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월요일. 사물 그리기 시간입니다.


 유튜브에서 구독하고 영상을 보고 계신 분들이라면 아실거예요. 유튜브 영상이 일주일 정도 먼저 업로드가 되고 일주일 후에 블로그와 카카오TV에 같은 콘텐츠가 업로드 된다는 것을요. 그런데 지난 한 주 동안에는 하나의 영상을 업로드 후에 아무런 영상도 올라오지 않았었죠. 휴가를 다녀왔기 때문이죠. 제가 따로 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굳이 휴가철에 맞춰서 휴가를 다녀오지않아도 되지만 급하게 일본에 일이 있어서 겸사겸사 다녀왔습니다. 겸사겸사 잘 놀았으니까 이제 다시 제대로 업로드 해야겠죠? 결과적으로 이제 유튜브, 블로그, 카카오TV에서 같은 날짜에 같은 내용으로 찾아뵐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오랜만이라 감이 떨어지진 않았는지 모르겠지만 다시 시작해보겠습니다.


 블로그는 일주일동안 아무 일이 없었죠? 유튜브만 하지 않았을뿐인데 많이 달라진 느낌이네요. 일주일 만에 찾아온 운송수단 그리기. 이번에 그려볼 운송수단은 비행기입니다. 마침 이번에 공항에 갔다와서 비행기를 많이 보고왔습니다. 오늘 그려볼 비행기랑은 많이 다르지많요. 비행기를 보면 몸집이 큰 비행기일수록 동글동글하게 귀엽고 작을수록 각지고 투박해보이는 것 같아요. 지금 그려볼 경비행기는 뭔가 날개도 그렇고 창문도 그렇고 딱딱해보이는데 커다란 여객기들은 좀 더 둥글둥글해 보여서 그런 생각을 해봤습니다. 이제 그려볼게요.


<준비물>


  비행기(Airplane) 그리기

 Step 1 - 비행기 몸체를 위한 길쭉한 직육면체를 그립니다. 투시에 맞춰 날개의 위치와 범위를 정합니다.


 Step 2 - 비행기의 몸체 형태를 단순하게 그리고 창문과 날개, 날개에 달린 엔진 등을 간단히 그립니다.


 Step 3 -  외형을 좀 더 부드럽고 정확하게 다듬어 그립니다. 프로펠러의 범위와 위치도 정해서 살짝만 그립니다.


 Step 4 - 직육면체 형태에 맞춰서 간단한 명암을 넣고 프로펠러의 잔상도 그립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차량을 그릴 때 보다 간단하게 끝난 것 같습니다. 저는 역시 바퀴에 약한 것 같아요. 비행기 그리기에서 주의할 점이라면 날개의 투시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투시에 맞게 날개의 위치를 정하고 엔진의 위치도 정해야 어색하지 않게 그릴 수 있겠습니다.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저는 내일 색연필 그림 그리기로 찾아올게요.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월요일. 사물 그리기 시간입니다.

 이번 시간에 그려볼 운송수단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화물 운송 수단인 트럭입니다. 이삿짐, 농산물, 가전제품, 그리고 추운 겨울 연탄 배달까지 우리나라 안에서 이 트럭들의 쓰임새는 정말 다양합니다. 최근에 적재량 초과로 인한 안전문제가 계속 이야기 되고 있어서 그런 부분에서 사회 전반적인 변화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만 그러면 또 임금문제같은 여러가지 문제에 부딪치겠죠? 갑자기 사회문제로 넘어왔네요. 우리나라의 대표적 운송수단 트럭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트럭(Truck) 그리기

 Step 1 - 적체적으로 길쭉한 직육면체를 그린 후에 짐칸인 뒷부분과 운전석이 있는 앞부분으로 나누어 그립니다. 


 Step 2 - 차량의 범퍼, 바퀴, 라이트, 문과 창문, 짐칸 등 크게 나누어지는 부분 위주로 나누어서 간단히 그립니다.


 Step 3 -  범퍼와 라이트 바퀴의 휠, 사이드 미러, 와이퍼, 차문, 짐칸 등의 나머지 디테일들을 그리면서 전체적인 외형을 다듬습니다.


 Step 4 - 직육면체 형태에 맞춰서 간단한 명암을 넣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차량을 그리면서 제가 생각했던 것보다 바퀴와 차체의 비율을 맞추기가 어려워서 곤란하네요. 역시 차와 저는 인연이 없나봅니다. 차량쪽은 이제 그만 그리고 다음 시간부터는 다른 운송수단을 그려봐야겠어요.


 여기까지입니다. 저는 내일 색연필 그림 그리기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월요일. 사물 그리기 시간입니다.


 운송 수단을 그리고 있죠? 오늘은 지난 시간의 증기 기차 보다 더 역사가 오래된 운송수단입니다. 앞의 그림에서 보셨듯이 마차입니다. 마차지만 말이 없습니다. 말은 사물이 아니기도 하고 같이 그리려고 하니까 오래 걸리고 힘들어서 안되겠어요. 그래서 마차만을 그리려고 자료를 참고했는데 단순히 마차가 아니라 초창기의 증기차의 형태가 조금 보였습니다 .그림에서는 제가 그런 부분들을 대부분 제외하고 마차의 가져와서 그렸습니다.  


