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보통 색상에 대한 이야기를 할 때도 이런가요? 아니면 제가 하니까 지겨워 보일까요? 색상 이야기가 시작되면 뭔가 상큼하고 아름답고 신기한 그런 느낌이 들어야 정상이지 않을까 했지만 현실은 그냥 암기과목 공부하는 느낌이지 않나 싶습니다. 바로 반나절 전 하루가 시작될 때만 하더라도 PPAP하면 신나게 했었던 것 같은데 바로 이렇게 다운되다니 저에게 컬러란 무엇일까요? 



 오늘은 색이 좀 많이 나옵니다. 한 번쯤은 들어봤음직한 초,중,고교를 거치면서 미술시간있었다면 적어도 한번은 언급되었을 내용입니다. 색상환에 대해서 이야기 해볼까 하는데요. 이론에 관한 책에서는 10색, 12색, 18색,  20색, 24색, 32색 등 다양한 종류의 색상환이 등장합니다. 저는 이 중에서 24색 색상환을 그려볼께요.


<준비물>



 색상환


  순색 - 지난 시간 색 혼합 이야기를 하면서 삼원색의 이야기를 했었는데요. 색의 가장 기본이 되는 3가지 색이라는 이야기를 했었습니다. 그리고 염료의 3원색으로 언급한 색들이 마젠타, 시안, 노랑이었습니다. 순색이라고하면 이 삼원색 중 각 2가지 색의 혼합으로 만들어지는 색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보통 순색을 소개할 때 흰색과 검은색이 섞이지 않은 색, 채도가 가장 높은 색이라고 하는데요. 제가 삼원색에서 2가지 색의 비율을 조절하여 만들어진다는 말 역시 이 설명들과 다르지 않습니다. 이전 시간 삼원색 3가지를 모두 섞었을 때 검정에 가까운 회색이 나타난다는 것을 알고 있어요. 그러니까 순색이라고 하면 삼원색 중 2가지 씩만을 혼합해야 한다는 것이죠. 그림에서도 사이사이에 3가지

가 모두 섞여 탁해진 색들이 보이는데요. 이 색들은 순색에서 제외되게 됩니다. 


  색상환 - 이제 색상환을 만들어볼께요. 색상환은 간단히 말하면 순색의 동그라미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각  삼원색을 기준으로 그 사이의 색들을 비율 조절해서 만들어 나가는 겁니다. 하지만 사람의 손으로 하는 이상 정확할 수는 없어요. 어느 정도 차이가 나고 색의 구분이 보인다면 괜찮은 것 같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어떤 포스터 칼라를 사용하고 있는지 말한 적이 없는데요. 혹시나 해보실 분들을 위해 말하자면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포스터 칼라라고 하면 신한과 알파가 있죠. 저는 신한이네요. 기본 24색을  사용하고 있는데 마젠타는 있습니다. 그런데 아마 시안이나 옐로우라고 정확한 명칭을 가지는 색은 포스터 칼라24색에는 없을거예요. 검색을 해보면 시안 블루, 밝은 파랑이라는 이 색을 셀룰리언 블루라는 색으로 말하기도 하더라구요. 완전히 같은 색인지는 모르겠지만 저는 이 말대로 셀룰리언 블루를 시안으로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옐로우는 퍼머넌트 옐로우를 사용했습니다. 퍼머넌트라는 것이 영구적, 불변적으로 사용되는 것 보면 해당 색의 기본이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것 같습니다.  다른 이야기지만 퍼머넌트를 검색하면 파마가 같이 나옵니다. 퍼머넌트가 파마, 펌이라는 뜻이기도 하다네요.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지난 시간 빛과 색에 대한 이야기는 마음에 들셨을까요? 디테일한 부분은 빼고 제가 이해가 가는 부분만 대략적으로 작성하다보니 많이 부족한 점이 많았을겁니다. 앞으로도 부족하겠지만 조금씩 나아지겠죠. 오늘 부분 시작하겠습니다.  

 



 이번 시간부터는 색 카테고리에서도 그림을 그릴텐데요. 정확히는 색칠 공부를 해보겠습니다. 오늘 이야기는 감산혼합과 가산혼합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색에서 혼합이라고 하면 어떤 방식으로 섞이는가 겠죠. 바로 시작할께요.

