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수요일입니다. 동물 그리기, 파충류를 그리고 있습니다.

 

 파충류의 첫 번째는 앨리게이터, 카이만 이렇게 악어 들로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이번 시간에는 악어처럼 네 발을 사용해서 이동하는 작은 파충류를 그려보겠습니다.

 



 오늘은 도마뱀을 그려보겠습니다. 척삭동물, 파충류, 뱀목, 도마뱀과의 동물입니다. 우리 나라에서도 발견되지만 주로 조금 따뜻하다고 생각되는 곳에서는 어디든 살아가는 것 같습니다. 태국이나 베트남 같은 동남아 쪽으로 가면 건물 벽면을 힘차게 뛰어다니는 이녀석들을 심심치 않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도마뱀하면 생각나는 것이 그렇게 빨라도 위험하면 자기 꼬리를 끊어버리고 간다는 점인데요. 그렇게 꼬리가 끊어지면 새로운 꼬리가 자라나서 신기해했던 기억이나네요. 어릴 적 도마뱀을 잡아보겠다고 나뭇가지로 건드렸다가 꼬리가 끊어져서 자책했었는데 일부러 그런거더라구요. 이제는 안 속습니다.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도마뱀 그리기


  Step 1. 머리, 몸통을 원형으로 그리고 목, 다리, 꼬리 등의 크기와 위치를 대략적으로 그립니다.


  Step 2. 얼굴 형태를 간단하게 그려주고 눈의 위치, 고막의 위치를 정합니다. 다리, 발 형태를 간략하게 그립니다. 그리고 비늘의 영역을 선으로 나눠놓습니다.


  Step 3. 선을 정리하면서 눈, 얼굴, 다른 몸 부위들을 깔끔하게 정리해서 그립니다. 그리고 비늘을 명암을 생각해서 그려줍니다. 


  Step 4. 설정해둔 명암을 간략하게 넣고 마무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지금까지 나온 파충류들의 머리를 보면 주로 윗면이 평평하게 보입니다. 그래서 조금만 위나 대각선으로 바라보면 눈이나 입이 잘 보이지 않아요. 하지만 보이지 않아도 눈이나 콧구멍, 고막 등은 항상 대칭을 이루고 그 위치에 있을 것 입니다. 어렵네요. 안보이는 것도 생각해야 할까요? 어쨌든 평평하고 맨질맨질한 머리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다음 시간에 만나요.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이번 시간은 동물들을 그려보는 시간입니다.

 

 악어하면 공룡들이 살던 시대부터 무시무시한 악력으로 파충류 계의 한 획을 그어온 동물입니다. 그런데 왠일일까요? 악어에 대해 찾아보다보면 다른 동물들에게 먹히거나 당하는 악어의 모습을 생각보다 쉽게 볼 수 있었습니다. 재규어에게 먹히고, 뱀에게 먹히고, 하마에게는 이빨 구멍도 뚫리고 심지어 수달떼에게 사냥당하는 악어. 언제부터 이렇게 동네북였는지 모르겠지만 악어가 마냥 강한 이미지만 있다는 것은 아니란 것을 알았습니다. 이번에도 악어 종류를 그려볼텐데 지금까지 생각하던 악어의 다른 면을 보여줄 악어입니다.

 



 오늘은 카이만을 그려보겠습니다. 척삭동물, 파충류, 악어목, 앨리게이터과, 카이만아과의 동물입니다. 지난 시간의 앨리게이터에서 분류된 악어네요. 다른 악어 종에 비해 몸집과 주둥이가 작고 온순해서 큰 동물보다는 작은 동물이나 물고기 등을 주로 먹이로 삼습니다. 그 중에서도 오늘 그려볼 드워프 카이만은 카이만 중에서 작은 종으로 다 자라도 1.5미터 정도가 최대 크기로 알려져 있습니다. 작은 건 아닌데 일단 악어 치고는 작은 편이죠. 작고 온순한 편에 생각보다 귀여운 외모를 가졌다면 사람들은 애완용으로 키우는 경우가 생기죠. 카이만 악어도 애완용으로 사육이 가능한 몇 안되는 악어 종입니다. 굳이 잘 살고 있는 아이를 데려다 키우려는 이유는 모르겠지만 귀여워 보이긴 합니다.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카이만 그리기


  Step 1. 머리, 몸통을 원형으로 틀을 잡고 주둥이, 발, 꼬리 부분의 크기, 위치를 대략적으로 정합니다.


