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수요일 오후의 오일 파스텔 그리기 시간입니다.


 크레파스로 간단한 사물을 그리기. 이번 시간에는 병을 그려볼겁니다. 조금씩 형태가 복잡해진다고 했었는데 오늘은 다시 편한한 마음으로 그려보겠습니다. 그렇다고 마냥 쉽지는 않겠습니다. 원기둥은 어려우니까요. 그려볼께요.

 

<준비물> 



  병(Bottle) 그리기

  Step 1 -  원기둥의 기본형태에 맞춰서 병을 간단히 스케치합니다. 바닥의 그림자도 형태에 맞춰서 그립니다.


  Step 2 -  2번 밝은 색은 핑크색으로 중간색인 3번 색은 하늘색으로 칠했습니다. 그리고 조금 약하지만 어두운 색으로 파란색을 사용해서 간단히 명암의 영역을 나누어 칠합니다.

 

  Step 3 - 각 영역에서 한 단계씩 진한 색상으로 영역을 좀 더 세분화시켜서 칠합니다. 검은색을 이용해 어두운 부분을 더 나누어 칠합니다.


  Step 4 - 부분에 따라 좀 더 어두운 색을 섞어 넣으면서 명암을 자연스럽게 만듭니다. 어두운 부분에 보색으로 갈색을 섞어 칠합니다. 전체적으로 다듬어서 마무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병의 형태는 원기둥의 형태죠? 얇은 부분에서 두꺼워지는 부분까지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영역을 잘 지켜서 칠해주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어두운 부분은 검은색으로 강하게 잡아주면 원기둥의 둥글게 돌아가는 느낌이 확실히 살겠습니다.


 저는 내일 인간 그리기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화요일 색연필 그림 시간 입니다.


 지난 시간부터 조금 자세하게 색연필로 잎 그리기를 시작했습니다. 조금 어려운 과정일지도 모르겠지만요. 이제 슬슬 이런 어려움을 마주해야할 시기가 아닐까 싶습니다. 제가 첫 시간이라서 긴장해서 더 공들인 부분도 있을테고 몇 번 그리고 나면 좀 더 가벼운 마음으로 그릴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마음가짐으로 오늘도 잎 그리기 시작해보겠습니다. 이번 시간에 그려볼 잎은 길쭉하고 나란한 잎맥을 가진 대나무 잎입니다. 다른 잎에 비해 단순한 잎맥을 가진 만큼 조금은 쉽게 그릴 수 있을 거예요. 시작하겠습니다.


<준비물>



  대나무 잎(Bamboo) 그리기

  Step 1 -  잎의 방향, 중앙 잎맥을 그리기 위한 선을 긋고, 창 모양에 가까운 잎의 형태를 간단히 그립니다. 


  Step 2 -  잎의 외형을 다듬어 그린 후 눈에 띄는 잎맥 위주로 잎맥 묘사와 잎의 명암(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을 대략적으로 스케치합니다.

 

  Step 3 - 잎의 밝은 부분, 중간 부분, 어두운 부분을 나누어 영역별로 간단하게 색을 채워넣습니다.


  Step 4 - 색이 겹쳐지는 경계부분과 어두운 부분 위주로 색을 좀 더 나누어 칠합니다.


  Step 5 -  잎의 외형과 잎맥에 맞춰 전체적으로 정리하면서 묘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잎맥이 세로로 맞춰져서 조금 쉬었죠? 저는 색연필 선이 조금 거칠게 나와서 조금 마음에 들지 않지만 지난 시간보다는 힘을 빼고 그린 것 같아서 괜찮았습니다. 대나무 잎은 잎맥과 잎의 볼륨에만 주의해서 그린다면 크게 어렵지는 않겠습니다.


 저는 내일 연필 소묘 시간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수요일 오후의 오일 파스텔 그리기 시간입니다.

 크레파스로 간단한 사물을 그리고 있습니다. 간단한 사물찾기가 힘들어져서 점점 복잡해지고 있는 가운데 오늘은 가방을 그려보겠습니다. 그냥 가방도 아니고 엔틱한 느낌의 가죽 가방입니다. 잘 그리면 예쁘겠지만 그리는데 애 좀 먹을 것 같습니다. 그려볼께요.

 

<준비물> 




  가방(Bag) 그리기

  Step 1 -  가방 모양으로 직육면체를 먼저 그립니다. 그리고 손잡이, 가죽끈 모양을 간단히 그려서 스케치를 하고 바닥의 그림자도 그립니다.


  Step 2 -  붉은 색을 기본색으로 색을 칠하겠습니다. 2번 색인 노란색과 주황색으로 가장 밝은 부분을 칠하고, 밝은 갈색과 빨간 색을 3번 색으로 중간색을 칠합니다. 어두운 부분과 그림자에는 4번 색으로 진한 갈색을 칠합니다.

