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수요일 오후의 오일 파스텔 그리기 시간입니다.



 크레파스로 사물 그리기. 지난 주에 망치가 그리기 좋아서 이번에도 공구를 그려볼까 했는데 당장 생각나는 공구들은 하나같이 덩어리감이 없어 보입니다. 그러다가 발견한 것이 농기구로 분류되어있는 모종삽입니다. 일단 구조는 공구와 비슷하면서 적절한 부피감을 가지고 있어서 괜찮아 보이네요. 그래서 그려보겠습니다, 모종삽. 

 

<준비물> 




  모종삽(Trowel) 그리기

  Step 1 -  납작한 직육면체의 앞부분과 길쭉한 직육면체의 손잡이 부분을 기본형태로 그립니다. 앞부분을 삼각형 형태로 잘 나누어 삽의 형태를 스케치합니다.


  Step 2 -  삽부분은 지난 시간 망치처럼 밝은 색을 하늘색 어두운 부분은 파란색을 칠하고, 손잡이 부분은 노란색과 황토색으로 칠했습니다. 그림자에는 갈색과 파란색을 사용했습니다.

 

  Step 3 - 각 영역에서 한 단계씩 진한 색상으로 영역을 좀 더 세분화시켜서 칠합니다. 검정을 사용해서 삽의 어두운 부분을 더 나누어 주고 그림자도 어둡게 만듭니다.


  Step 4 - 각 영역의 색을 섞어 명암을 자연스럽게 만듭니다. 역광은 손잡이 부분만 푸른색 계열을 사용합니다. 전체적으로 다듬어서 마무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매끈하게 삽이 완성되어서 질감은 깜빡했어요. 질감을 넣기에도 애매하기도 하구요. 이런 매끈한 그라데이션 좋아합니다. 그림자도 이번에는 바로 아래로 쉽게 나타나서 따로 계산할 필요가 없어서 좋았습니다. 그림을 그리면서 자꾸만 편한 것을 찾아서 큰일이네요. 

 

 저는 내일 인간 그리기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수요일 오후의 오일 파스텔 그리기 시간입니다.



 크레파스로 사물 그리기. 오늘은 공구 중에서 대표적인 공구, 망치를 그려보겠습니다. 망치 만힝 그렸었죠? 사물기초, 사물그리기, 펜드로잉 까지 많이도 그렸네요. 하지만 지겹지도 않은지 또 이렇게 준비했습니다. 색을 넣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니까요. 연필로 간단한 명암을 넣었을 때와 색이 들어갔을 때 어떻게 달라지는지 비교해봐도 좋겠습니다. 시작할게요.

 

<준비물> 




  망치(Hammer)그리기

  Step 1 -  망치의 기본 형태는 T 형태로 직육면체 2개를 교차시켜 준비합니다. 그리고 원기둥으로 망치 부분을 뒤쪽의 장도리 부분을 그려서 망치의 스케치를 완성합니다.


  Step 2 -  망치 부분은 밝은 색을 하늘색 어두운 부분은 파란색을 칠하고, 손잡이 부분은 노란색과 황토색으로 칠했습니다. 그림자에는 갈색과 파란색을 사용했습니다.

 

  Step 3 - 각 영역에서 한 단계씩 진한 색상으로 영역을 좀 더 세분화시켜서 칠합니다. 검정을 사용해서 손잡이와 그림자가 강해지는 부분을 칠합니다.


  Step 4 - 각 영역의 색을 섞어 명암을 자연스럽게 만듭니다. 역광은 녹색 계열을 사용합니다. 전체적으로 다듬어서 마무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망치는 쇠질감과 나무 질감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서 이렇게 두 가지 색상으로 나누어 칠했습니다. 아직 질감을 연습하지는 않았지만 가볍게 질감 흉내도 내보았습니다. 연필로 그릴 때 보다는 디테일은 떨어져도 확실히 눈에 확들어오네요. 색이 확실히 좋아요.

 

 저는 내일 인간 그리기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수요일 오후의 오일 파스텔 그리기 시간입니다.



 크레파스로 사물 그리기. 오늘은 스틸 느낌의 주전자입니다. 최근에는 연필로 사물그리기에서 그렸던 소재들이 계속 등장하는 것 같네요. 소재의 고갈도 있지만 재료 연습을 할 때는 익숙한 기본 형태의 소재들을 반복적으로 그려보는 것이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새로운 소재는 연필 그리기에서 그리면서 차곡차곡 자료로 쌓아두었다가 어떤 재료로든 색을 입혀보겠습니다. 우선은 주전자 그려볼게요. 

