인 크기와 넓이를 정합니다. 제일 위의 동그란 머리부분과 중간 단과 가장 아래의 단, 그리고 중앙의 기둥으로 크게 나누어 원기둥을 기본형태로 하여 그립니다. 그려진 기본형태에 맞춰서 체스 말을 스케치하고 그림자를 그립니다.


  Step 2 - 전체적으로 푸른색 계열로 칠하겠습니다. 하늘색과 파란색으로 크게 명암을 나누어 칠합니다.

 


  Step 3 - 각 영역에서 한 단계씩 진한 색상으로 영역을 좀 더 세분화시켜서 칠합니다. 검정으로 어두워지는 부분과 그림자를 칠하고 분홍색으로 보색 계열을 역광으로 미리 칠합니다.


  Step 4 - 각 영역의 색을 섞어 명암을 자연스럽게 만듭니다. 역광으로 분홍색 계열을사용합니다. 전체적으로 다듬어서 마무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좀 더 검은색 비율을 높여도 괜찮을 것 같은데 형태 자체에 크게 문제가 없어서 이번에도 그냥 넘어가겠습니다. 그런데 생각보다 크레파스 양이 많네요. 좀 더 팍팍 쓸 수 있게 색을 추가시켜봐야겠어요. 다른 자료도 빨리 써보고 싶거든요. 

 

 저는 내일 인간 그리기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화요일 색연필 그림 시간 입니다.



 색연필로 식물의 잎 그리기 시간. 오늘은 고구마 잎입니다. 고구마 잎이라니 고구마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고구마일텐데 고구마 잎을 가져왔습니다. 보통 조금 황량한 밭에서 이렇게 하트모양의 잎들이 둥둥 떠있는 것이 보인다면 그 밭은 분명 고구마 밭일 겁니다. 고구마는 맛있고 고구마 줄기도 맛있지만 고구마 잎도 먹는다고 하더라구요. 잎은 잘 안먹었던 것 같은데 무슨 효능이 있는 것 같아요. 잎부터 뿌리까지 버릴 것이 없는 고구마 잎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고구마 잎(Sweet Potato) 그리기

  Step 1 - 중심 기준선을 긋고 길쭉한 오각형을 기본형태로 그립니다.


  Step 2 - 잎맥들을 선으로 그리고 잎의 외형을 간단히 그립니다.

 


  Step 3 - 잎의 외형과 잎맥을 다듬어서 그리고 명암의 영역을 간단히 설정합니다.


  Step 4 - 올리브 그린과 녹색으로 밝은 부분과 중간 부분으로 나누어 전체적인 밑색을 칠합니다.


  Step 5 - 올리브 그린과 녹색으로 잎맥 주변의 어두운 부분의 명암을 나누어 칠합니다.


  Step 6 - 녹색을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잎의 선과 모양을 묘사하고 보라색 계열로 중앙 잎맥에 중심으로 색을 넣고 검은색으로 정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뭔가 과정 순서가 지난 번이랑 비슷하다 했는데 민들레 잎이랑 색상이 비슷했네요. 일주일 차이인데 이렇게 기억 못 할 일인가 싶네요. 오늘도 무사히 잎 그리기가 마무리 되었습니다.


 저는 내일 연필 소묘 시간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수요일 오후의 오일 파스텔 그리기 시간입니다.



 크레파스로 그리는 사물. 오늘은 치약입니다. 치약은 제가 따로 한번은 그려보고 싶었어요. 절반정도 사용하고 끝에서부터 말려있는 형태로 여러가지 형태가 복합적으로 들어간 형태이죠? 색상은 왠지 모르게 딸기맛 치약이 되었지만 한번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치약(Toothpaste) 그리기

  Step 1 - 길쭉한 직육면체 형태를 시작으로 원기둥으로 다듬고 끝부분은 교차하는 작은 원기둥을 그려서 중심을 달팽이 집처럼 그립니다. 앞부분은 작은 원기둥을 그려서 흘러나온 치약을 그립니다.


  Step 2 - 핑크와 하늘색으로 밝은 부분, 빨강과 파랑으로 어두운 부분을 나누어 칠합니다. 갈색으로 그림자를 칠합니다.

 


  Step 3 - 각 영역에서 한 단계씩 진한 색상으로 영역을 좀 더 세분화시켜서 칠합니다. 검정으로 어두워지는 부분과 그림자를 칠합니다.


  Step 4 - 각 영역의 색을 섞어 명암을 자연스럽게 만듭니다. 역광으로 녹색 계열을사용합니다. 전체적으로 다듬어서 마무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크레파스로는 딱딱하지만 말려있는 치약의 형태를 제대로 표현하지를 못했네요. 크게크게 명암을 나누어 그리는 방식이니까요. 다음에 연필소묘 시간에 치약을 그리게 되면 좀 더 제대로 그려보도록하겠습니다.  

 

 저는 내일 인간 그리기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화요일 색연필 그림 시간 입니다.



 색연필로 식물의 잎 그리기 시간입니다. 이번에 그려볼 식물은 민들레입니다. 민들레하면 주로 봄을 떠올리시는 경우가 많은데요. 민들레 솔직히 날씨만 따듯하면 1년 내내 볼 수 있는 식물이죠? 줄기없이 잎과 뿌리로만 뭉쳐서 자라고 우리에게 익숙한 민들레 홀씨를 바람에 흩날리며 살아가는 여러해살이풀입니다. 저는 생야채로 양념장과 먹는 것을 좋아합니다. 쌉싸름한 맛과 민들레 향이 좋아요. 그만먹고 이제 그려야죠. 


<준비물>



  민들레 잎(Dandelion) 그리기

  Step 1 - 중심 기준선을 긋고 길쭉한 마름모를 기본형태로 그립니다.


  Step 2 - 톱니같은 잎의 외형을 간단히 그리고 잎맥도 선으로 그어놓습니다.

 


  Step 3 - 가시같은 잎의 형태를 스케치하고 잎맥 주변을 좀 더 자세히 그립니다.


  Step 4 - 올리브 그린과 녹색으로 밝은 부분과 중간 부분으로 나누어 전체적인 밑색을 칠합니다.


  Step 5 - 올리브 그린과 녹색으로 잎맥 주변의 어두운 부분의 명암을 나누어 칠합니다.


  Step 6 - 녹색을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잎의 선과 모양을 묘사하고 보라색 계열로 중앙 잎맥에 색을 넣고 정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민들레 잎처럼 형태가 복잡한 잎은 외형때문에 명암을 넣기 전에 어려워 보일 수 있습니다. 잎의 기본형태를 생각해서 잎맥 중심으로 어둠과 밝음으로 나누어 칠해 나가면 되겠습니다. 외관상으로 보여지는 복잡한 형태에 현혹되면 안됩니다.


 저는 내일 연필 소묘 시간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