 

  Step 3 - 각 영역에서 한 단계씩 진한 색상으로 영역을 좀 더 세분화시켜서 칠합니다.


  Step 4 - 부분에 따라 좀 더 어두운 색을 섞어 넣으면서 명암을 자연스럽게 만듭니다. 어두운 부분에 보색으로 푸른색을 섞어 칠합니다. 전체적으로 다듬어서 마무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이번 가방을 그릴 때는 두 가지 색상을 이용해서 그려보았습니다. 갈색 계열과 붉은 색 계열을 사용했어요. 두 색상 다 따뜻한 색계열이라서 보색은 푸른색 계열 하나만 사용해도 상관 없었습니다. 약간 회색느낌도 있고 보색과 그림자 사이의 공간감도 느껴져서 괜찮아 보입니다. 여기까지 입니다.


 저는 내일 인간 그리기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화요일의 색연필 그림 시간 입니다.


 오늘부터는 본겨적으로 각 식물들의 잎을 하나씩 그려볼께요. 예전에 연필로 잎을 간단히 그린 적이 있으니까 그때 그렸던 그림과 다른 자료들을 참고로 스케치 후에 색연필로 색칠까지 해보겠습니다. 조금 자세하게 할 생각이라서 어려울지도 모르겠어요. 시작해보겠습니다.


<준비물>



  감나무 잎(Persimmon) 그리기

  Step 1 -  중앙 잎맥 선을 긋고 타원형으로 잎의 형태를 간단히 그립니다.


  Step 2 -  중앙 잎맥을 그리고 옆으로 뻗어나가는 측맥들을 선으로 간단히 그립니다. 그리고 잎의 외형을 좀 더 다듬어 그립니다.

 

  Step 3 - 잎의 밝은 부분, 어두운 부분을 나누어 영역별로 스케치합니다.


  Step 4 - 밝은 색과 중간색, 어두운 색으로 나누어 영역별로 간단하게 색을 채워넣습니다.


  Step 5 -  색이 겹쳐지는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색을  좀 더 세밀하게 나누어 칠합니다.


  Step 6 -  잎의 외형과 잎맥 주위의 자세한 묘사를 하고 마무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지금까지 그렸던 그림에 비해 꽤나 자세하죠? 사진이나 다른 자료를 잘 참고해야겠습니다. 그리고 잎의 색 흐름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앞서 잎의 색을 칠하는 연습을 했을 때 처럼 잎맥을 중심으로 밝음과 어둠이 나누어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잎의 굴곡 형태를 안다는 것이 색을 칠할 때 많은 도움이 될 것 입니다. 


 저는 내일 연필 소묘 시간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색(Coloring) > 색연필(Color Penc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잎[Leaf]06 - 느티나무 잎(Saw-leaf)  (0) 2018.08.14
잎[Leaf]05 - 대나무 잎(Bamboo)  (0) 2018.08.07
잎[Leaf]03 - 잎(Leaf)(3)  (0) 2018.07.24
잎[Leaf]02 - 잎(Leaf)(2)  (0) 2018.07.17
잎[Leaf]01 - 잎(Leaf)(1)  (0) 2018.07.10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수요일 오후의 오일 파스텔 그리기 시간입니다.


 이번 시간 크레파스로 그려볼 사물은 납작한 직육면체 형태를 이루고 있는 책입니다. 이런 형태의 책을 양장본이라고 하나요? 두꺼워서 보기 싫은 책이 이렇게 생긴 경우가 많은데 이런 모습의 책들이 그림으로 그리면 보기에 좋습니다. 가볍게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책(Books) 그리기

  Step 1 -  우선 납작한 직육면체를 방향이 다르게 겹쳐서 책의 기본형태를 그리고 책의 스케치를 간단히 합니다.


  Step 2 -  밝은 부분과 어두운 영역을 크게 몇 부분으로 나누어 밑색을 칠합니다. 2번 색을 분홍새, 3번색은 빨강으로, 4번은 진한 갈색으로 선택해서 밑색을 칠했습니다. 책의 종이 부분은 밝게 흰색으로 남겨 두었습니다.

 

  Step 3 - 어두운 영역을 좀 더 나누겠습니다. 핑크색에는 빨강을 빨강에는 진한 갈색으로, 갈색과 그림자 부분에는 검은색을 사용해서 영역을 나눕니다. 종이 부분에는 밝은 하늘색으로 명암을 넣습니다.


  Step 4 - 부분에 따라 좀 더 어두운 색을 섞어 넣으면서 명암을 자연스럽게 만듭니다. 전체적으로 다듬어서 마무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이번에는 보색을 역광 부분 색을 넣지 않았는데요. 종이 부분의 밝은 부분에 반대색을 사용하기도 했고 보색을 넣기에 어두운 영역이 충분치 않다고 생각해서 뺐습니다. 물론 크레파스 색상이 더 다양했다면 색상 변화가 좀 더 다채로워졌겠죠?


 저는 내일 인간 그리기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