 

<준비물> 




  주전자(Kettle) 그리기

  Step 1 -  납작한 원기둥 위에 반 구 형태를 엎어놓은 듯한 기본 형태입니다. 그 위로 주전자의 주둥이, 덮개, 손잡이를 붙여 주전자를 스케치합니다.


  Step 2 -  밝은 색은 분홍색으로 중간색인 3번 색은 하늘색으로 어두운 부분은 파랑색으로 각 영역을 구분하여 칠합니다.

 


  Step 3 - 각 영역에서 한 단계씩 진한 색상으로 영역을 좀 더 세분화시켜서 칠합니다. 검정을 사용해서 손잡이와 그림자가 강해지는 부분을 칠합니다.


  Step 4 - 각 영역의 색을 섞어 명암을 자연스럽게 만듭니다. 보색으로 갈색 계열을 사용해서 역광을 표현합니다. 전체적으로 다듬어서 마무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이번에는 질감도 조금은 신경을 써봤습니다. 쇠 질감이니까 빛과 어둠이 심하게 나타나겠죠? 빛이 들어오는 부분은 하얗게 남기고 그림자 부분은 일정부분을 강한 어둠으로 칠했습니다. 물론 형태에 맞춰서 색의 변화가 더 있으면 좋겠지만 아직은 쉽게쉽게 가겠습니다.


 저는 내일 인간 그리기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수요일 오후의 오일 파스텔 그리기 시간입니다.


 크레파스로 사물 그리기. 지난 시간 의자 그리기에 이어서 이번에는 책상입니다. 매번 소묘 다음으로 오일 파스텔 시간을 가지기 때문에 소묘 시간에 비해 너무 편하네요. 막상 그리고 나면 아쉬움도 남겠지만 이 편안함 그대로 책상 그리기 시작하겠습니다.

 

<준비물> 




  책상(Desk) 그리기

  Step 1 -  크고 길쭉한 직사각형을 그리고, 서랍과 다리 부분으로 나누어 스케치합니다.


  Step 2 -  밝은 색은 분홍색으로 중간색인 3번 색은 황토색으로 칠합니다. 어두운 부분은 갈색으로 간단히 칠합니다.

 


  Step 3 - 각 영역에서 한 단계씩 진한 색상으로 영역을 좀 더 세분화시켜서 칠합니다. 어두운 부분에는 검정색으로 조절합니다.


  Step 4 - 각 영역의 색을 섞어 명암을 자연스럽게 만듭니다. 보색으로 녹색 계열을 사용해서 역광을 표현합니다. 전체적으로 다듬어서 마무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붉은 나무책상을 그려보려고 밝은 부분은 핑크색을 사용했는데 생각보다 잘 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명암만 맞으면 어떤 색이면 상관없습니다. 아직 엄청 다양한 색상은 사용하지 않고 있으니까요.


 저는 내일 인간 그리기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수요일 오후의 오일 파스텔 그리기 시간입니다.



 크레파스로 간단한 사물을 그리기. 이번 시간 그려볼 사물은 의자입니다. 나무 의자요. 의자 중에서 적당히 어려우면서 표현하기 좋은 의자는 옛날 국민학교 나무의자라고 하죠? 약간 그런 느낌으로 그려보겠습니다. 너무 자세하게 그리면 안 될텐데 적당히 해보겠습니다.

 

<준비물> 




  의자(Chair) 그리기

  Step 1 -  직사각형 틀에 맞춰서 의자의 앉는 부분과 등받침, 다리 부분을 나누어 스케치 합니다. 그리고 바닥의 그림자도 그려줍니다.


  Step 2 -  2번 밝은 색은 노란색으로 중간색인 3번 색은 황토색으로 칠합니다. 전체적인 색감을 황토색 계열의 나무색으로 하고 싶어서 이 색 위주로 칠하겠습니다.

 

  Step 3 - 각 영역에서 한 단계씩 진한 색상으로 영역을 좀 더 세분화시켜서 칠합니다. 노란색에는 황토색으로 나머지 황토색 부분에는 검은색을 조금씩 칠해서 색을 맞춥니다.


  Step 4 - 검은색과 황토색을 섞어 넣으면서 명암을 자연스럽게 만듭니다. 전체적으로 다듬어서 마무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의자 형태만 생각해서 스케치를 너무 자세하게 그리게 되면 오일 파스텔로는 칠하기 힘든 구간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어느 정도 디테일의 그림으로 그릴지 계획을 세우고 시작해야겠습니다.


 저는 내일 인간 그리기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