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오늘은 식물 그리기 그 중에서 여러가지 잎을 그려보는 날 입니다. 


 혹시 산에서 밤이나 도토리를 주으러 다녀본적 있으세요? 햇빛이 비치지만 나무들이 잘 가려서 살짝 어두워진 산 깊은 골짜기로 들어가면 낙엽이 수북이 쌓여 발목까지 차오르곤 했습니다. 한참을 바스락 거리며 낙엽소리를 듣다보면 낙엽사이로 하나씩 도토리나 밤송이가 눈에 띕니다. 그것들을 차곡차곡 모아서 약밥이나 도토리묵을 해서 먹으면 정말 맛있죠. 그러다 가끔 딴 생각을 하게 되요. 여러가지 잎들과 열매들이 뒤섞여 바닦에 널려 있으니까 어느 잎이 어느 열매랑 짝인거지? 라는 생각을 말이죠. 그러다 답이 안나오면 고개를 들고 나무 위를 보고 확인하기 시작합니다. 너무 숙이고 있으면 허리가 아픕니다. 


 오늘 그려볼 잎은 떡갈나무 잎 입니다. 도토리가 나오는 나무 중 하나입니다. 쌍떡잎식물에 참나무 목 참나무 과의 식물이라는 떡갈나무는 앞의 그림처럼 잎 모양이 물결 모양입니다. 그것도 잔잔한 물결이 아닌 출렁되는 물결모양입니다. 그리고 떡갈이란 이름이 잎이 두꺼워서 생긴 이름이라고 합니다. 재밌네요. 떡갈나무의 영어이름이 눈에 띄는데요. Oak 오크. 어디서 들어본 것 같지 않으세요. 판타지 종족 말고 목공예나 가구 좋아하시는 분들은 아마 이 이름을 들어보셨을 것 같아요.  튼튼한 목질 덕분에 가구에서 악기까지 다양하게 쓰인다고 합니다. 그러면 설명은 여기까지하고 이제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떡갈나무 잎 그리기


  Step 1. 중심선을 긋고 물결모양의 범위까지 생각한 타원을 그립니다. 이 때 끝이 넓고 아랫부분으로 올수록 좁게 그립니다.


  Step 2. 잎맥 선을 긋고 선에 맞게 물결모양을 그립니다.


  Step 3. 선을 정리해주고 잎맥과 잎모양에 맞게 명암을 넣어줍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출렁거리는 잎을 바로 그려도 상관없지만 그렇게 되면 좌우대칭을 맞추기 힘들겠죠? 최소한의 범위를 설정한다는 생각으로 타원으로 잎의전체적인 모양세와 크기를 가늠하시면 그리는데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오늘은 식물 그리기 그 중에서 여러가지 잎을 그려보는 날 입니다. 


 잎의 형태는 식물이 살아가는 환경에 많은 영향을 받아 지금의 형태에 이른다고 들었습니다. 대표적으로 날씨에 영향을 받은 형태들이 있죠. 아무래도 너무 더우면 수분이 빨리 증발해버릴테고, 너무 추워도 건조하고 수분손실이 있습니다. 완전히 정확한 이야기는 아니지만 예전에 책에서 혹은 다른 매체를 통해 들었던 이야기입니다. 오늘 그려볼 잎은 사시사철 푸르지만 춥고 건조한 지역에서 적응하는 잎입니다.


 오늘 그려볼 잎은 솔 잎 입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소나무의 잎입니다. 소나무는 겉씨식물 구과식물목에 속해 있다고 합니다. 우리 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침엽수죠? 애국가에 나오는 철갑을 두른 나무, 십장생 중에 하나로 장수를 상징하기도 합니다. 목질이 좋아서 가구나 집을 지을 때도 자주 사용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분명 침엽수는 추운 지역에서 적응하기 위해 잎이 뾰족한 걸로 알고 있었는데... 북부 고원지대를 제외하고 1,600m 이하에서 주로 서식한다는 소나무들... 우리나라 소나무라서 그런가?? 갑자기 혼란이 찾아왔습니다. 다음에 다른 침엽수들을 그릴 때 알아봐야겠어요. 다른 침엽수도 정말 추운 곳에서는 살지 않는건지... 뭐가 찝찝하네요. 이제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솔 잎 그리기


  Step 1. 솔잎 들은 2-3개 씩 뭉쳐서 자란다고 합니다. 가지끝에 2개씩 선을 묶음으로 그어서 솔잎이 그려질 방향을 잡습니다.


  Step 2. 각 선에 맞춰 끝 부분만 뾰족한 솔잎의 형태를 그립니다. 


  Step 3. 잎대와 가지, 잎의 형태를 좀 더 묘사하고 명암을 넣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잎들이 하나하나 얇아서 명암을 넣을 것도 없죠? 솔잎 하나만 그렸다면 이번 시간이 너무 빨리 끝날 것 같아서 여러 개의 솔잎이 뭉쳐져 있는 그려보았습니다. 그게 더 보기에도 좋아보입니다.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오늘은 식물 그리기를 하는 날 입니다. 


