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수요일 오후의 오일 파스텔 그리기 시간입니다.



 크레파스로 그리는 사물그림. 오늘 시간에는 헤드폰 그리기를 해보겠습니다. 마침 겨울이고 음악을 좋아하는 분들에게는 겨울 최고의 아이템 중 하나가 이 헤드폰일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여름에 헤드폰 사용하면 귀에서 물이 흘러내리죠. 이런 겨울 귀마개 겸 음악감상용으로 사용하면 참 좋습니다. 물론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 거리에서는 사용을 자제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려볼게요.


<준비물> 




  헤드폰(Headphone) 그리기

  Step 1 - 방향을 정해서 납작한 원기둥 형태로 시작하겠습니다. 끝부분에 대각선 방향으로 직육면체 두 개를 그려서 귀마개부분을 그리고 머리띠와 귀마개 부분을 연결해서 전체적인 헤드폰의 형태를 스케치합니다. 


  Step 2 - 하늘색과 파랑으로 밝은 부분, 어두운 부분의 밑색을 칠합니다.

 


  Step 3 - 검정으로 밝은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어둠 영역을 칠합니다.


  Step 4 - 각 영역의 색과 검정색을 섞어 자연스럽게 만듭니다.전체적으로 다듬어서 마무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어두운 부분에서의 묘사를 위해 검정으로 어둠을 합치더라도 경계면 반사광 부분의 색상을 따로 섞어 표현해야지 각 경계들이 보이겠습니다. 헤드폰 그리려고 쇼핑몰을 들락거렸더니 하나 사고 싶어지네요. 자료는 되도록 실물을 그려야 물욕이 없어집니다. 여러분. 

 

 저는 내일 인간 그리기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화요일 색연필 그림 시간 입니다.



 색연필로 식물의 잎 그리기 시간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친숙한 이름 대추나무의 잎을 그려보겠습니다. 대추라고하면 빨갛고 작은 열매로 제삿상의 1번이고 한약재로도 많이 쓰이죠? 그래서 대추는 잘 알지만 대추잎이 어떻게 생겼는지는 별로 관심이 없어요. 오늘 그 대추잎을 보여드릴게요. 이미 보셨죠. 시작하겠습니다. 


<준비물>



  대추 잎(Jujube) 그리기

  Step 1 - 중심 기준선을 긋고 타원형을 준비합니다.


  Step 2 - 중심 잎맥 외에 세로 잎맥을 긋고 잎의 외형을 간단히 그립니다.

 


  Step 3 - 잎의 외형과 잎맥을 다듬어서 그리고 명암의 영역을 간단히 설정합니다.


  Step 4 - 올리브 그린과 녹색으로 전체적인 밑색을 칠합니다.


  Step 5 - 올리브 그린과 녹색으로 잎맥과  간단한 명암을 나누어 칠합니다.


  Step 6 - 진한 녹색과 전체적으로 잎의 선과 모양을 묘사하고 정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대추 잎의 잎맥이 독특하죠?없을만한 형태는 아니지만 세 갈래의 세로 잎맥 사이사이로 측맥들이 퍼져있는 모습은 평범한 잎의 외형과는 다르게 신기해 보입니다. 식물 그림을 그리고 있으면 뭔가 인간이 상상할 수 있는 형태는 모두 실존한다라는 느낌이 듭니다. 


 저는 내일 연필 소묘 시간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수요일 오후의 오일 파스텔 그리기 시간입니다.



 크레파스로 그리는 사물그림. 이번 시간에는 자물쇠를 그려보겠습니다. 흔히 창고 같은 곳에서 볼 수 있는 황동 자물쇠입니다. 금속질감까지는 아니지만 강한 어둠과 하이라이트를 이용한 그림을 그려보면 좋겠는데 자물쇠로는 그 정도까진 힘들것 같고 오늘은 연습정도만 해보겠습니다.


<준비물> 




  자물쇠(Lock) 그리기

  Step 1 - 특정 방향으로 향하는 납짝한 직육면체를 그리고 자물쇠의 윗부분 쇠를 그리기 위해 방향을 튼 직육면체를 다시 그립니다. 기본형태가 그려지면 윗부분은 원기둥을 그리는 방법으로 아치형 형태를 그려주고 아래 몸통 부분은 중심에서 양쪽으로 얇아지는 형태로 전체적인 자물쇠를 스케치합니다.


