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월요일은 사물 그리기 중 주방용품을 그리는 날입니다.


 몇 번인가 비도 오고 눈도 왔지만 겨울의 건조함은 쉽게 가시질 않습니다. 원래 건성에 가깝지만 올해 겨울은 특히나 건조한 편입니다. 넓은 공간들은 대부분 히터를 통한 따뜻한 바람으로 난방을 하기 때문에 건조함이 배가 되어 사람 자체가 말라 간다고 합니다. 


 오늘은 주전자를 그려보겠습니다. 예전에는 넓은 공간 그러니까 교실이나 다방?, 도서관 같은 곳에 가면 겨울 난방을 위해 주방에 기름난로가 놓여있었습니다. 요즘처럼 따뜻한 바람 자체가 천정에서 내려오는 것이 아니라 난로를 통해 데워진 공기가 위로 올라가면서 난방이 되는 것이죠. 어쨌든 이 이야기가 아니라 이 난로가 있으면 항상 그 위에 물이 들어간 주전자가 놓여있습니다. 주전자에서는 하얀 김이 모락모락 피어납니다. 미스트죠. 난방은 잘 안 되지만 건조함은 훨씬 적었던 것 같아요. 가습기가 있는데 굳이 난로 위에 물주전자를 생각해봤습니다. 오늘은 주전자를 그리니까요. 주전자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주전자 그리기


  Step 1. 주전자를 몸통, 주둥이, 손잡이 세 부분으로 나눠서 생각하겠습니다. 그러니까 육면체를 3개로 나눠서 몸통을 그리기 위한 큰 육면체 하나, 손잡이를 위한 납작한 육면체를 만들어 ㄷ자 형태로 잘라냅니다. 그리고 마지막 주둥이 부분을 위한 작은 육면체를 만듭니다. 몸통 부분은 원기둥으로 그려놓으면 편하겠습니다.


  Step 2. 몸통의 형태를 만들면서 뚜껑 부분을 나누고 뚜껑 손잡이를 만듭니다. 주둥이, 손잡이의 형태를 대략적으로 만듭니다.


  Step 3. 전체적인 형태를 유선형으로 선을 정리하고, 손잡이 덮개 및 디테일한 형태를 그립니다.


  Step 4. 간략하게 명암을 넣고 마무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냄비에 이어서 주전자도 종이의 형태에 맞춰 그리다보니 형태가 길쭉하게 그려졌습니다. 하지만 주전자의 본질은 그대로 지켜질 수 있겠죠. 그러니까 주전자도 뚱뚱하고 홀쭉하고 여러가지 형태로 있을 수 있다는 것이죠. 모든 물체가 그렇지만요. 여러분이 생각하는 예쁜 주전자 그려보시길 바랍니다.


 다음 시간에 만나요.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월요일은 사물 그리기 중 주방용품을 그리는 날입니다.


 한국인이  많이 찾는 음식 중에서 빼놓고 이야기하기 힘든 것 중에 찌개를 뽑을 수 있겠습니다. 인스턴트이긴 하지만 라면도 있겠네요. 하나같이 계절에 상관없이 시원하고 칼칼하거나, 구수한 맛이 일품입니다. 이 고향의 맛, 집밥맛이라는 맛의 비법에는 엄마의 손맛이나, 집안의 장맛도 있겠지만 사람들은 이것을 꼽기도 합니다.

 


 오늘은 냄비를 그려보겠습니다. 마지막 맛의 정체 냄비입니다. 굳이 바닥이 타고 낡은 양은 냄비를 버리지 못하는 식당이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신선한 맛을 한다던지 사람들은 냄비에 따라 음식의 맛이 좌우된다고 합니다. 과학적으로도 어느 정도 맞는 말이라고는 하지만 재료나 조리법의 차이에 비해서는 큰 비중을 차지하지는 않을텐데요. 그럼에도 많은 분들이 아직도 작은 양은 냄비에 담겨나오는 된장찌개나 라면을 보면 이미 맛있어 보인다라고들 하죠. 추억이나 간접 경험의 맛일까요? 머 어떻게 먹어도 그 맛은 지겹지도  않게 계속 맛있긴 합니다. 이제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냄비 그리기


  Step 1. 냄비의 본체와 뚜껑 부분을 위한 원기둥을 그리고 손잡이를 위한 보조선을 그립니다.


