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월요일. 사물 그리기 날입니다.


 겨울 내내 거의 자르지 않던 머리카락을 아주 싹둑싹둑 잘라보았습니다. 머리자르면 겨울에느 확실히 추워서 머리를 계속 기르게 되죠. 사실은 아예 나가지를 않겠지만요. 이렇게 머리를 자르고 나면 그 전과 크게 다른 것을 느끼게 됩니다. 우선 머리가 가벼워집니다. 지금까지 내 머리를 짖누르던 편두통은 단순히 머리가 길어서 그런 것이었구나. 그리고 가장 큰 장점 머리가 빨리 마릅니다. 머리가 조금만 길어도 머리를 감고 머리 깊숙이까지 말리려고 하면 쉽게 마르지 않죠. 그런데 매년 느끼는 거지만 머리를 자르고 감고 말릴 때는 이렇게 시간이 절약되다니 감탄이 절로 나옵니다. 올해도 겨울이 지나고 짧은 머리의 장점을 다시 깨닫게 됩니다.


 오늘은 헤어드라이어를  그려보겠습니다. 사실 머리 다듬고 한 2주는 지났습니다. 이야기와 연결하기 위해 약간의 사기를 쳤지만 전혀 없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아마 공감하시는 분들 많으실거예요. 오죽하면 단발을 경험한 사람은 다시 긴 생머리로 돌아가도 오래 유지하지 못한다는 말이 있을까요. 샴푸도 적게 듭니다. 시간도, 돈도, 상쾌함도 모든 것이 만족스러운 경험을 하게 되실겁니다. 이제 그려야죠.

     

<준비물>




 헤어드라이어(Hair Drier) 그리기


  Step 1 - 우선 직사각형 2개를 직각으로 만나게 합니다. 그리고 만나는 부분은 원기둥 형태로 그립니다. 드라이어의 본체 부분이 되겠죠. 나머지 직사각형 부분은 각각 바람이 나오는 부분, 한쪽은 작동버튼과 손잡이 부분이 되겠습니다.


  Step 2 - 바람이 나오는 부분. 송풍구라고 하나요? 송풍구를 둥근 형태로 모양을 만들고 입구에 납작한 노즐 형태도 만듭니다. 몸체의 팬 부분 영역과 손잡이 스위치까지 대략적으로 그립니다.


  Step 3 - 전체적으로 깔끔하게 선을 정리합니다. 선을 정리하면서 손잡이나 다른 부분의 형태를 유선형으로 부드럽게 그려주고 몸통의 팬 부분도 조금 더 디테일하게 그립니다.


  Step 4 - 가볍게 명암을 넣습니다. 명암은 원기둥과 직육면체의 형태를 생각해서 넣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헤어드라이어처럼 총 처럼 쥐고 사용하는 제품이 많죠. 그런 사물을 그릴 때는 한결같이 직사각형 2개를 연결하는 것으로 시작하면 형태를 그리기에는 편할 것 같습니다. 

 요즘 헤어드라이어는 완전히 심플한 형태를 하고 있던데 그런 형태를 그렸다면 그리기 편했을 것 같습니다. 물론 디자인하신 분들은 애 좀 먹었겠죠. 그런 깔끔함이라니, 그런데 바람은 더 강하다니 좋아보입니다. 청소기도 그렇고 모든 가전제품들의 모습이 진화하고 있네요.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저는 오후 소묘 시간에 다시 돌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월요일은 사물을 그리는 날입니다.


 제 블로그에는 항상 영상이 함께 올라오죠. 그 영상을  자세히 보시면 제가 카메라 밖에서 가끔 분주하게 움직이는 때가 있습니다. 보통 두 가지 경우인데요. 첫 번째는 자료 화면을 모니터에 띄우거나 음악을 변경할 때가 있고, 다른 하나는 책상이 너무 지저분하면 그것을 숨기기 위한 행동입니다. 보시면 최근에 지우개 가루가 많아져서 책상 한쪽 구석으로 자꾸 몰아넣는데 그것들이 아직도 대부분 쌓여있어요. 한번씩 정리는 하지만 이 귀찮음이란… 슬슬 먼지 때문에 스캔에 문제가 되기도 하고 날을 잡고 청소를 한번 해야겠어요.  


 오늘은 청소기를  그려보겠습니다. 앞쪽 얘기랑 자꾸 연결되죠? 노리고 이야기하는 것은 맞지만 거짓말은 아니에요. 실제로 책상의 먼지들을 좀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만 하고 있습니다. 청소기를 그릴텐데 일반 청소기가 아니라 휴대용 청소기에요. 일반 진공 청소기는 형태가 길쪽해서 종이 지면을 너무 낭비하는 것 같아서 덩어리감이 좀 더 있는 휴대용 무선 청소기를 선택했습니다. 그릴 대상을 선택할 때 종이에 어떤 모습으로 그려질지 생각해 보는 것도 그림을 잘 그리는 방법 중 하나라고 합니다. 대상을 요리조리 돌려보면서 보기 좋게 그려보아요.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청소기(Vacuum Cleaner) 그리기


  Step 1 -청소기의 전체적인 형태는 길쭉한 직사각형을 기본으로 합니다. 크게 흡입구, 손잡이 부분으로 나누고 거기서 연결부분에 맞춰서 부분을 더 잘게 나눕니다.


