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간단한 스케치업 모델링 연습 시간. 지난 주 부터 시작된 스케치업의 새로운 연습시간. 모델링 연습하기 시간입니다. 생각해보니 모델링이라는 단어가 생소하신 분들도 계실테니 간단하게 설명해보자면 단어 뜻은 모형 제작이나 조형 등의 입체 표현를 뜻하는 단어라고 합니다. 그래서 3D소프트웨어를 사용하시면 모델링이라는 단어가 형태를 제작하는 용어라는 것을 알게 되실 것입니다. 오늘은 두 번째 대충 만들기로 컵을 만들어보겠습니다.

<준비물>
 제가 공부를 할 때는 2017 Make 버젼이라는 무료 버젼을 사용했었는데 지금은 지원을 중단했다고 하네요. 다른 다운로드 루트가 아직 살아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스케치업 홈페이지에서 웹브라우져에서 작동할 수 있는 스케치업 프리 버젼이 있으니까 그것을 사용하시거나 정품을 구매하셔야 할 것 같아요.

 #컵 대충 만들기(Roughly Cup)

  Step 1 - 우선 원 도구로 원을 하나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컵 높이만큼 밀기/끌기로 높여줍니다.


  Step 2 - 오프셋으로 컵의 두께를 정한 후 밀기/끌기로 다시 한번 컵의 깊이를 만듭니다. 그러면 간단한 컵의 형태가 만들어졌습니다.


  Step 3 - 이제 이 컵을 복사해서 한쪽으로 선을 긋습니다. 이때 선은 X 혹은 Y축으로 그려주면 방향을 맞추기가 쉽겠죠?


  Step 4 - 이 선을 기준으로 사각형을 그리고 오프셋으로 이 사각형에 두께를 만듭니다. 이동툴을 이용해서 컵 쪽에 가까운 두께선을 컵으로 완전히 붙여서 선을 없앱니다. 그리고 면을 삭제합니다.


  Step 5 - 이제 남아있는 면으로 밀기/끌기를 사용하면 컵의 손잡이를 간단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Step 6 - 컵을 한번 더 복사해서 이번에는 윗부분의 두 선(외곽선과 안쪽 두께선)을 선택해서 스케일 툴을 사용합니다. 스케일에서 Ctrl 키를 누르면 중앙을 중심으로 스케일이 조정되죠? 그렇게 해서 컵의 입구를 조절합니다.


  Step 7 - 이렇게 간단한 컵 만들기는 끝이 났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저는 물건을 만들 때 두께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편인데요. 연습의 목적은 이전에 나왔던 여러가지 툴들을 사용하면서 익숙해지는 거니까 이 정도 퀄리티면  충분합니다. 이렇게 컵을 만들어 보았고 다음 시간에도 간단하게 사물들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저는 내일 연필 소묘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TV에서 영상보기
네이버TV에서 영상보기
페이스북에서 영상보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스케치업 시작하기를 대충 끝내고 이번에는 형태를 만드는 모델링 연습을 좀 더 해보려고 합니다. 만들고 싶은 것은 많은데 어떤 기본 형태를 거쳐서 만들면 좋을지 연습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그래서 돌아온 대충 만들기 시리즈로 1가지 사물을 간단하게 만들어 보겠습니다. 오늘은 그 첫 번째로 상자 대충 만들기입니다.

<준비물>
 제가 공부를 할 때는 2017 Make 버젼이라는 무료 버젼을 사용했었는데 지금은 지원을 중단했다고 하네요. 다른 다운로드 루트가 아직 살아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스케치업 홈페이지에서 웹브라우져에서 작동할 수 있는 스케치업 프리 버젼이 있으니까 그것을 사용하시거나 정품을 구매하셔야 할 것 같아요.

 #상자 대충 만들기(Roughly Box)

  Step 1 - 상자 만들기 첫 번째는 직사각형으로 밑면 만들기 입니다. 적당한 크기로 밑면을 만듭니다.


  Step 2 - 밀기/끌기 툴로 높이를 맞추고


  Step 3 - 오프셋으로 두께를 설정합니다.


  Step 4 - 밀기/끌기 툴로 바닥이 뚫리지 않게 공간을 마련하면 덮개가 없는 상자가 우선 만들어졌습니다. 그리고 그룹으로 만들어 놓을게요.


  Step 5 - 상자를 복사해서 윗면에 직사각형으로 윗면을 만듭니다.


  Step 6 - 밀기/끌기 툴로 덮개의 두께를 만듭니다.


  Step 7 - 회전 툴로 덮개를 회전시키면 완성!!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첫 모델링은 가장 간단한 직사각형 툴을 이용한 상자만들기였어요. 이 정도면 연습한 툴들을 사용해보기에는 괜찮았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번 스케치업 영상부터는 새롭게 추가된 유튜브 채널에서 업로드됩니다. 아무래도 영상이 늘어나다보니 정리가 필요한 것 같습니다.

 저는 내일 연필 소묘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TV에서 영상보기
네이버TV에서 영상보기
페이스북에서 영상보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스케치업 시작하기. 지난 시간까지 의자를 모델링하고 재질까지 입혀서 사물하나를 완성했습니다. 오늘은 이 사물의 뷰를 조정하고 그림자를 넣어서 이미지 내보내기까지 해보겠습니다. 시작할게요.

