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드디어 이 날이 왔습니다. 평소에 그림을 그려서 저장을 해두는 편인데 이번 편을 위해서 아주 많은 시간을 소비했습니다. 오늘은 글이 없어도 될거예요. 색이론 첫시간에 빛에 대한 설명을 하면서 많은 그림을 사용했지만 그 정도는 약과입니다. 


 이번 시간은 색체계입니다. 빛과 색의 관계를 통해서 색의 인식을 공부했고, 원색을 통해 색을 혼합하는 방법에 대해서 보았습니다. 삼원색으로 순색을 만들어 색상환을 만들었고요. 색의 3요소인 색상, 명도, 채도에 대해 보았습니다. 이제 이 모든 것을 합치면 나타나는 것 입니다. 마지막 던전 보스 같은 존재인 색체계입니다. 


<준비물>



 색체계


  색체계 - 색의 관계(색상/명도/채도)를 공간으로 혹은 표로 나타내는 것이라고 할까요. 검색을 해보시면 크게 3가지 정도의 유명한 색체계가있습니다. 먼셀 색체계, 오스발트 색체계, PCCS 새체계입니다. 이 3가지 대표격이라고 하고 물론 용도에 따라 여러가지 색체계가 있습니다. 먼셀과 오스발트는 딱 봐도 사람이름 같죠?


 먼셀 색체계 - 미국 화가 먼셀이 1905년 고안한 체계로 1940년 미국 광학회에서 수정했다고 합니다. 현재 우리나라 공업 규격에서 색의 삼속성 표기법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오스발트 색체계 - 오스발트는 독일의 화학자네요. 1919년 이 색체계를 고안했다고 합니다.


 PCCS 색체계 - 일본 색체 연구소가 1964년 여러가지 색체계를 비교 분석하여 고안한 체계라고 합니다. 주요 산업 3국가가 하나씩 자리를 잡고 있네요.


 각 색체계의 이미지는 따로 올리지 않겠습니다. 관심있으신 분들은 검색을 해보시면 바로 보실 수 있습니다. 제가 그린 색체계는 제가 계산하기 쉽게 만든 걸로 오스발트나 PCCS에 가까운 색체계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만 색상 숫자로 보면 확실히 적습니다. 이제 이미지를 좀 나열해 볼게요.

  입체로 표현하면 이런 느낌이 될 겁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많네요. 그리고 뿌듯합니다. 잘해서 부듯하다기 보다는 그냥 저렇게 만들고 펼쳐 놓으면 내가 뭔가 많이 했구나하고 착각하기 좋습니다. 저렇게 포스터 칼라를 낭비했지만 어느 색 하나 다 쓰지 않았습니다. 영상에서는 하나씩 다 보여드리면 지겨울 것 같아서 하나만 보여 드렸습니다. 혹시나 해보실 분들은 세트로 된 포스터 칼라 보다는 마젠타, 셀룰리언, 퍼머넌트 옐로우, 화이트, 블랙 이렇게 5가지 색만 사용하시면 충분히 체험하실 수 있습니다. 돈 부족하신 분들도 계실텐데 낭비하실 것 없어요. 

 자, 이제 색체계는 만들었으니까 다음시간부터 이 표를 보고 색의 분류, 성질 등을 이야기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시간에 만나요.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지난 시간 색상환을 만들었습니다. 흰색 종이 위에 작은 큰 원형을 작은 동그라미들로 둘러싸서 하나씩 색을 칠했는데 중앙으로 어떤 형태의 선을 긋지는 않았지만 다 그리고나니 마치 마법진 같아서 좋았습니다. 해가 바뀌었는데 올해도 어른이 되기는 글렀나봅니다.  

 


 이번 시간에는 색상, 명도, 채도에 대한 설명과 관계에 대해서 공부해보겠습니다. 공부는 싫고 연습해볼게요. 색의 3요소라고 불리는 색상, 명도, 채도. 지난 시간 색상환을 만들면서 이미 순색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기 때문에 색상에 대한 이야기 보다는 명도와 채도 위주로 하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시작할께요.


<준비물>



 색상 / 명도 / 채도

  색상 - 각각의 고유한 색과 색이름으로 구별되는 특성을 색상이라고 한다고 합니다. 색상환은 이런 색상을 고리형태로 배열한 것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것은 구별을 위한 특성을 말하는 것이니까 순색만을 포함하지는 않을듯 합니다. 그림에서는 우선 양끝의 마젠타 색과 노랑 색을 사용했습니다.



  명도 - 쉽게 밝기의 정도 어둠과 밝음의 정도를 말합니다. 그림에서 중심의 회색 동그라미들로 이루어진 기둥이 보일꺼예요. 맨 위의 흰색부터 맨 아래 검정까지 밝은 정도에 따라서 나눠서 칠했습니다. 오해하면 안되는 것이 명도는 그림처럼 흰색, 회색, 검정이 아니에요. 그림에 보이는 회색들의 기둥은 색상을 제외한 밝기와 어둠만을 나눈 단계라서 희색, 회색, 검정으로만 나눈어진 것입니다.



  채도 - 채도는 보통 색의 탁한 정도라고 들었습니다. 탁한 정도 혹은 색의 진하기 정도라고 하는데요. 색이 선명하면 선명할수록 그러니까 색이 순수하게 진해질수록 채도가 높다라고 합니다. 순수하게 진하다? 색이 순수하게 진하면 순색이 되겠죠? 그 말은 순색이 채도가 가장 높은 쪽에 속한다는 것이겠죠. 그렇다면 순수하지 않은 색. 채도가 떨어지는 색은 어떨까요? 간단하게 말하자면 순색에서 회색이 섞이기 시작하면 채도가 떨어집니다. 순색이 회색으로 변하게 되는 색. 지난 시간에 이야기했던 삼원색에서 2가지 색의 비율 혼합으로 순색이 만들어진다고 했는데 나머지 한가지 색이 섞이기 시작하면 색이 탁해진다고 했었죠. 그렇게 해서 회색계열이 되면 채도가 가장 낮다고 합니다.



  자, 이제 3가지 요소 색상, 명도, 채도를 모두 얘기해보았습니다. 중요한 것은 이 세 가지를 따로따로 생각하는 것이아니라 연결된 관계로 생각해야 한다는 점이에요. 위 그림에서 맨끝의 색들은 색상을 뜻하고 색상에서 중심의 명도 기둥까지의 옆으로의 관계는 채도를 나타냅니다. 명도 기둥에 가까워 질수록 낮은 채도 색상 쪽에 가까워질수록 높은 채도 입니다. 그리고 위 아래 방향으로 밝음과 어둠 명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죠. 그러면 이 사이사이에 색들이 있겠죠.  그 관계를 나타내면 이렇게 될 것입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설명 부분에서 아래 그림은 다음 시간의 이야기 입니다. 다음 시간에는 이미지 양이 많을 거예요. 사실 이번 시간은 다음 시간을 위한 준비 단계였습니다. 비장하네요. 


 오늘은 여기까지 다음시간에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