  Step 2 - 크게 청소기의 형태를 만들어 나갑니다. 흡입구 부분은 삼각형 모양으로 앞부분이 기울어져 있고, 손잡이의 형태와 전원 버튼과 분리 버튼도 대략적으로 그립니다.


  Step 3 - 가전제품이라면 부드러운 유선형의 형태가 좋겠죠. 각으로 대략적으로 이루어진 외형을 곡선을 이용하여 부드럽고 깔끔하게 정리합니다. 흡입구의 입구 부분과 투명하게 연결되는 부분, 옆면의 배출구, 버튼들과 손잡이 형태도 디테일하고 깔끔하게 그립니다.


  Step 4 - 손잡이, 버튼 그림자를 생각해서 옆면 위주로 명암을 가볍게 넣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이번에도 대략적으로 생략하는 부분이 있었는데요. 청소기 흡입구에서 투명하게 본체로 연결되는 부분의 생략이 있었어요. 투명한 부분도 안쪽에 들어있는 부분과 겉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더 잘 보이게 그리고 거리가 멀고 깊을수록 생략을 해서 그리는 방법입니다. 주로 입구부분 시야에서 가까운 부분에서 잘 보이게 그리다가 멀어지면서 연하게 그려서 마치 계속 연결되고 있다는 느낌을 받게 하는 것입니다. 말이 어려웠을까요? 아직 질감이나 구도 같은 좀 더 어려운 부분은 하지 않았으니까 그 부분은 색을 칠할 때 함께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여기 까지 하겠습니다. 오후 소묘 시간에 다시 만나요.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월요일은 사물을 그리는 날입니다.


 낮의 길이가 조금씩 늘어나고 있는 2월의 마지막 월요일입니다. 설날도 그렇고 동계 올림픽도 그렇고 아무런 감흥없이 지나가버렸지만 심정의 변화보다는 그냥 TV를 잘 보지 않아서 그런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그림을 그릴 때는 눈이 가는 텔레비젼 보다는 음악이나 라디오가 좋은 것 같아요.  


 오늘은 가전제품  라디오를  그려보겠습니다. 준비한 이야기는 아니지만 라디오랑 잘 연결되었네요. 요즘은 기계 장치로써 라디오는 거의 사라졌고 기능으로써의 라디오만 남아있죠. 컴퓨터에 스마트폰에 옮겨가더니 라디오는 비상용장비 외에는 거의 쓰이지도 않게 되었습니다. 그래도 가끔 버스를 탈 때 듣게 되는 공중파 라디오가 반갑기도 합니다. 라디오하면 주파수를 선택해서 방송을 듣기도 하지만 CD나 카세트 플레이어가 내장되어 있는 것도 있죠. 너무 오래된 이름들이네요. 텔레비젼도 오래된 것을 그렸으니까 라디오도 예전 느낌을 살려서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라디오(Radio) 그리기


  Step 1 -길쭉한 직육면체 형태를 그립니다. 앞부분과 아랫부분을 조금씩 나누겠습니다. 그리고 중심선도 나누어 그립니다. 정면의 버튼 장치들이 모여있는 부분과 아랫받침, 윗부분으로 나누어 그릴겁니다.


  Step 2 - 정면 부분을 3등분해서 중앙은 버튼과 화면을 양쪽은 스피커를 간단히 모양만 만듭니다. 아랫 받침부분의 형태를 만들어주고 윗부분의 장치부분, 손잡이를 간단히 그립니다.  


  Step 3 - 전체적인 외형을 깔끔하게 다듬어 그립니다. 버튼, 스피커, 손잡이,위부분 장치 등의 형태를 좀 더 디테일하게 만듭니다. 모서리 부분을 부드럽고 둥근 형태로 그려줍니다.


  Step 4 - 아랫 받침부분, 손잡이, 정면에서 옆면으로 이어지는 부분에 주의해서 명암을 간단히 넣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몇몇 장치나 버튼 부분들의 형태가 단순화 되었지만 라디오로 보기에는 문제가 없어 보입니다. 제품으로써 예쁜 디자인은 아니니까 여러분들이 그리시면서 조금 더 예쁘게 꾸며보시기 바랍니다. 


 여기까지. 저는 오후 소묘 시간에 돌아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월요일은 사물을 그리는 날입니다.


 새로운 월요일이 밝았습니다. 이 글은 12시가 땡하면 공개되므로 날이 밝지는 않겠지만 어쨌든 저에게 새로운 날입니다. 오늘부터 그림들이 각각 새 시리즈가 시작되죠. 지난 주에 간단히 언급을 해드렸습니다. 이미 인간 그리기는 새로운 시리즈가 시작되었고 나머지 그림들도 각각 새롭게 시작될 것 입니다. 그리고 영상도 살짝. 아주 살짝 변경이 되었는데 좋을지는 모르겠습니다. 아무튼 시작하겠습니다.


