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화요일 색연필 그림 시간 입니다.


 색연필로 식물의 잎을 그려보는 시간, 오늘은 떡갈나무 잎을 그려보겠습니다. 이전에도 연필로 그렸던 기억이 있는데요. 혹시나 떡갈나무가 무슨 나무인지 모르실 분들을 위해 간단히 말씀드리자면 일종의 도토리나무라고 할 수 있겠어요.비슷한 종류로 상수리 나무, 졸참나무 등이 있겠는데요. 이런 나무들은 보통 참나무에 속해 있죠? 검색해보시면 아마 미묘하게 다른 도토리들이 종류 별로 보여질 것입니다. 이제 시작할게요.  


<준비물>



  떡갈나무 잎(Oak Tree) 그리기

  Step 1 -  중앙 잎맥과 잎의 방향을 정하기 위한 선을 긋고 잎의 형태를 간단히 그립니다.


  Step 2 -  옆으로 뻗어나가는 잎맥(측맥)을 선으로 정하고 잎의 외형을 만듭니다.

 

  Step 3 - 잎맥들을 중심으로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영역을 나누어 그립니다.


  Step 4 - 노랑, 연한 갈색, 녹색 등의 색으로 밝은 영역과 중간 영역의 색을 채워넣습니다.


  Step 5 - 진한 녹색를 추가하여 밝은 영역과 중간 영역의 경계와 어두운 영역을 묘사합니다.


  Step 6 - 검은색으로 진한 녹색으로 전체적인 잎의 묘사와 외형을 정리합니다. 그리고 갈색을 이용하여 변색된 부분을 표현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이런 활엽수들은 중앙 잎맥과 측맥들 주변을 잘 공략해서 묘사하면 되겠습니다. 이제 어느 정도 공식이 보이네요. 크게 명암을 만들고 면을 나누고 묘사하는 방식으로요. 오일 파스텔 시간이나 연필소묘 시간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만 제가 색연필 성질을 파악하는데 시간이 걸려서 저에게 맞는 방법을 고르지 못하는 같아요. 머 우선은 그림을 심하게 망치거나 하는 것은 아니니깐 넘어가겠습니다. 


 저는 내일 연필 소묘 시간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수요일 오후의 오일 파스텔 그리기 시간입니다.


 크레파스로 사물 그리기. 지난 시간 의자 그리기에 이어서 이번에는 책상입니다. 매번 소묘 다음으로 오일 파스텔 시간을 가지기 때문에 소묘 시간에 비해 너무 편하네요. 막상 그리고 나면 아쉬움도 남겠지만 이 편안함 그대로 책상 그리기 시작하겠습니다.

 

<준비물> 




  책상(Desk) 그리기

  Step 1 -  크고 길쭉한 직사각형을 그리고, 서랍과 다리 부분으로 나누어 스케치합니다.


  Step 2 -  밝은 색은 분홍색으로 중간색인 3번 색은 황토색으로 칠합니다. 어두운 부분은 갈색으로 간단히 칠합니다.

 


  Step 3 - 각 영역에서 한 단계씩 진한 색상으로 영역을 좀 더 세분화시켜서 칠합니다. 어두운 부분에는 검정색으로 조절합니다.


  Step 4 - 각 영역의 색을 섞어 명암을 자연스럽게 만듭니다. 보색으로 녹색 계열을 사용해서 역광을 표현합니다. 전체적으로 다듬어서 마무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붉은 나무책상을 그려보려고 밝은 부분은 핑크색을 사용했는데 생각보다 잘 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명암만 맞으면 어떤 색이면 상관없습니다. 아직 엄청 다양한 색상은 사용하지 않고 있으니까요.


 저는 내일 인간 그리기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화요일 색연필 그림 시간 입니다.


 색연필로 식물의 잎 그리기를 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소나무 잎. 그러니까 솔잎을 그려보겠습니다. 왠지 솔잎은 뾰족뾰족한 침형으로 되어있으니까 잎의 끝부분에서 이어지는 나뭇가지 부분만 신경쓰면 별다르게 어렵지 않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제가 누굽니까? 쉬운 것도 어렵게 돌아가는 찰리입니다. 제가 어떻게 스스로 고생하는지 보여드리겠습니다. 시작할게요.  


<준비물>



  소나무 잎(Pine Tree) 그리기

  Step 1 -  솔잎의 영역을 간단히 정한 후에 솔잎이 뭉쳐지는 부분과 가지의 영역을 크게 나누어 그립니다.