  Step 2. 냄비 몸통의 약간의 기울기를 주어 냄비의 형태를 만들고 뚜껑, 뚜껑 손잡이, 냄비 손잡이의  형태를 대략적으로 그려나갑니다.


  Step 3. 뚜껑의 이음새, 손잡이의 꺾이는 부분 등을 부드럽게 이어그리면서 전체적인 형태의 선을 정리합니다. 


  Step 4. 간략한 명암을 넣고 마무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이런 냄비 형태가 있을까요? 냄비의 형태가 일반적이지 않지만 다른 냄비를 그릴 때도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어쨌거나 냄비를 그릴 때는 3부분 뚜껑, 몸통, 손잡이로 크게 나눠질테니까요. 크기나 재질에 따라 여러 가지 냄비나 조리기구를 그릴 수 있겠습니다.


 다음 시간에 만나요.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월요일은 사물 그리기 중 주방용품을 그리는 날입니다.


 매번 사물이나 다른 대상을 설명할 때 만화나 애니메이션 속 이야기를 덧붙이곤 했습니다. 오늘도 애니메이션 이야기 할거예요. 저는 애니메이션은 거의 가리지 않고 보는 편인데 얼마 전까지는 지브리 스튜디오의 애니메이션에 빠져있었습니다. 많은 분들이 지브리 애니메이션을 좋아하는데요. 저는 그 중 지브리 애니메이션만의 음식 표현이 특히 마음에 듭니다.

 



 오늘은 후라이팬을 그려보겠습니다. 기름을 두르고 볶거나 양념을 넣고 조림을 하는 것 처럼 물이 많지 않은 음식을 조리할 때 자주 사용하죠. 앞서 지브리 애니메이션의 음식이야기를 잡시 했었는데요. 그 중 가장 유명한 요리 장면은 제가 생각하기에 '하울의 움직이는 성' 에서 보여지는 후라이팬 요리 장면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후라이팬 두툼한 베이컨과 달걀만을 익히는 간단한 요리인데 그 베이컨 익어가는 모습에 베이컨 기름으로 계란들이 타닥타닥 익어가는 모습을 보면 정말 식욕을 돋우죠. 오죽했으면 일부러 그런게 먹어보는 사람들까지 있었을까요. 여러분도 한번 찾아보시고 한번 드셔보시길 바랍니다. 이 균형잡히지 않은 식사로 인한 콜레스테롤 수치 상승은 제가 책임지지 않으므로 적당히 드시길 권장합니다. 우리 후라이팬 그려야죠.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후라이팬 그리기


  Step 1. 납작하고 넓은 육면체와 길쭉한 육면체를 그려서 원기둥으로 만듭니다. 납작하고 넓은 원기둥은 후라이팬이 될 것이고 길쭉한 원기둥은 손잡이가 될 것입니다.


  Step 2. 납작한 원기둥에 기울기를 주고 안을 뚫어서 형태를 만듭니다. 손잡이의 형태도 대략적으로 만듭니다.


  Step 3. 후라이팬의 두께, 손잡이의 연결 나사 등 디테일한 부분을 만들면서 형태를 정리합니다.


  Step 4. 간략한 명암을 넣고 마무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후라이팬도 이전 사물의 기초 연습 때 기본 형태를 그렸었죠. 다시 어느 정도 정돈된 형태의 후라이팬을 그리는데 1년 정도의 시간이 흘렀네요. 그 때 사물의 기초 편을 보시던 분들은 엄청 기다리셨겠죠. 앞으로도 기다릴 일이 많으시겠지 여유롭고 너그러운 마음으로 함께 해주시길 바랍니다.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월요일은 사물 그리기 중 주방용품을 그리는 날입니다.