<준비물>



 가산혼합과 감산혼합


  가산혼합. 먼저 가산혼합입니다. 가산 더해서(+) 혼합한다는 말이죠. 이론서에는 가단하게 빛의 혼합이라고 나와요. 그냥 빛의 혼합으로만 알고 있었는데 지난 시간 빛과 색에서 공부했던 것을 생각해보면 반사된 가시광선으로 색을 인식한다고했었습니다. 그리고 모든 종류의 가시광선이 반사되면 흰색으로 나타난다고 했었죠. 이제 그림을 볼께요. 


 색을 이루는데는 기본이 되는 원색이 있어요. 이 3가지 색을 삼원색이라고 합니다. 빛이니까 빛의 삼원색이죠. 빛의 삼원색은 각각 빨강, 초록, 파랑 입니다. 그러니까 RGB인거죠. 빛을 통해서 색을 표현할때는 이 3가지 색상을 기본으로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빨강, 파랑, 초록의 빛이 가운데로 겹쳐지자 흰색으로 나타나죠. 모든 가시광선이 반사되었을 때랑 비슷하네요. 결국 이 3가지 색상의 빛을 잘겹쳐보면 여러가지 색의 빛을 얻을 수 있겠습니다.



  감산혼합. 다음은 감산혼합입니다. 가산혼합이 빛의 혼합이었다면 감산혼합은 그 반대 반사되는 물질 혹은 염료의 혼합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쉽게 그냥 물감을 섞는다는 이야기죠. 가산혼합이 반사되는 부분에 관한 것이라면 감산혼합은 흡수에 관련된 내용이라고 볼 수 있겠어요. 지난 시간 모든 가시광선이 흡수되면 검정이 보인다고 했는데 확인해보겠습니다. 


 가산혼합에도 삼원색이 있었는데요. 감산혼합에도 삼원색이 있습니다. 보통 염료의 삼원색이라고 하는데요. 마젠타(자주색, 자주에 가까운 붉은 색), 시안(시안블루), 노랑 이렇게 3가지입니다. 역시나 이 3가지를 다 섞으면 검정에 가까운 회색이 나옵니다. 검정까지 이 4가지 색이 모이면 CMYK가 나오죠. RGB, CMYK 익숙하신 분들도 계실테고 처음 들어보신 분들도 계실텐데 이 용어들은 후에 디지털 드로잉을 할 때가 되면 아마 다시 얘기해보겠습니다.  

 마지막으로 포스터 컬러로 감산혼합을 해봤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영상에서 보이는 LED 램프도 그렇고 저는 남은 포스터 칼라가 있어서 그냥 칠해보았습니다. 해보시겠다면 말리지는 않겠지만 일부러 포스터 칼라 물감이나 LED 를 따로 구입하시지 않으셔도 됩니다. 저는 이후에 다른 컬러 드로잉 연습을 들어갈 때 다른 재료를 소개할 생각이기 때문

에 벌써 구입을 권하지는 않겠습니다. 하지만 신기하고 한번 해보고 싶어서 일회성이라도 해보고 싶으신 분들은 경제적 여건에 맞춰서 해보셔도 좋겠습니다. 아이들에게도 좋은 경험이 될 수 있겠죠.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카테고리가 또 하나가 늘었습니다. 지난 2017년 연말 연필소묘와 펜일러스트가 새롭게 추가되었는데요. 2018년 새해에 새롭게 선보이는 카테고리는 바로 컬러(Color). 색에 관한 것입니다. 제 블로그가 아무래도 가볍고 전문가들이나 다른 분들이 보시기에 가볍게 그리는 부분이 많은데 저는 얕고 넓게를 좋아하는 편이라 이번 색 카테고리 이후에도 꾸준히 새로운 카테고리로 찾아뵐 예정이니까... 기대는 너무 많이 하시지 마시고 그냥 가볍게 찾아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어쨌든 색을 다루기 전에 색에 대해서 조금이나마 이론적인 공부를 해야할 것 같아서 색에 대한 이론 공부를 먼저 해보기로 했습니다.