  Step 2. 입, 눈의  형태, 발 모양, 몸통의 형태를 대략적으로 그립니다.


  Step 3. 몸의 울퉁불퉁한 형태, 눈, 입, 발의 형태를 좀 더 자세하게 그립니다.


  Step 4. 명암을 간단하게 넣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제가 그린 아이는 카이만의 새끼 때 모습인 것 같아요. 저 모습 그대로 1미터 이상 자란다면 그것대로 경계해야하지을까 생각됩니다. 지난 앨리게이터처럼 악어 비늘, 피부의 경우 울퉁불퉁한 표현을 하나하나 자세하게 표현하기는 힘들테니까 눈과 명암을 기준으로 적당히 표현 후 생략하셔도 좋겠습니다.


 다음 시간에 만나요.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이번 시간은 동물들을 그려보는 시간입니다.

 

 곤충 그리기에 이어서 파충류 그리기로 10주를 떼워보겠습니다. 파충류를 선택하고 생각해보니 파충류의 종은 많은데 형태적으로 특징있는 녀석들로 구분하기도 힘들었습니다. 암만 생각해도 뱀, 악어, 거북, 도마뱀... 이렇게 생각하니까 10주간은 어려울 것 같았습니다. 그래서 큰 분류에서 조금만 더 나누어 10마리의 파충류를 선별했어요. 그러니까 지금 그리는 파충류들은 저에게 있어서는 파충류 베스트 10인 셈이죠. 여전히 대충 그리는 그림이지만 이번 시리즈도 잘 부탁드립니다. 이제 시작할께요.

 



 오늘은 앨리게이터를 그려보겠습니다. 앨리게이터라고 있어보이는 이름으로 시작했지만 보시는 대로 악어입니다. 악어는 척삭동물, 파충류, 악어목의 동물입니다. 그 중에서 다시 앨리게이터 과로 나눠집니다. 그리고 흔히 우리가 알고 있는 악어는 크로커다일이죠. 크로커다일 원피스에 나오죠. 둘다 악어인데 다른 악어일까요? 저도 어릴 때는 지역에 따라 이렇게 나눠진다고만 생각했는데 앨리게이터와 크로커다일은 다른 종류였습니다. 차이점을 알려드리자면 우선 몸집이 크로커다일이 더 큰 편입니다. 물론 앨리게이터 중에서도 큰 아이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중요한 차이가 입모양의 차이입니다. 크로커다일의 경우 뾰족한 입 형태에 입을 닫았을 때 아래쪽 네번째 이빨이 보인다고합니다. 입모양이 울퉁불퉁한 것이죠. 반면에 앨리게이터는 입 모양이 뭔가 좀 평평하다고 할까요? 크로커다일에 비해 넓직한 입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사는 곳도 크로커다일은 주로 아프리카, 일부 아시아의 하천에 살지만 앨리게이터가 사는 곳은 북아메리카 지역이 주요 서식지 입니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차이. 영화에 주로 등장하는 것은 앨리게이터입니다. 미국 악어의 대부분은 앨리게이터니까요. 이제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엘리게이터 그리기


  Step 1. 머리, 몸통을 둥근 타원 형태로 먼저 그리고 발, 입, 꼬리, 다리를 단순한 형태로 그립니다.


  Step 2. 입의 형태, 눈의 위치, 목, 다리의 형태와 발가락들, 꼬리의 형태를 대략적으로 그려나갑니다.