 사람은 날카로운 손톱과 송곳니가 없습니다. 그래서 초기 인류가 수렵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육식동물과 같은 사람만의 발톱이 필요했겠죠. 그렇게 칼이라는 것이 등장했다고합니다. 등장한 칼은 육식동물의 것처럼  자르고, 베고, 찌르는 것에 확실했습니다. 다만 용도가 사냥과 음식 섭취에만 한정되지 않았고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됩니다.

 



 오늘은 식칼을 그려보겠습니다. 현대에 이르러 칼이 가장 많이 쓰이는 곳은 주방이 아닐까 싶어요. 그러니까 요리칼이죠. 식칼도 단순히 식칼에서 끝나지 않고 여러가지로 세분화되어있죠? 찾아보니까 기본 식칼이 있고 육류, 어류, 야채, 과일 등등 식재료나 식재료의 부위마다 각각 다른 생김새의 칼을 사용하더라구요. 요리 만화 많이 보시죠? 요리 만화보면 자세하고 재밌게 접하실 수 있을겁니다. 식칼 그려볼게요.

     

<준비물>




 식칼 그리기


  Step 1. 식칼의 형태인 납작하고 길쭉한 직사각형으로 시작합니다. 그리고 앞쪽의 칼날 부분과 손잡이 부분으로 나누어 손잡이 부분을 육면체 형태로 그립니다.


  Step 2. 칼날의 뾰족한 형태, 손잡이의 형태를 대략적으로 그립니다.


  Step 3. 칼날과 손잡이의 외곽선을 정리합니다.


  Step 4. 간략한 명암을 넣고 마무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식칼을 그릴 때 도움이 될만한 것이 있습니다. 제가 그린 것 중에 공구 그리기에서 톱 그리기를 했던 적이 있었는데 그리는 방식이 비슷합니다. 둘 다 날, 그러니까 직선으로 이어지는 도구 부분 그리고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형태라서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한번 보시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여기까지 하고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월요일은 사물 그리기 중 주방용품을 그리는 날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식사를 할 때는 꼭 국이나 찌개류가 따라오죠? 저도 다른 반찬 없이 국만으로도 식사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서양에서는 스프 종류라고 할 수 있네요. 오늘은 이런 요리들을 1인용 그릇에 옮겨 담기 위한 배분용 도구를 그려보겠습니다. 

 



 오늘은 국자를 그리겠습니다. 국자를 소개할 때 단순히 음식을 옮겨 담는 도구로 소개했는데 실제로 국자는 종류가 여러가지죠. 정확히는 모르지만 국자에서 국용, 조림용 같이 조리에 따라 분류되는 것과 크기 별로 차이가 있기도 합니다. 잡히는대로 사용하는 저는 뭐가 뭔지 모르겠네요. 요리를 해야 이런 것도 알고 할텐데 요리 좀 공부해야겠어요. 그림만 그리기도 바쁜데 공부할 것이 자꾸만 늘어나네요. 이제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국자 그리기


  Step 1. 국자의 음식을 담는 부분과 손잡이로 나누어 육면체와 선으로 방향과 위치를 잡습니다.


  Step 2. 국자의 담는 부분의 형태를 둥글게 다듬어 그립니다. 손잡이의 형태도 단순하게 스케치합니다.


  Step 3. 국자의 두께와 각진 부분을 좀 더 부드럽게 그리면서 선을 정리합니다. 


  Step 4. 간략한 명암을 넣고 마무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도구에 손잡이가 있는 형태로 생각하자면 스푼이나 포크와 비슷하지만 스푼, 포크는 손잡이로 이어지는 굴곡이 크진않았어요. 물론 국자 중에도 손잡이가 일자로 달려있는 경우도 있겠지만 제가 그린 국자에서는 국자와 손잡이의 각도가 조금 많이 빗겨나가고 있기 때문에 손잡이의 방향을 따로 잡아서 그려주시는게 좋겠습니다. 방향은 다르지만 투시는 유지를 해야겠죠. 말이 어렵습니다. 말이 어려울 때는 보고, 형태를 이해하고, 그냥 그리는게 오히려 쉬울 수도 있어요. 그리는 방법에는 정도가 없죠. 즐겁게 그려보시길 바랍니다.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