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수요일 오후의 오일 파스텔 그리기 시간입니다.



 크레파스로 그리는 사물. 오늘은 팽이입니다. 제가 학업으로 바빠서 티비 애니메이션을 등한시 하던 시기가 있었어요. 그런 시기에 우연히 텔레비젼에서 한 애니메이션을 봤습니다. 아이들이 팽이에 칼날을 장착해서 팽이싸움을 하는 무시무시한 애니메이션이었는데요. 그것이 바로 탑블레이드 입니다. 한 때초등학생들 사이에서 유행처럼 팽이 장난감을 보급한 작품이었죠? 지금 생각해보면 팽이를 돌리기 위해서 저렇게 위험한 행동을 해야 하는 것일까라는 의문이 들긴 하지만 당시 학생들의 열정은 진짜였습니다. 이야기는 이쯤하고 그려볼게요.

 

<준비물> 




  팽이(Top) 그리기

  Step 1 - 팽이의 축 방향이 되는 중심선을 긋고 윗면이 되는 납작한 원기둥을 그립니다. 그리고 그 끝에서 팽이의 끝부분으로 이어지는 선을 그어 팽이의 전체적인 형태를 만듭니다. 그리고 팽이의 윗부분의 돌기와 아랫부분을 스케치합니다.


  Step 2 - 노랑과 황토색으로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을 나누어 칠합니다. 빨강으로 옆면의 띠를 칠합니다.

 


  Step 3 - 각 영역에서 한 단계씩 진한 색상으로 영역을 좀 더 세분화시켜서 칠합니다. 검정으로 어두워지는 부분에 연하게 칠하고 역광을 생각해서 녹색을 조금 바릅니다.


  Step 4 - 각 영역의 색을 섞어 명암을 자연스럽게 만듭니다. 역광으로 녹색 계열을 다시 한 번 사용합니다. 전체적으로 다듬어서 마무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제가 그린 팽이는 탑블레이드 이전에 유행하던 줄을 감아 돌리는 형태의 팽이입니다. 한층한층 꼼꼼하게 감아서 돌려야 회전력이 커져서 오래 돌아갈 수 있었죠. 잘 돌리지는 못했지만 생각해보니까 다시 한번 놀아보고 싶네요. 

 

 저는 내일 인간 그리기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화요일 색연필 그림 시간 입니다.



 색연필로 식물의 잎 그리기. 오늘은 목화잎을 그려보겠습니다. 목화하면 생각나는 문익점 선생님이 계시죠? 예전 집집마다 있었던 위인전 중에서 붓통에 목화씨를 숨겨와서 우리나라에 따뜻한 솜을 전파하신 위인으로 나오시는 분인데 요즘에도 그렇게 나오는지 모르겠네요. 지금으로 따지면 밀수를 해오신 셈인데 덕분에 동사하는 사람들의 숫자가 많이 줄었다고 책에 나와있던 기억이 납니다. 혹시나 정설이 따로 있을지도 모르니까 궁금하신 분들은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더 좋은 정보가 있다면 가르쳐 주시구요~ 그럼 오늘 그림 시작하겠습니다.


<준비물>



  목화 잎(Cotton Leaf) 그리기

  Step 1 - 중심 기준선을 긋고 넓게 오각형을 그립니다.


  Step 2 - 다섯 방향으로 주요 측맥선을 긋고 그에 맞춰 잎의 외형을 간단히 그립니다.

 


  Step 3 - 잎의 말려있는 형태와 끝부분을 다듬어 그리고 명암과 작은 잎맥들을 스케치 합니다.


  Step 4 - 노랑과 녹색으로 밝은 부분과 중간 부분으로 나누어 전체적인 밑색을 칠합니다.


  Step 5 - 녹색으로 잎의 어두워지는 부분과 잎의 볼륨을 생각해서 칠합니다. 


  Step 6 - 진한 녹색을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잎의 선과 모양을 묘사하고 정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목화 잎은 생각보다 넓직하게 생겼습니다. 꽃도 아무래도 포근한 형태이고 해서 잎도 그런 이미지이지 않을까 했지만 손바닥처럼 넓게 펼쳐져있는 형태였네요. 다만 크기를 찾아보지 않아서 형태에 비해 크기는 어떨지 모르겠습니다. 오늘은 목화 잎을 그리면서 목화에 대한 정보가 많이 부족했네요. 분명 또 목화를 그릴 때가 있겠죠? 그때는 좀 더 공부를 해오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내일 연필 소묘 시간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수요일 오후의 오일 파스텔 그리기 시간입니다.



 크레파스로 그리는 사물. 오늘은 다리미를 그려볼게요. 공구도 그렇고 모자도 그렇고 조금씩 소재가 겹치고 있어요. 이제 슬슬 다른 주제로 넘어가야할 때가 오고 있나봐요.사물을 그리고 나면 연필처럼 식물을 그려야할지 아니면 다른 주제를 정해야할지 간만에 머리를 써서 고민해야할게 생겼네요. 우선 다리미부터 그리고 생각해보겠습니다. 그려볼게요.

