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이번 시간은 동물들을 그려보는 시간입니다.


 사람들은 식생활을 위해서 오래전부터 가축을 사육했습니다. 처음에는 개, 말, 양, 소 등 그렇게 기들이기 쉬운 동물들부터 하나씩 곁에 두기 시작했죠. 하지만 일부 동물들은 쉽게 길들여지지 않았고 지금까지 자신들만의 영역을 만들며 생존하고 있습니다. 물론 그 영역은 많이 줄어들었지만요. 이런 활동은 육지에서 한정된 것이 아니라 바다에서도 양식이라는 형태로 바다 목장들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얼핏 대부분의 생선들이 환경만 갖춰지면 양식에 성공할 것 같지만 어류들 중에도 여전히 인간의 손을 타면 오래 살지 못하는 종들이 있습니다. 오늘은 양식은 없고 자연산 100%로 인간들에게 영양소를 공급해주는 어종들 중 하나를 그려보겠습니다. 



 오늘 그려볼 어류는 대구 입니다. 입이 커서 대구입니다. 경골어류 강, 대구 목, 대구 과. 자신의 종을 대표하는 물고기네요. 같은 대구 목에 익숙한 이름의 명태도 속해 있습니다. 둘다 추운 겨울 탕이나 국으로 끓이면 맛있는 종이네요. 아무래도 겨울에 주로 포획이 되고 알래스카 등 추운 곳에 주로 살기 때문에 겨울에 더 신선한 것 같아요. 대구는 이름 그대로 아래턱이 좀 더 튀어나와 입이 크고 입만큼 눈도 큽니다. 양식이 안된다고 하는데 이유는 모르겠어요. 수온이나 활동영역이 문제인걸까요? 어쨌든 길들여지지 않는 자유로운 물고기 대구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대구 그리기


  Step 1. 몸통이 머리쪽이 굵고 꼬리쪽으로 가면서 얇아집니다. 타원을 그에 맞게 그립니다. 지느러미 위치,형태도 삼각형으로 그려둡니다.


  Step 2. 머리부터 눈, 입, 아가미, 지느러미, 몸의 간단한 형태를 그립니다.

 


  Step 3. 선을 다듬어주고 비늘, 지느러미, 눈 등 부분부분 묘사를 합니다. 배가 희고 등으로 갈수록 점점 어두워 지도록 명암과 무늬를 간단히 넣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확실히 조금씩 선선한 날씨가 되니까 따뜻한 국물이 있는 음식이 조금씩 떠오르네요. 요즘 계속 날씨 이야기가 곁들여지는데, 그렇습니다. 저는 겨울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추운걸 싫어하거든요. 겨울이 오면 이불 속으로 들어가서 나오지 않을겁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다음 시간에 만나요.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이번 시간은 동물들을 그려보는 시간입니다.


 번식이라는 것은 생물에게 삶의 이유 중 하나일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떠한 상황에서도 번식해서 더 건강한 개체를 낳기위해 여러가지 모습으로 진화를 해왔습니다. 그 중에는 성별을 바꾸거나 성별이 필요없어도 번식이 가능한 자웅동체같은 성질을 가진 동물들도 있다고 합니다. 인간 입장에서 보면 정말 놀라운 일이 아닐수 없습니다. 일어나보니 아빠가 엄마라니 이게 무슨...


 그래서 오늘 그려볼 어류는 클라운피쉬 입니다. 우리말로는 흰동가리 라고 합니다. 경골어류에 속하는 클라운피쉬는 농어목, 자리돔 과에 속하는 어류입니다. 이전에도 농어목에 속한 물고기가 자주 나왔던 것 같은데 농어는 도대체 어떤 물고기인지 관심이 가기 시작하네요. 오늘은 우선 클라운피쉬부터 더 알아보겠습니다. 앞서 자웅동체에 대해서 잠시 언급을 한 이유가 클라운피쉬 때문입니다. 클라운피쉬도 대표적인 자웅동체 어종으로 수컷이 암컷으로 변한다고 합니다. 호르몬의 변화로 인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무리에서 암컷이 죽을 경우 수컷이 번식을 위해 암컷으로 성전환이 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니모 아빠는 원래 수컷입니다. 언제 새엄마로 바뀔지 모르지만 원래 아빠가 맞다는 이야기죠. 자, 출생의 비밀 이야기는 여기까지 하고 그려보겠습니다.보겠습니다.