 


 일러스트 괜찮나요? 이번 시간에는 빛과 색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오늘은 그림을 그릴 일이 없습니다. 여러분 뉴턴아시죠? 그 아이작 뉴턴이라고 사과나무 밑에서 사과 받아 먹다가 만유인력의 법칙을 발견한 과학자 아저씨 말이죠. 우리가 근대 과학의 아버지나 인력에 대한 이야기를 할 때 떠올리는 이 분. 이 분이 인력말고 다른 분야에서도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것 알고 계시나요? 그 분야가 바로 광학. 빛에 대한 연구입니다. 오늘 이야기할 내용의 시작이 되는 부분이죠.  


 빛과 색

  Step 1. 뉴턴 이야기는 끝입니다. 간단하고 빠르게 이론적인 이야기만 해볼께요. 자, 귀여운 태양과 지구가 있습니다. 지구 맞아요. 태양에서 빛이 뿜어져 나옵니다. 그리고 지구에 도달하죠.


  Step 2. 공부하면서 알게 됬는데 빛은 단일하게 빛이 아니라 여러종류가 있다고 해요. 그림처럼 라디오파 부터 감마선까지 파장의 크기 차이로 해서 구분됩니다. 우리가 주로 알고 있는 부분이 중간에 있는 적외선, 가시광선, 자외선이죠. 적외선과 자외선은 적선(빨강), 자선(보라)가 아닌 다음 파장을 가진 빛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그래서 햇빛이 따뜻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적외선 때문이라고 하고 자외선 같은 경우 우리가 피부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자외선차단제를 바르죠. UV- A~C까지 있는데 오존층이 이 자외선의 일부를 흡수한다고 합니다. 오존층 파괴는 이상 기후도 일으키지만 자외선을 걸러지지 않은 상태로 우리 피부에 노출 시키게 된다는 것입니다. 오존층을 살려야 합니다.여러분.


  Step 3. 적외선, 자외선의 설명이 길었습니다. 오늘 중요한 것은 가시광선인데 말이죠. 가시광선 안에서 또 다시 빨강에서 보라(자주)까지 파장의 크기 별로 구분이 가능합니다. 흔히 7가지 무지개 색으로 알고 있는데 6가지라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Step 4. 이제 이 빛이 지구의 물체, 물질에 부딪칩니다. 이 과정에서 각 물질 별로 흡수하는 색의 빛이 있고 반사하는 빛이 있습니다. 그림에서는 주로 초록 빛을 반사했어요. 


  Step 5. 이 빛이 반사되어 우리의 눈으로 들어옵니다. 우리의 뇌는 이 빛을 초록빛으로 인식하는 것입니다. 영어는 정확하지 않으니까 검색해보시기바랍니다. 


  Step 6. 각 가시광선의 흡수, 반사로 우리는 색을 알게 되었습니다. 가시광선을 인식가능하도록 진화되었다고 보는 것이 맞겠죠. 아까 이야기했지만 오존층에 흡수되지 않고 대부분이 그대로 들어오는 가시광선의 양이 가장 많기 때문에 가능한 일일지도 모릅니다. 만약 다른 빛의 양이 많았다면 우리의 눈은 적외선, 자외선 카메라 처럼 진화했을지도 모릅니다. 


  Step 7. 여기서 모든 빛이 반사되면 어떻게 될까요? 모든 빛이 반사되어 인식을 하면 하얗게 보입니다. 그렇다면 그 반대인 모든 빛이 흡수되어 반사되지 않는다면 바로 검정이 되는 것이죠. 신기합니다. 그러니까 각 물질의 반사율에 따라 색과 밝음이 결정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최근에 반타블랙이라는 물질이 유명했어요. 보통 검정의 빛 흡수율이 95~98% 정도라고 하는데 반타 블랙은 흡수율이 99.965%라고 합니다. 검색해보면 형태는 있지만 단면으로 자른듯 반듯하고 신기한 모습을 보실 수 있을겁니다. 이것으로 보아서 우리는 색 말고도 입체적인 형태를 인식할 때도 빛을 통해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정확한 것은 아니지만 얕게 알아봤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이론이지만 영상이 있습니다. 간략하게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보았는데 괜찮을지는 모르겠습니다. 설명이 부족하시면 블로그를 봐주세요. 첫시간 지금까지와는 다르게 이론을 이야기한다는 것은 정확한 정보 전달이 요구되기 때문에 자꾸만 몸을 사리게 되네요. 왠만하면 제가 알고 있는 범위에서만 틀리지 않게 이야기해보겠습니다. 혹시나 잘못된 정보라는 것이 확실히 보이면 댓글로 부탁드립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