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화요일 식물 그리기 중 과일을 그리고 있습니다.


 지난 5주 동안에는 주로 우리나라에서 친숙한 과일 위주로 그려보았습니다. 배는 서양배였지만 바나나, 딸기, 포도, 수박 까지 제삿상에 올려도 될 정도의 친숙함을 가진 과일이었는데요. 오늘은 최근 우리나라에서 증가하기 시작한 열대과일입니다.

 



 오늘 그려볼 과일은 아보카도입니다.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녹나무과의 상록수인 아보카도 입니다. 일단 나무에서 자라는 과일은 확실하고 남아메리카가 원산지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보카도 오일, 크림처럼 화장품으로도 알려져있지만 원산지에서는 샌드위치나 샐러드 등 여러가지 요리에 많이 사용된다고 하죠. 우리나라에서도 최근에는 여러나라의 독특한 음식문화나 식재료가 인기를 끌었는데 그 중 아보카도도 한몫한 것 같습니다. 아보카도를 처음 접하면 아시겠지만 이게 무슨 맛인가? 맛이 있는지 없는지 모르겠다라는 느낌을 받는 분들이 계실거예요. 그러다가 다른 요리에 곁들여 먹어보면 부드러운 식감과 고소함이 함께 어우러진다고 하죠. 저도 생과일로 한입 먹고선 이건 이렇게 먹는게 아니야라고 단호히 했던 그맛. 여러분은 맛있게 요리해서 혹은 요리를 맛보시길 바랍니다. 저는 그림이나 그려야죠.

     

<준비물>




 아보카도 그리기


  Step 1. 아보카도의 형태는 호리병 형태입니다. 기본 큰 동그라미와 작은 동그라미로 호리병 형태를 만들고 씨앗이 있는 안쪽 부분도 그려보기 위해서 하나를 더 그려보겠습니다.


  Step 2. 외부 형태를 다듬고 잎사귀도 하나 달아보겠습니다. 그리고 씨앗이 있는 부분을 그려넣고 껍질의 두께도 대략적으로 표현합니다.


  Step 3. 아보카도는 겉껍질이 울퉁불퉁해요. 그래서 선을 정리하면서 울퉁불퉁한 표면을 그림자 영역까지만 표현하겠습니다. 씨앗을 둘러싼 과육 부분도 살짝 표현합니다.


  Step 4. 간단한 명암을 넣고 마무리 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아보카도를 악어배라고도 한다고합니다. 울퉁불퉁한 겉모습 때문이겠죠. 동물 그리기에서 악어를 그렸었는데 악어 비늘을 모두 표현하기가 힘들어서 그림자 영역을 나누어 밝고 잘 보이는 부분 위주로 그렸었는데 거의 다 그렸었죠? 아보카도의 울퉁불퉁한 겉면도 그렇게 어두운 부분을 생각해서 생략해서 그리면 간결한 표현이 가능하겠습니다.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화요일 식물 그리기 중 과일을 그리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도 지난 시간의 딸기처럼 풀처럼 바닥에서 자라는 과일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나는 가장 큰 과일 중 하나입니다.

 



 오늘 그려볼 과일은 수박 입니다. 쌍떡잎식물 박목 박과의 한해살이풀로 큽니다. 보통 수박만하다고 하면 엄청 크다는 의미죠. 덩쿨로된 줄기가 길게 늘어지며 바닥에서 퍼져나가듯 자랍니다. 그 모습을 생각하니 호박과 비슷한 것 같습니다. 박과 라는 것이 이번에는 이해가 가네요. 영어로는 워터멜론이니까 서양 사람들은 멜론을 먼저 본 것이 확실한 것 같습니다. 조금 놀라운 것은 수박이 워낙 흔하게 보여서 아시아 지역이 원산지라고 생각했는데 원산지가 아프리카라고 합니다. 신기하네요. 참고로 아파서 몸에 기력이 없고 밥을 먹기 힘들 때 수박을 먹는 경우가 있습니다. 수분과 당분을 어느 정도 쉽게 보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인데요. 병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이제 그려볼께요.