<준비물>




 클라운피쉬 그리기


  Step 1. 몸통을 위한 원형을 그립니다. 원형이 넓적합니다. 클라운피쉬의 대표적인 특징인 지느러미도 도형으로 위치만 잡아줍니다.


  Step 2. 머리부터 눈, 입, 아가미, 지느러미, 몸의 간단한 형태를 잡아줍니다. 몸의 흰무늬가 들어갈 부분도 그립니다.


  Step 3. 선을 다듬어주고 비늘, 지느러미, 눈 등 부분부분 묘사를 합니다. 마지막으로 가볍게 명암을 넣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클라운피쉬 외에도 감성돔이나 놀래미, 달팽이 등이 성전환의 대표적 동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새우는 혼자서 번식도 한다고 합니다. 수컷이었다가 알을 가지면서 암컷으로 변한다고 합니다. 신기하고 놀랍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다음 시간에 만나요.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찰리입니다. 


 이번 시간은 동물들을 그려보는 시간입니다.


 어류 그리기 6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바다가 아니라 강. 민물에 사는 물고기입니다. 그 넓은 바다를 놔두고 굳이 인간들이 사는 30%의 대지에서 흐르거나 고인물에 사는 아주 친숙한 물고기 중 한 종입니다. 갑자기 생각난 추억이 있는데 아주 예전 물고기는 바다나 민물이나 상관없다고 생각해서 키우던 금붕어를 바다에 방류했던 한 친구가 생각나네요.


 그래서 오늘 그려볼 어류는 붕어 입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대표적인 민물어종입니다. 그런데 종은 잉어목, 잉어과 에 속해있습니다. 잉어를 그릴 걸 그랬나 잠시 고민했습니다. 민물 그중에서도 하류처럼 물이 흐름이 잔잔한 곳에 주로 서식한다고 합니다. 각종 요리와 보양식으로 알려진 붕어를 이제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붕어 그리기


  Step 1. 몸통을 위한 원형을 그립니다 머리쪽은 조금 넓게 꼬리쪽은 좁은 원형입니다. 그리고 꼬리와 머리를 위한 삼각형을 그립니다. 얼굴비율이 조금 다른 어종에 비해 작은 듯 합니다. 


  Step 2. 머리부터 눈, 입, 아가미, 지느러미, 몸의 간단한 형태를 잡아줍니다.


  Step 3. 선을 다듬어주고 비늘, 지느러미, 눈 등 부분부분 묘사를 합니다. 마지막으로 가볍게 명암을 넣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비늘은 몸 전체에 걸쳐 다 그릴 수도 있지만 전체적으로 있다는 느낌만 들 정도로 그려주셔도 좋습니다. 주로 명암이나 색깔의 경계부분을 중심으로 그려서 퍼져나가듯이 그려주시면 되겠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다음 시간에 만나요.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이번 시간은 동물들을 그려보는 시간입니다.


 동물 그리기. 그중에서도 어류를 그리고 있습니다. 육지에 비해 바닷속은 아직도 밝혀지는 해양 생물과 환경으로 가득차 있다고 합니다. 일부 과학자들 중에는 우주의 신비 보다 바다가 더 신비하다는 분들도 있다고 합니다. 자기 분야라서 그런 것일 수도 있지만 우주에 대해서는 조금씩 매년 밝혀지고 있지만 신기하게도 해저세계에 관해서는 싶게 밝혀지지 않은 것들이 아직도 많기 때문일 것입니다. 아직도 미지의 영역인 저 깊은 바닷속에는 도대체 무엇이 있을까요?