  Step 2 -  각 잎이뻗어나가는 방향을 선으로 나타내고 그 잎들이 가지부분에 연결되는 외형을 간단히 그립니다.

 


  Step 3 - 잎과 가지의 굴곡을 전체적으로 정리하며 스케치합니다.


  Step 4 - 잎의 밝은 부분, 중간 부분 위주로 연두색, 녹색으로 간단히 칠하고, 가지 부분에도 노랑, 연한 갈색과 붉은 갈색으로 색을 채워넣습니다.


  Step 5 - 진한 녹새으로 잎의 명암과 외형을 깔끔하게 정리하고, 가지 부분에도 검은 색으로 명암을 조절하고정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생각보다 더 오래 걸렸어요. 역시 그림을 어렵게 그리는 방법을 잘 아는 것 같습니다. 이제는 좀 더 쉽게 그리고 싶은데 말이죠. 걱정마세요. 아직 그릴 것은 많이 남았으니까요.


 저는 내일 연필 소묘 시간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수요일 오후의 오일 파스텔 그리기 시간입니다.



 크레파스로 간단한 사물을 그리기. 이번 시간 그려볼 사물은 의자입니다. 나무 의자요. 의자 중에서 적당히 어려우면서 표현하기 좋은 의자는 옛날 국민학교 나무의자라고 하죠? 약간 그런 느낌으로 그려보겠습니다. 너무 자세하게 그리면 안 될텐데 적당히 해보겠습니다.

 

<준비물> 




  의자(Chair) 그리기

  Step 1 -  직사각형 틀에 맞춰서 의자의 앉는 부분과 등받침, 다리 부분을 나누어 스케치 합니다. 그리고 바닥의 그림자도 그려줍니다.


  Step 2 -  2번 밝은 색은 노란색으로 중간색인 3번 색은 황토색으로 칠합니다. 전체적인 색감을 황토색 계열의 나무색으로 하고 싶어서 이 색 위주로 칠하겠습니다.

 

  Step 3 - 각 영역에서 한 단계씩 진한 색상으로 영역을 좀 더 세분화시켜서 칠합니다. 노란색에는 황토색으로 나머지 황토색 부분에는 검은색을 조금씩 칠해서 색을 맞춥니다.


  Step 4 - 검은색과 황토색을 섞어 넣으면서 명암을 자연스럽게 만듭니다. 전체적으로 다듬어서 마무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의자 형태만 생각해서 스케치를 너무 자세하게 그리게 되면 오일 파스텔로는 칠하기 힘든 구간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어느 정도 디테일의 그림으로 그릴지 계획을 세우고 시작해야겠습니다.


 저는 내일 인간 그리기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화요일 색연필 그림 시간 입니다.



 색연필로 잎 그리기. 세 번째 그려볼 잎은 느티나무 잎 입니다.영어로 톱날잎 나무라고 되어있죠? 예전에도 연필로 간단히 그려보았지만 잎에 색을 넣게 되면 생각보다 어려울 것 같은 모양입니다. 시작해보겠습니다. 


<준비물>



  느티나무 잎(Saw-leaf) 그리기

  Step 1 -  잎의 방향, 중앙 잎맥을 그리기 위한 선을 긋고, 타원형으로 길쭉하게 형태를 만듭니다.


  Step 2 -  톱날같은 잎의 형태를 만들고 간단하게 잎맥들을 나누어 그립니다.

 

  Step 3 - 잎의 밝은 부분, 중간 부분, 어두운 부분을 나누어 영역별로 스케치합니다.


  Step 4 - 잎의 밝은 부분, 중간 부분 위주로 노란색, 연두색 등으로 채워넣습니다.


  Step 5 - 색이 겹쳐지는 경계부분과 어두운 부분 위주로 색을 좀 더 나누어 칠합니다. 


  Step 6 -  잎의 외형과 잎맥에 맞춰 전체적으로 정리하면서 묘사합니다. 부분부분 시들거나 병충해를 입은 부분에 갈색과 검정으로 묘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밝은 영역과 중간영역, 어두운 영역 순서대로 영역을 나누고 묘사해가는 방법을 사용하면서 그림은 괜찮아 보이지만 쉬운 방법은 아닌 것 같은데요. 조만간 좀 더 쉬운 방법을 찾아봐야겠습니다. 이건 저를 위해서도 그렇지만 보시는 분들을 위해서라도 좀 더 보편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 같아요.


 저는 내일 연필 소묘 시간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