  Step 2 - 하늘색으로 쇠부분을 노랑으로 몸통의 밝은 부분, 황토색으로 어두운 부분과 그림자의 밑색을 칠합니다.

 


  Step 3 - 검정으로 쇠의 어두운 부분과 그림자를 갈색으로 몸통의 어둠을 칠합니다.


  Step 4 - 각 영역의 색과 검정색을 섞어 자연스럽게 만듭니다. 쇠부분의 하이라이트를 남깁니다. 전체적으로 다듬어서 마무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스케치 스캔을 하지 못했어요.그래서 영상컷을 사용했죠. 실수를 줄여야하는데 실수가 늘어났네요.

 쇠부분을 칠할 때는 밑색과 검정을 섞어칠하던 지난 번과는 달리 검정과 색상의 하이라이트를 극단적으로 끊어서 칠하는 것이 광택을 표현하기에는 더 좋겠습니다. 마음같아서는 화이트도 있으면 좋겠지만 흰색 색상도 없고 들어가기에는 이번에는 공간이 협소하네요. 다음 번에 제대로 쇠느낌이 나는 사물을 그려보겠습니다.

 

 저는 내일 인간 그리기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화요일 색연필 그림 시간 입니다.



 색연필로 식물의 잎 그리기 시간입니다. 오늘 그려볼 식물의 잎은 콜레우스 입니다. 갑작스런 영어 이름이 익숙하지 않으시겠지만 아마 모습을 보면 이 식물 본 것 같다라는 생각을 하실 겁니다. 콜레우스를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곳은 길가 도로변에 설치된 화단인데요. 생긴 것은 깻잎같은데 색상은 알록달록 식물이 보인다면 그게 콜레우스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려볼게요.


<준비물>



  콜레우스 잎(Coleus) 그리기

  Step 1 - 중심 기준선을 긋고 오각형의 기본형태로 시작합니다.


  Step 2 - 측맥들을 선으로 그리고 깻잎같은 잎의 외형을 간단히 그립니다.

 


  Step 3 - 잎의 외형과 잎맥을 다듬어서 그리고 명암의 영역을 간단히 설정합니다.


  Step 4 - 보랏빛에 가까운 자주빛과 녹색으로 전체적인 밑색을 칠합니다.


  Step 5 - 녹색과 자주색으로 잎맥 주변의 어두운 부분의 명암을 나누어 칠합니다.


  Step 6 - 진한 녹색과 보라색을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잎의 선과 모양을 묘사하고 정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콜레우스의 색상은 이 색상 외에도 여러가지 색 조합이 있습니다. 검색해보시고 원하시는 색상으로 그려보시길 바랍니다. 혹은 꼭 있는 색상으로 그리지 않으셔도 됩니다. 이럴 때는 마음껏 안 써보던 색상을 써보는 것도 하나의 재미겠습니다. 


 저는 내일 연필 소묘 시간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수요일 오후의 오일 파스텔 그리기 시간입니다.



 크레파스로 그리는 사물그림. 이번 시간에는 국자입니다. 예전에 펜드로잉을 하며 그렸었죠? 연필로도 그렸던가? 그렸던 것 같아요. 국자 뭔가 덩어리적인 요소에 깊이감도 있고 선적인 요소도 있어서 그리기 좋은 소재 같아요. 한번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국자(Ladle) 그리기

  Step 1 - 국자의 방향을 정하는 선을 긋고 국자부분을 위한 육면체를 방향선에 맞춰서 그립니다. 손잡이의 형태선을 긋고 전체적인 국자를 스케치합니다.


  Step 2 - 분홍색과 하늘색으로 밝은 부분 위주로 밑색을 칠합니다.

 


  Step 3 - 어두운 부분을 검정색으로 칠합니다.


  Step 4 - 각 영역의 색과 검정색을 섞어 자연스럽게 만듭니다. 전체적으로 다듬어서 마무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지난 시간 체스말을 그릴 때 검정이란 느낌이 적어서 좀 아쉬웠어요. 그래서 이번에는 전체적으로 검정의 비율을 높여 검은 국자를 그려보았습니다. 검정은 입자가 거칠어서 다른 색과 섞으면서 부드럽게 올리고 싶었는데 결과적으로 다른색의 밝음이 너무 살아버린듯해요. 검정을 더 칠해도 좋았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보통은 검정의 입자가 엄청 고운 편인데 아무래도 크레파스가 오래되어서 그런가 봅니다. 빨리 써버려야지.

 

 저는 내일 인간 그리기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