  Step 3. 몸의 울퉁불퉁한 형태, 주름, 피부 의 묘사를 좀 더 자세하게 그립니다.


  Step 4. 이정도 그리면 명암은 간단하게 넣어도 상관없겠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이전에도 이야기했던 부분이지만 대상의 질감이 너무 많다면 명암의 경계를 기준으로 묘사를 간단하게 넣는 것이 효과적으로 그리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보이는 대로 최대한 질감을 그려주는 것도 자신의 취향에 따라 그려도 상관 없습니다. 저도 생략을 가끔 어려워하는 편이라서 우선은 맘껏 양껏 그려보아도 좋겠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다음 시간에 만나요.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이번 시간은 동물들을 그려보는 시간입니다.

 

 사막이라는 곳은 사람이 살기 힘든 지구 상의 극한 지역 중 하나입니다. 고대 이집트는 그런 사막에 세워진 문명이라는 점과 특유의 건물, 문화로 인해 사람들에게 신비로운 곳으로 비춰집니다. 물론 다른 문명들도 각각 특이하고 신비한 점이 많았지만 오늘은 사막이야기 그 중에서 미이라라는 영화에서 조금만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미이라(1999), 미이라2(2001)로 이어지는 나쁜 미이라와 맞서 싸우는 액션 스릴러 영화입니다. 미이라라는 존재는 고대 이집트에서 유명한 장례풍습이죠?. 죽은 사람의 장기를 모두 꺼내어 항아리에 따로 보관하고 나머지신체를 붕대로 꼭꼭 감아 썩지않게 방부처리하는 것이죠. 그런데 이 미이라는 대부분 왕족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거대한 피라미드를 무덤으로 그 속에 잠들어 있었습니다. 피라미드 무덤 곳곳에는 저주와 관련된 문자 등이 발견되고 왕의 미이라를 찾아내는 동안 많은 사람들이 죽음을 맞이합니다. 그런 이야기가 소문이 나면 사람들은 이야기를 만들어냅니다. 그렇게 미이라는 한 시대를 대표하는 몬스터로 이름을 알리게 됩니다. 이런 이야기 재밌어요. 무서운건 싫은데 이야기는 재밌어요. 이 영화의 미이라는 고대 이집트의 주술사로 공주를 사랑했다가 살아있는 채로 미이라로 만들어집니다. 스포가 됐네요. 이제 이 미이라가 부활하면서 주인공이 맞서 싸우게 됩니다. 뻔한 스토리지만 제가 아는 미이라 영화 중에는 가장 재밌게 봤던 영화입니다. 미이라 몬스터 영화를 좋아하시는 분들에게는 가볍게 추천해볼만한 영화입니다. 

 



 오늘은 전갈을 그려보겠습니다. 절지동물, 거미 류의 동물입니다. 전갈은 곤충처럼 절지동물에 포함되어 있지만 곤충은 아닙니다. 거미류 거미랑 더 가깝다는 말인가봐요. 다리가 8개. 집게, 꼬리에 독침까지 뭔가 신비한 동물입니다. 주로 사막에 살면서 각종 게임, 영화 등에서도 주요한 몬스터로 자주 등장 하죠. 사실 앞서 영화 이야기를 한 것이 미이라2에서 등장하는 스콜피온 킹이 멋있었다는 이야기를 하기 위해서 였습니다. 스콜피온 킹. 배우 드웨인 존슨이 연기하면서 따로 스콜피온 킹이라는 영화가 나오기도 했는데 드웨인 존슨의 액션이 잘 나타나는 영화라고 생각합니다. 오늘은 그림이야기 보다 영화 추천에 더 가깝네요. 전갈.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전갈 그리기


  Step 1. 몸통, 큰 집게, 꼬리로 나누어서 그립니다.


  Step 2. 집게부터, 몸의 마디, 꼬리의 마디, 다리를 나누어 대략적으로 그립니다.