<준비물>
 제가 공부를 할 때는 2017 Make 버젼이라는 무료 버젼을 사용했었는데 지금은 지원을 중단했다고 하네요. 다른 다운로드 루트가 아직 살아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스케치업 홈페이지에서 웹브라우져에서 작동할 수 있는 스케치업 프리 버젼이 있으니까 그것을 사용하시거나 정품을 구매하셔야 할 것 같아요.

 #뷰(View)


 뷰는 도구 툴바에서 추가가 가능하고, 카메라 메뉴의 표준 뷰를 통해 선택할 수 있습니다. 뷰에는 이소메트릭/ 위 / 아래 / 전방/ 후방 / 왼쪽 / 오른쪽 이렇게 선택이 가능합니다.

 #그림자(Shadow) 


 그림자도 도구 툴바에서 추가가 가능하고 오른쪽 트레이에서 그림자 트레이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그림자는 그림 형태로 되어있는 아이콘을 클릭하면 나타나고 시간과 날짜, 밝기 등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내보내기(Export)


 내보내기는  파일 메뉴에서 볼 수 있습니다. 내보내기에서 2D 그래픽을 선택하면


 흔한 저장화면이 나타납니다. 저장 위치를 정하고 이름과 파일형식을 선택가능합니다.


 옵션을 선택하면 이미지크기와 몇몇 속성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이렇게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스케치업의 기본 사용법은 이쯤이면 되겠죠? 이렇게 대략적인 도구 사용법과 만들기, 이미지 생성까지 경험했으니까 이제 하나하나 만들어 나가면 되겠습니다. 

 저는 내일 연필 소묘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TV에서 영상보기
네이버TV에서 영상보기
페이스북에서 영상보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스케치업 시작하기. 지난 시간 사물로 의자를 만들었었죠? 이제 그 의자에 재질을 입혀보겠습니다. 도구들 중에 아직 사용하지 않았던 페인트통과 트레이에 있는 재질을 이용해서 말이죠. 바로 시작해보겠습니다.

<준비물>
 제가 공부를 할 때는 2017 Make 버젼이라는 무료 버젼을 사용했었는데 지금은 지원을 중단했다고 하네요. 다른 다운로드 루트가 아직 살아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스케치업 홈페이지에서 웹브라우져에서 작동할 수 있는 스케치업 프리 버젼이 있으니까 그것을 사용하시거나 정품을 구매하셔야 할 것 같아요.

 #재질(Material)


 페인트통은 도구모음에서 선택할 수도 있고 단축키는 'B'로 설정되어있습니다.


 페인트통은 당장 사용하기 보다 오른쪽의 트레이에 있는 재질을 통해서 사용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재질에는 금속, 유리, 목재, 색상 등 다양한 재질이 있습니다.


 이 중에 한가지를 선택하면 위의 빈칸이 해당 재질로 채워지고 그부분을  클릭하면 자동으로 페인트통으로 전환됩니다. 그리고 그대로 사물에 클릭하면 재질이 입혀집니다. 이것은 드래그로 재질을 끌어서 사물에 입혀도 적용이 됩니다. 

 
 그리고 재질의 선택 탭 옆의 편집 탭을 선택하면 현재 재질에서 색상 / 명도 /투명도 등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지난 번 처럼 구성요소로 저장해서 의자를 나열해보고 끝내겠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스케치업의 재질은 기본적인 것들도 사용하기 편하고 예쁘게 잘 나와있지만 자신이 생각하는 컨셉에 맞춰서 조절을 하면 좀 더 퀄리티있고 원하는 느낌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저는 내일 연필 소묘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TV에서 영상보기
네이버TV에서 영상보기
페이스북에서 영상보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스케치업 시작하기. 지난 시간 사물로 의자를 만들었었죠? 이제 그 의자에 재질을 입혀보겠습니다. 도구들 중에 아직 사용하지 않았던 페인트통과 트레이에 있는 재질을 이용해서 말이죠. 바로 시작해보겠습니다.

<준비물>
 제가 공부를 할 때는 2017 Make 버젼이라는 무료 버젼을 사용했었는데 지금은 지원을 중단했다고 하네요. 다른 다운로드 루트가 아직 살아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스케치업 홈페이지에서 웹브라우져에서 작동할 수 있는 스케치업 프리 버젼이 있으니까 그것을 사용하시거나 정품을 구매하셔야 할 것 같아요.

 #재질(Material)


 페인트통은 도구모음에서 선택할 수도 있고 단축키는 'B'로 설정되어있습니다.


 페인트통은 당장 사용하기 보다 오른쪽의 트레이에 있는 재질을 통해서 사용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재질에는 금속, 유리, 목재, 색상 등 다양한 재질이 있습니다.


 이 중에 한가지를 선택하면 위의 빈칸이 해당 재질로 채워지고 그부분을  클릭하면 자동으로 페인트통으로 전환됩니다. 그리고 그대로 사물에 클릭하면 재질이 입혀집니다. 이것은 드래그로 재질을 끌어서 사물에 입혀도 적용이 됩니다. 

 
 그리고 재질의 선택 탭 옆의 편집 탭을 선택하면 현재 재질에서 색상 / 명도 /투명도 등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지난 번 처럼 구성요소로 저장해서 의자를 나열해보고 끝내겠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스케치업의 재질은 기본적인 것들도 사용하기 편하고 예쁘게 잘 나와있지만 자신이 생각하는 컨셉에 맞춰서 조절을 하면 좀 더 퀄리티있고 원하는 느낌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저는 내일 연필 소묘 시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TV에서 영상보기
네이버TV에서 영상보기
페이스북에서 영상보기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