 여러 가지 형태의 식물 잎을 그려보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넓은 원 형태를 가진 잎을 그려보려고 합니다.


 오늘 그려볼 잎은 연 잎 입니다. 연꽃은 속씨식물 문, 쌍떡잎식물 강, 미나리아재비 목의 식물이라고 합니다. 저는 원래 연꽃과 수련을 같은 종으로 생각하고 있었는데 수련은 수련 목으로 따로 분류되네요. 이 둘을 구분하는 방법 중에 하나가 잎이 다르다는 것입니다. 수련은 잎이 수면에 맞닿아 떠 있고 오늘 그려볼 연꽃은 물 위로 잎대가 올라와 잎이 자란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 잎을 따서 연 밥을 해서 먹으면 향이 좋겠죠.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연 잎 그리기


  Step 1. 연 잎의 기본 형태인 원형을 그립니다. 거의 정원에 가깝게 그렸습니다.


  Step 2.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잎맥을 그어줍니다. 이 때 연잎의 끝부분의 올록볼록 접히는 부분도 생각해봅니다.


  Step 3. 가장자리의 잎모양을 그리면서 외곽을 정리해주고 간단한 명암을 넣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잎맥의 명암을 넣으실 때는 맥의 방향에 맞춰 그려주시면 좀 더 자연스러워질 것입니다. 아마 지금이 8월이니까 연꽃이 한창일 때가 아닐까 생각된네요. 휴가가 끝났지만 그래도 주말을 이용해 연꽃을 감상하러 가보시는게 어떨까요? 가신 김에 연잎밥으로 배도 채우고 편안한 한 때를 보내실 수 있을거예요.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화요일은 식물 그리기를 하는 날 입니다. 


 지난 시간 창 형태의 대나무 잎을 그렸습니다. 만족스럽지는 않지만 그려보았고 오늘은 잎의 가장자리가 톱날 형태로 되어있는 잎을 가지고 있는 나뭇잎을 골라서 그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그려볼 잎은 느티나무 잎 입니다.  속씨식물 문, 쌍떡잎식물 강, 쐐기풀목 목 이라고 검색해보니 나오네요. 검색할 때 마다 느끼지만 뭔가 생물적으로 비슷한 것이 있으니까 분류를 했겠지만 외형적으로 의외인 경우가 많습니다. 쐐기풀목이라니... 느티나무는 한국, 일본, 중국, 몽골, 시베리아 유럽 등지에서 자란다고 합니다. 주로 동쪽에서 몰려 더위보다는 추위에 강해보입니다. 지구온난화가 지속되면 사라지게 되지는 않을지 벌써부터 걱정을 해봅니다.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느티나무 잎 그리기


  Step 1. 중심 잎맥을 그리고 길쭉한 타원형을 그립니다.


  Step 2. 중심잎맥을 스케치하고 잎맥을 대칭이 되도록 그립니다.


  Step 3. 가장자리의 톱날형태의 잎모양을 그리면서 외곽을 정리해주고 간단한 명암을 넣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이제 알게 되었는데 중심의 잎맥에서 가장자리로 뻗어나가는 잎맥을 측맥이라고 한다네요. 곁맥, 옆맥이라고도 하는 것 같은데 지식은 파면 팔수록 자꾸 다른게 나오네요. 오늘은 여기쯤에서 묻어놔야겠습니다.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화요일은 식물 그리기를 하는 날 입니다. 


 지난 시간부터 식물 그리기 시간에는 잎사귀를 그리고 있어요. 둥근 타원형의 감나무 잎을 그려보았고 오늘은 뾰족한 창 형태를 가진 나뭇잎을 그려보겠습니다.


 오늘 그려볼 잎은 대나무 잎 입니다. 이왕 그림을 계속 그릴거면 공부도 조금씩 해봐야겠습니다. 대나무는 외떡잎식물이네요. 그리고 신기한 사실 한 가지. 대나무는 벼 목 대나무아 과에 속한다는 사실 대나무가 벼랑 어느 정도 같은 뿌리를 두고있었네요. 저도 예전에 대나무는 나무가 풀에 더 가깝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는 것 같은데요. 역시 사람이나 나무나 겉만 보고 판단하면 안될 것 같습니다.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대나무 잎 그리기


  Step 1. 중심 잎맥을 그리고 끝을 뾰족하게 길쭉한 잎의 형태를 그립니다.


  Step 2. 대나무의 잎맥은 세로형이니까 약간의 간격을 두고 잎맥을 그리고 중심맥과 형태를 다듬습니다.


  Step 3. 외곽 형태를 마지막으로 다듬어주고 잎맥이 모이는 잎의 양 끝을 중심으로 명암을 넣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식물 명암의 팁 하나가 나온 것 같습니다. 단순히 명암을 넣는다는 것 보다 무엇(어디)을 중심으로 명암을 뿌려나가는가 입니다. 잎에서는 잎맥을 중심으로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이 나타나죠. 오늘 팁은 여기까지만 하고 다른 때 또 다른 생각이 나오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