 오늘은 가전제품 첫 시간으로 텔레비젼을  그려보겠습니다. 여기서는 최대한 말을 줄여야겠어요. 뭔가 그림을 위한 말을 조금 더 해볼까 합니다. 지금까지 그리면서 그런 것이 있었는지는 모르겠지만요. 아무튼 오늘 그려볼 텔레비젼은 요즘의 텔레비젼처럼 얇고 벽에도 걸리는 그런 텔레비젼이 아닙니다. 두껍고 뒤쪽으로 툭 튀어나온 형태에 돌릴 수 있는 다이얼이 있고, 화면도 작습니다. 오래되어 보이고 불편해 보이지만 그림을 그릴 때는 재밌는 요소가 많이 있습니다. 그려볼께요.

     

<준비물>




 텔레비젼(Television) 그리기


  Step 1 - 커다란 박스 형태의 육면체를 그립니다. 보조선을 그어서 화면, 다이얼 부분, 아랫받침 부분, 뒷부분으로 영역을 나눕니다.


  Step 2 - 화면의 두께를 그리고 다이얼 영역을 만듭니다. 앞쪽으로 튀어나온 원기둥 형태를 응용해서 그립니다. 아랫받침 부분과 뒷부분의 형태도 대략적으로 만듭니다. 안테나도 간단히 그립니다.


  Step 3 - 전체적인 외형을 깔끔하게 다듬어 그립니다. 그리고 다이얼, 버튼, 스피커, 안테나 등의 세부 요소를 다듬어 그립니다. 텔레비젼의 외곽 모서리는 살짝 둥글게 깎아서 그립니다.


  Step 4 - 간략하게 명암을 넣고 마무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그림 설명은 다를게 없지만 진지했습니다. 텔레비젼 정말 오래 걸렸어요. 예전 같았으면... 지금과 크게 다르지 않겠죠. 첫 시작에서 투시선을 한번에 너무 많이 그으면 선이 많아져서 혼란이 올 수 있습니다. 그럴 때는 가장 외곽의 형태일수록 선의 두께를 두껍게 그리고 묘사를 하면서 선이 정리될수록 지우개로 필요없는 선들을 정리해주셔도 좋겠습니다. 제일 좋은 것은 직선을 정확하게 그으면 두 번, 세 번 계속해서 그을 필요가 없겠지만 연습을 많이 해야겠죠.


 잠시 쉬고 저는 오후 소묘 시간에 돌아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월요일은 사물 그리기 중 주방용품을 그리는 날입니다.


 옛날옛날에 호랑이가 담배를 피던 시기에... 라고 시작하는 옛날 이야기 만화영화를 참 좋아했었는데요. 한국 애니메이션이니까 만화영화라고 해보았습니다. 보통 호랑이가 담배를 핀다는 말로 시작하는 이 이야기들에는 또 다른 동물이 등장합니다. 바로 토끼입니다. 꾀 많은 동물로 등장하는 이 토끼는 호랑이와는 다른 행동을 주로 합니다. 토끼는 담배를 피지 않습니다. 대신에 요리라고 할 수 있는 노동을 주로 하는데요...


 오늘은 절굿공이를 그려보겠습니다. 토끼가 하던 요리 노동은 바로 절구질입니다. 이 절구질하는 토끼들은 살고 있는 장소도 특별합니다. 달에서 살죠. 달토끼. 절구질하는 토끼라면 달 정도에는 살아줘야죠. 1969년에 아폴로 11호가 달에 도착했을 때 토끼가 없다는게 밝혀졌지만 달토끼 쯤 되는 존재가 인가 2,3 명이 달로 찾아간다고 발견될리는 없죠. 달 뒷편에 잘 숨어있을 겁니다. 절굿공이 그려볼께요.

     

<준비물>




 절굿공이 그리기


  Step 1. 제가 그릴 절굿공이는 주방에서 향신료를 분쇄하는 작은 절굿공이입니다. 우선 길쭉한 원기둥을 그립니다.


  Step 2. 원기둥 전체에서 손잡이부분과 손잡이 끝부분을 구분하기 위해서 나누고 단순한 원기둥 형태로 그립니다.


  Step 3. 나누어진 원기둥의 부분을 자연스럽게 이어서 전체적인 외형을 선명하게 그립니다.


  Step 4. 간략하게 명암을 넣고 마무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초반에 달토끼 이야기를 하며 흥미를 끌어보았지만 사실 오늘 그림이 지난 주방 사물 그림들에 비해서 많이 단순한 형태라서 살짝 죄의식을 느끼고 있습니다. 그리다보면 있을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하고 다음에 더 좋은 그림을으로 찾아오겠습니다. 주방용품은 여기서 잠시 끝을 내고 다음 시간부터는 무엇일까요?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