     

<준비물>




 수박 그리기


  Step 1. 수박입니다. 다른 것 필요없이 크게 동그라미로 시작하겠습니다. 수박 꼭지와 수박 조각도 밋밋하니까  생각해보겠습니다.


  Step 2. 비치발리볼 아시나요? 알록달록한 공이요. 그 공 처럼 원을 여러 등분해서 수박의 줄무늬를 그릴 기준을 정해서 줄무늬를 그립니다. 수박 조각에는 껍질과 속을 구분하고 씨앗을 배치합니다. 


  Step 3. 수박의 외곽을 명확하게 정리해주면서 전체적으로 디테일하게 스케치합니다.


  Step 4. 줄무늬를 칠하고 간단한 명암을 넣어 마무리 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수박을 그릴 때 어려운 점은 딱히 없어 보이지만 줄무늬를 그릴 때 기준선을 제대로 잡지 못하면 수박의 둥근 느낌이 살지 못하고 납작하게 변해버릴지도 몰라요. 둥글게 줄무늬를 그릴 기준선을 먼저 그리거나 생각하시고 줄무늬 그리시면 좀 더 편할 것 같습니다.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화요일 식물 그리기 중 과일을 그리고 있습니다.


 바나나, 포도 같은 송이 과일들을 그렸고 이번에는 풀떼기에서 자라는 풀 과일을 그려볼까 합니다. 그중에서도 바나나와 더불어 우유에 갈아먹으면 맛있는 과일 중 하나입니다.

 



 오늘 그려볼 과일은 딸기 입니다.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장미목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 딸기입니다. 지난 주 포도가 생강목에 속한다는 이야기에 이게 무슨 일인가 했는데 이번에는 딸기가 장미목, 장미과라고 합니다. 이게 도대체 무슨 일입니까? 장미가 언제부터 이렇게 맛있었나요? 이런 이야기는 매번 있는 일이었으니까 넘기겠는데 딸기는 다른 것으로도 이목을 끌고 있습니다. 딸기의 겉면을 보면 신기한 점이 보이죠? 씨가 겉에 붙어있어요. 이런 딸기를 수과의 일종이라고 설명하고 있는데 수과의 내용으로는 열매가 익어도 껍질이 갈라지지 않는 과일이라고 나옵니다. 무슨 말인지는 몰라도 수과가 맞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딸기가 앞에 주어진다면 신기한 것 따위는 생각나지 않습니다. 지금 먹지 않으면 남들이 다 먹어버리니까 말이죠. 개인적으로 흰우유를 제외하면 바나나 우유 -> 딸기 우유 -> 초코우유 순으로 좋아합니다. 오늘도 쓸데없네요.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딸기 그리기


  Step 1. 딸기는 기본적으로 삼각형의 형태입니다. 그래도 딸기 위의 꼭지도 그려야 하니까 단순한 꼭지의 영역을 그려둡니다.


  Step 2. 이제 대략적인 딸기의 형태와 꼭지, 겉면의 씨앗 위치를 대충 그립니다. 


  Step 3. 전체적인 모습을 깔끔하게 정리해서 스케치합니다.


  Step 4. 간단한 명암을 넣고 마무리 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딸기의 씨앗을 그리다보면 마치 파충류 그리기에서 비늘을 그리는 느낌이 드는데요. 딸기에도 명암이 있기 때문에 그림자의 경계를 기준으로 씨앗을 그려주셔도 무방하겠습니다. 힘든데 벌써부터 다 그리지 않아도 됩니다.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화요일 식물 그리기 중 과일을 그리고 있습니다.


 지난 시간 송이? 다발로 달려있는 신기하고 맛있는 바나나를 그렸습니다. 오늘도 송이송이에 상큼한 맛이 일품인 과일을 그려볼께요.

 



 오늘 그려볼 과일은 포도 입니다. 속씨식물, 쌍떡잎식물, 갈매나무목 포도과에 속하는 덩쿨식물. 이것이 포도에 대한 소개입니다. 포도가 그냥 나무에 달린다는 이야기도 있었고 토마토 처럼 풀에 달린다는 이야기도 있었지만 나무 특히나 덩쿨나무에서 자라나는 과일이었네요. 포도 과수원을 가면 포도 나무의 덩쿨이 올라갈 수 있게 거치대들이 중간중간 세워져 있어서 그 거치대들을 타고 넓게 퍼져있는 포도덩쿨을 볼 수 있습니다. 