 그래서 오늘 그려볼 어류는 가오리 입니다. 일반적인 물고기들에 비해 마치 외계인의 UFO를 닮은 외형. 바닥의 모래 속에 숨어서 자신의 몸색을 변화시키는 위장 능력. 모든 것이 일반 물고기와는 차이가 있습니다(어릴 때는 그렇게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렇게 생긴 어류가 꽤 있죠.). 이름 가오리 영어로 Ray. 연골어류의 홍머목의 총칭. 그러니까 홍어가 두목인가요? 역시 지독한 놈이 두목이네요. 저는 홍어는 잘 못 먹어서 그렇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특산 별미 중 하나죠. 일부 가오리들 중에는 독이든 가시가 있다고 하니까 혹시나 가오리를 만나게 되시는 분들은 정확한 정보를 습득하셔서 조심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이제~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가오리 그리기


  Step 1. 가오리의 몸을 위에서 보았을 때 마름모와 꼬리 부분으로 나누어 그립니다.  가운데 부분에서 몸통 부분이 툭 튀어 올라오도록 형태를 잡아줍니다. 


  Step 2. 지느러미, 꼬리, 몸통의 형태를 스케치하고 눈의 위치를 그립니다.


  Step 3. 전체적인 형태를 다듬어 묘사해주고, 간단한 명암을 넣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가오리 눈을 보고 있는데 귀여워서 못 그릴 뻔 했습니다. 마치 예전 대전 엑스포에서 만난 꿈돌이의 눈망울이 생각나네요. 가오리도 워낙 종류가 다양하니까 아마도 다시 그리게 될 날이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워낙 매력적인 동물이니까요.


 다음 시간에 만나요.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이번 시간은 동물들을 그려보는 시간입니다.


 동물 그리기. 그중에서도 어류를 그리고 있습니다. 4주가 지났는데 벌써 조금씩 지치는 느낌이 듭니다. 워낙 체력이 저질이라 금방 지치네요. 뭔가 힘이 날만한 것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그래서 몸보신으로 제격이라는 어류를 그려볼까합니다. 못 먹는거 그려나보자입니다.


 오늘 그려볼 어류는 장어 입니다. 시작부터 몸보신을 들먹이며 시작했지만 장어에 대해 조금은 알아보고 입맛을 다셔야 겠죠. 장어는 다른 어류들처럼 경골어류에 속합니다. 시작해보겠습니다(경골어류 강). 그리고 갯장어, 붕장어, 뱀장어 각각의 목과 과로 분류가 되어있네요(뱀장어 목, 뱀장어 과 이렇게요). 길다고 해서 장어인 장어는 우리에게 여름철 보양식으로 알려져있죠? 저도 좋아합니다. 특히 양념구이와 소금구이처럼 구이를 좋아합니다. 다들 좋아하시는 모습이 눈에 선합니다. 그런데 먹장어라는 녀석이 따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다같은 장어인데 왜 혼자 떨어져있나 했더니 먹장어는 어류가 아니랍니다.ㅎㄷㄷ. 신기하네요. 이제 본업으로 돌아가볼까요?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장어 그리기


  Step 1. 장어는 뾰족한 머리와 길쭉한 몸통을 생각하며 그려주시면 됩니다. 삼각형 머리에 몸통은 휘어지는 원기둥이겠지만 평면이니까 직사각형을 잘 휘어가며 그려주면 되겠죠. 꼬리 끝부분도 삼각형으로 그렸습니다.


  Step 2. 이제 날카로운 입과 눈, 아가미 쪽을 대충 스케치하고, 지느러미의 형태도 만들어봅니다.


  Step 3. 눈, 입, 지느러미, 아가미를 중심으로 묘사를 합니다. 몸통에 점선같이 띠가 있는데 묘사가 가능하시면 간단히 그려보셨으면 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명암.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돕은 종이 안에 우겨 넣다보니 장어가 많이 짧아졌는데요. 장어는 머리만 잘 그리면 몸통 부분은 어떻게든 그려나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날씨가 선선해지려면 시간이 더 지나야 할 것 같은데 다들 장어 그리면서(못 드시는 분도 계실테니) 힘내시길 바랍니다.


 다음 시간에 만나요.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