  Step 3. 각 부분의 울퉁불퉁한 부분과 눈, 다리의 각진  부분을 깔끔하게 정리해서 그립니다.


  Step 4. 간단하게 명암을 넣고 마무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전갈은 몸통의 마디가 많은 것을 제외하면 사슴벌레 그리기처럼 그려도 될듯 보입니다. 다리도 꼬리도 있네요. 집게도 있고요. 자꾸 늘어나네요. 처음부터 디테일하게 그리지 않고 평소에 그리듯이 부분적으로 단순한 형태로 그려나가면 되겠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다음 시간 새로운 동물그리기도 돌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이번 시간은 동물들을 그려보는 시간입니다.

 

 한창 곤충을 그리고 있습니다. 대체식량에서 여름 방학 까지 곤충에 대한 이야기를 해었는데요. 이번에는 곤충을 꼬득이는 방법, 채집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곤충을 끌어들이는 방법은 어떻게 보면 쉽습니다. 왜냐하면 여름만 되면 싫어도 알아서 벌레들이 꼬여들죠. 그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주로 벌레들은 과일, 단 것을 좋아합니다. 곤충들이 단 것을 얼마나 좋아하냐를 알 수 있는 점이 초파리죠. 설탕물에 랩을 씌어놔도 초파리 자연발생설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다시 돌아와서 여름의 숲속으로 갑니다. 그리고 꿀물은 비싸니까 설탕물을 헝겁같은 천에 적셔서 나무에 붙여놓습니다. 그리고 기다려보죠. 조금만 지나면 온갖 아이들이 나타나서 설탕물을 핥느라 정신 없는 모습을 보입니다. 꽤 깊은 숲속이라면 풍뎅이나 사슴벌레 처럼 평소에 보기 힘든 곤충들도 볼 수 있을 겁니다. 주의할 것이 집 근처에서 하면 집벌레들도 함께 나타나서 엄마에게 등짝을 내줘야 할 수 있으니 주의합니다. 이 방법은 주로 여름철 방법이죠. 겨울에는 땅 속 혹은 썩은 나무에서 잠자고 있는 곤충들의 번데기를 찾아야 하는데 솔직히 찾기 힘들거예요. 춥기도 하고 말이죠. 자, 여기까지 곤충을 소환하는 방법을 다 알고 있는 사실들만 이야기 해보았습니다. 뭔가 쓸데없어 보이네요.



 오늘은 사슴벌레를 그려보겠습니다. 곤충, 딱정벌레 목, 사슴벌레 과 입니다. 지지난주의 장수 풍뎅이와 함께 곤충 파이터 계에 양대산맥이라고 할 수 있는 곤충이죠. 전세계에 약 1000여종이 있고 크기도 다양하지만 사슴뿔같은 커다란 턱이 있으니까 위협적인 곤충임에는 틀림없습니다. 앞서 이야기처럼 1-3년 동안 습한 썩은 나무나 땅 속에서 살다가 성충이 되면 나무 수액, 과일 즙 등을 주로 먹으면서 채식 특히나 물 위주의 식단으로 살아갑니다. 보면 코끼리나 고래도 그렇고 정말 힘이 있는 존재들은 겸손한 식사를 즐기는 것 같습니다. 이제 그려볼께요.


<준비물>



 사슴벌레 그리기


  Step 1. 머리, 가슴, 배까지 납작한 직육면체와 같은 형태로 그립니다. 집게 턱의 형태도 간략히 그립니다.


  Step 2. 머리, 가슴, 배, 턱 부분의 구분을 나눠주고 다리의 마디도 간략히 그립니다.


  Step 3. 전체적인 형태를 좀 더 자세하게 선을 정리하면서 그립니다.


  Step 4. 간단하게 명암을 넣습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딱정벌레 목인 사슴벌레를 그릴 때는 납작하게 육면체 형태처럼 보여서 사물그리기에서 가구를 그릴 때 처럼 투시를 잘 사용하면 그림을 그릴 때 도움이 되겠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할께요.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