 

<준비물> 



  다리미(Iron) 그리기

  Step 1 - 납작한 직육면체와 그 위로 덩어리가 있는 직육면체를 기본 도형으로 앞부분을 뾰족하게 나누어 다리미의 형태를 스케치합니다.


  Step 2 - 하늘색, 파랑을 밝은 부분과 어둠으로 나누어 칠하고 그림자에도 파랑을 밑색으로 칠합니다. 버튼은 빨강으로 칠했습니다.

 


  Step 3 - 각 영역에서 한 단계씩 진한 색상으로 영역을 좀 더 세분화시켜서 칠합니다. 검정으로 어두워지는 부분에 연하게 칠하고 역광을 생각해서 미리 갈색을 조금 바릅니다.


  Step 4 - 각 영역의 색을 섞어 명암을 자연스럽게 만듭니다. 역광은 갈색 계열을 다시 한 번 사용합니다. 전체적으로 다듬어서 마무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하나의 덩어리에서 여러가지 굴곡이 있는 형태였어요. 앞으로는 곡선과 뾰족함, 뒤로는 넓은 곡선 그리고 손잡이까지 빛에 따라 그림자도 계속해서 달라지는 조금은 어려운 사물이었습니다.

 

 저는 내일 인간 그리기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화요일 색연필 그림 시간 입니다.



 색연필로 식물의 잎 그리기. 이번 시간에는 자작나무 잎을 그려보겠습니다. 불에 태우면 소리가 자작자작 소리가 난다는 자작나무는 군락으로 보면 정말  예쁩니다. 뭔가 신비한 분위기가 있는데요. 조금은 어두운 숲속에서 하얀 나무들이 서있기 때문이죠? 우리나라에도 자작나무 숲이 있는 곳이 있으니까 관광삼아 가보셔도 좋겠습니다. 이제 잎 그려볼게요.  


<준비물>



  자작나무 잎(Birch Leaf) 그리기

  Step 1 - 중심 기준선을 긋고 오각형을 기본형태로 그립니다.


  Step 2 - 양옆으로 측잎맥 선들을 긋고 잎의 톱니형태를 간단히 그립니다.

 


  Step 3 - 큰 톱니 사이사이의 작은 톱니들을 그리고 잎맥들을 중심으로 스케치합니다.


  Step 4 - 올리브 그린과 녹색으로 밝은 부분과 중간 부분으로 나누어 밑색을 칠합니다.


  Step 5 - 녹색으로 잎의 어두워지는 부분과 잎의 볼륨을 생각해서 칠합니다. 


  Step 6 - 진한 녹색과 검정을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잎맥의 선과 모양을 묘사하고 정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잎 모양은 정말 다양하죠? 타원형이나 창형, 손바닥형 여러가지 형태들을 봤지만 이렇게 오각형, 삼각형같은 잎 형태에 톱니형태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자연에서 나타나는 형태들은 정말 사람이 생각할 수 있는 대부분 혹은 그 이상의 형태를 가질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저는 내일 연필 소묘 시간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수요일 오후의 오일 파스텔 그리기 시간입니다.



 크레파스로 그리는 사물. 오늘은 모자 입니다. 얼마 전에 모자를 포스팅했다고 생각했는데 사물 그리기에서 모자를 했더군요. 모양까지 비슷해도 상관은 없지만 다행히 페도라였고 이번 시간의 모자는 야구모자? 캡모자 였습니다. 전체적으로 밝은 느낌으로 칠해보려고 모자를 선택했었는데 어떻게 그려졌을까요? 시작해보겠습니다.

 

<준비물> 




  모자(Cap) 그리기

  Step 1 - 원기둥 형태와 아치형의 판을 붙여 모자의 기본 형태를 만들고 거기에 맞춰서 모자를 스케치합니다.


  Step 2 - 노랑, 주홍을 밝은 부분과 어둠으로 나누어 칠하고 그림자에는 황토색을 밑색으로 칠합니다.

 


  Step 3 - 각 영역에서 한 단계씩 진한 색상으로 영역을 좀 더 세분화시켜서 칠합니다. 검정대신 갈색으로 어두운 부분을 더 나누어 주고 그림자는 검정으로 칠합니다.


  Step 4 - 각 영역의 색을 섞어 명암을 자연스럽게 만듭니다. 역광은 녹색 계열을 사용합니다. 전체적으로 다듬어서 마무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크레파스 느낌은 남겨둔채 노랑을 베이스로 한 색상이 꽤나 잘 나타내진 것 같아요. 쓰고 싶은 모자는 아니지만 그림으로 보기에는 좋아보입니다. 오늘은 만족해요.

 

 저는 내일 인간 그리기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