<준비물>


 기차(Train) 그리기

 Step 1 - 높이가 있느 직육면체를 그리고 사람이 타는 탑승공간을 나누었습니다.


 Step 2 - 마부의 자리와 탑승석, 바퀴, 창문들이 들어갈 위치와 영역을 나누어 그립니다.


 Step 3 -  나누어진 각 부분에 맞게 깔금하게 정리해서 그립니다. 바퀴의 모양, 창문, 발받침대, 마부석과 각 연결부를 보이는 만큼 더 정확하게 그립니다.


 Step 4 - 직육면체 형태에 맞춰서 간단한 명암을 넣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지난 시간 기차를 그린 후에 그려서 힘들지는 않았습니다. 다만 여전히 바퀴의 형태는 좋지 않네요. 그래도 말과 마부까지 다 갖춰서 그리면 꽤 볼만하겠습니다. 나중에 컨셉을 잡아서 한번 그려봐야겠어요.


 여기까지 입니다. 저는 내일 색연필 그림 그리기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월요일. 사물 그리기 시간입니다.

 오늘 그려볼 운송수단은 기차입니다. 증기기관이 발명되고 산업혁명이 시작되었을 때의 대표적인 운송수단이 이 기차가 아닐까 싶어요. 마차와 사람이 짐을 나르던 길 건너편에서 굉음과 검은 연기를 뿜으며 달리는 기차를 처음 본 사람들은 어떤 기분이었을지 궁금하네요. 요즘은 새로운 기술이 나타나면 내 일자리를 걱정해야한다고 하는데 그런 생각은 하지 않았겠죠.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기차(Train) 그리기

 Step 1 - 증기 기차를 그리려고 합니다. 길게 직육면체를 그리고 크게 나눠지는 부분의 영역을 선으로 나누어 그립니다. 


 Step 2 - 기차의 굴뚝?과 크고 둥근 앞부분, 기관실, 바퀴 등이 그려질 영역을 나누어 그립니다.


 Step 3 -  나누어진 각 부분에 맞게 깔금하게 정리해서 그립니다. 바퀴의 모양, 바퀴를 연결시키는 장치들, 뒷쪽의 기관실 등을 그립니다.


 Step 4 - 원기둥과 직육면체 형태에 맞춰서 간단한 명암을 넣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기차는 바퀴가 많아서 위치를 맞추고 영역을 나누는 것이 어렵게 느껴집니다. 그리고 기차 부분부분의 명칭을 모르니까 설명하기도 어렵네요. 문제는 제가 명칭을 알아도 보시는 분들이 명칭을 모르시면 전달이 또 안되겠죠? 형태로 설명하는 것이 맞겟습니다. 혹시나 기차를 더 공부할 일이 있으면 명칭에 맞춰서 다시 그려봐야겠습니다.


 여기까지 입니다. 저는 내일 색연필 그림 그리기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월요일. 사물 그리기를 하는 날입니다.


 오늘부터는 운송수단을 그려보겠습니다. 몇 몇 분들에게 운송수단에 대한 의견을 주셔서 급하게 주제를 정했지만 저는 솔직히 어려워 보입니다. 사실 남자들은 자동차나 기계에 관심이 많다고들 하지만 아닌 사람들도 분명히 있어요. 저도 그중에 하나구요. 그래서 이런 커다란 기계들에 대한 형태가 무척 약한 편입니다. 이렇게 이야기를 해놓고 시작해야 실수를 해도 넘어갈 수 있습니다. 첫 시간부터 어렵게 자동차 그리기로 시작했으니까 좋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시작할게요. 

     

<준비물>




  자동차(Car) 그리기

  Step 1 - 자동차의 전체 넓이가 크기에 맞춰서 직육면체를 그립니다. 그리고 차량의 문 위치를 대략적으로 정합니다.


  Step 2 - 차문을 기준으로 자동차의 엔진이 있는 보닛과 뒷쪽 트렁크 부분으로 나누고 범퍼와 바퀴, 라이트, 문, 유리창 등이 들어갈 위치를 대략적으로 나누어 그립니다.


  Step 3 -  나누어진 각 부분에 맞게 깔금하게 정리해서 그립니다. 바퀴의 휠과 라이트의 안쪽, 사이드미러 등을 좀 더 자세히 그립니다.


  Step 4 - 직육면체 형태와 움푹들어간 곳을 생각해서 간단한 명암을 넣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긴장해서 그렸습니다. 자동차는 부분 다른 것들이 많네요. 하나 하나가 따로 떼어내서 그려도 될 정도입니다. 많이 부족하지만 일단 자동차는 끝냈습니다. 그리고 앞으로 9주간의 고생길도 함께 열린 것 같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오후에 이어지던 소묘시간은 앞으로 수요일에 업로드 됩니다. 그러니까 저는 내일 색연필 그림 그리기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