 상큼하고 달콤한 맛으로 과육을 그대로 먹거나 쥬스로 가공해서 마시기도 하고, 유럽이나 아메리카 쪽에서 나는 포도는 포도주로 만들어서 마시기도 하죠. 저도 포도를 좋아하지만 안에 들어있는 씨앗 때문에 조금은 귀찮아하기도 합니다. 그려볼께요. 

     

<준비물>




 포도 그리기


  Step 1. 포도알을 하나씩 그려나갈 수도 있지만 우선 포도알이 달리는 영역을 설정합니다.


  Step 2. 포도알을 앞쪽에 있는 알부터 크기를 생각해서 설정하고 그 뒤로 겹쳐지는 포도알의 위치와 크기를 대략적으로 그립니다.


  Step 3. 포도알과 줄기의 선을 정리하며 깔끔하게 그립니다. 그리고 명암을 설정합니다.


  Step 4. 간단한 명암을 넣고 마무리 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지난 시간 바나나처럼 위 아래의 과일이 겹쳐져지는 명암이 있겠지만 포도는 포도알이 너무 촘촘하고 많죠? 자세하게 명암을 넣는다면 하나하나 겹쳐지는 명암을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우선은 포도 송이 전체의 입체적인 명암을 먼저 칠해준 후에 밝은 부분의 포도알들에 대한 명암을 넣는 것이 좀 더 편하고 효과적이겠습니다.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오늘은 식물 그리기를 하는 날입니다.


 과일 그리기  두 번째 시간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배를 그렸었는데 배는 흔히 우리가 과일이라고 부르는 일반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동그란 과일 하나에 과육 안에 씨앗이 몇 개 있는 형테죠. 사과, 감, 배가 대표적이겠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동그란 과일이 아닌 다른 형태의 과일을 그려볼께요.

 



 오늘 그려볼 과일은 바나나 입니다. 속씨식물, 외떡잎식물, 생강목? 파초과 바나나속에 속하는 바나나입니다. 바나나는 생강목이네요. 식물들은 정말 닮지 않는 경우가 많네요. 바나나의 형태를 보면 길쭉한 과일이 다발형태로 달려있습니다. 바나나의 둥글게 꺾여있는 형태와 무게를 생각하면 바나나가 아래를 향하게 메달려있을 것 같지만 사진을 찾아보시면 바나나의 끝이 하늘을 향한 상태로 메달려 있는 모습을 보입니다.

 7-80 년대만 하더라도 가장 비싼 과일 중 하나였지만 어느새 우리에게 가장 익숙하며 무난하게 먹게된 열대과일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바나나가 싸졌다기 보다는 우리나라의 경제력이 성장한 까닭이겠죠. 그리고 온난화가 점점 진행되면서 얼마전 대구에서 바나나가 달린 경우도 있었죠. 현재 제주도에 국내산 바나나가 나온다는데 얼마 안돼서 한국에서 바나나가 수출되는 일이 일어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그림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바나나 그리기


  Step 1. 바나나의 다발 전체 형태를 간단하게 그린후 하나하나의 바나나 외형를 단순하게 그립니다.


  Step 2. 바나나의 각진 부분, 끝부분, 껍질 부분 이렇게 안쪽 부분을 간단히 그립니다.


  Step 3. 선을 정리하면서 바나나 꼭지, 껍질의 두께, 끝부분을 조금 더 자세히 그립니다.


  Step 4. 가장 위에 있는 바나나의 명암을 기준으로 아래에 겹쳐지는 바나나들의 명암을 단순하게 그립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바나나의 휘어짐이 그다지 심하지 않아서 뭔가 평평해보입니다. 바나나가 가짜 같아 보이네요. 바나나같이 다발이나 송이로 이루어진 과일들은 명암이 겹쳐져서 나타납니다. 가장 위에 위치한 것 부터 차례로 명암을 넣어나가야겠습니다.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