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수요일입니다. 동물 그리기, 파충류를 그리는 날입니다.

 

 2주간 거북 종류를 그려보았습니다. 육지에 사는 대표적 거북. 갈라파고스 거북이와 바다의 대표 바다거북을 그려보았고 이번 시간에도 거북을 그릴텐데 뭐랄까 독한 녀석입니다.


 오늘 그려볼 파충류는 자라입니다. 척삭동물, 파충류강, 거북목, 자라과에 자라입니다.  지난 시간에 잘못되었다고 할까 생각해봐야할 이야기가 있었는데요. 용궁으로 토끼를 데려간 거북이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이 이야기의 제목이 별주부전으로 중,고교 문학에도 자주 나오는 이야기죠? 맞나요? 어쨌든 이 별주부를 한자어로 풀이해보면 자라입니다. 자라 별(鼈) 그러니까 용왕의 명으로 토끼간을 받으러간 것은 거북이 아니라 자라였던 것이죠. 그런데 제가 아는 자라는 성격이 이야기처럼 온순하지 않거든요. 자라는 기본적인 거북들에 비해서 재빠른 동작으로 작은 동물들을 사냥하는 꽤나 무서운 동물입니다. 실제 자라였다면 소설 속 토끼는 첫 대면에서 죽음을 맞이하였을 것입니다. 소설에서는 별주부와 토선생 크기가 거의 비슷하죠. 충분히 위험한 상황인겁니다. 여러분 자라 조심하세요. 거북이로 오인해서 손을 함부로 놀리면 안됩니다. 거북이도 위험할 때가 있지만요.오늘도 쓸데없는 이야기 많이 했습니다. 이제 그려볼께요.

     

<준비물>



 자라 그리기


  Step 1. 역시나 다른 거북들처럼 등딱지부터 타원으로 그려보겠습니다. 다른 거북들보다 더 납작한 등딱지입니다. 그리고 머리와 발의 크기와 위치를 정합니다.


  Step 2. 머리의 형태, 다리의 형태, 등딱지의 형태를 대략적으로 그립니다.


  Step 3. 머리에서 눈과 코의 형태를 만들어주고 발의 모양과 등딱지의 굴곡을 그리면서 전체적인 외형의 선을 정리합니다.


  Step 4. 명암을 간략하게 넣고 마무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머리만 봐도 다른 거북이들과는 확연히 차이가 있습니다. 뭔가 코가 코끼리같기도 하고요. 등딱지 역시 차이점이 있는데 다른 거북들과 달리 맨들맨들해 보입니다. 영어명이 Soft-shelled Turtle 부드러운 등딱지 거북입니다. 딱딱하게 보호되는 등딱지가 아니기 때문에 부드러운 형태를 하고 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렇다고 말랑하지는 않습니다만... 그리고 보통 방어를 잘 안 한다는 것은 육식동물일 가능성이 높다는 거겠죠?


 다음 시간에 만나요.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수요일입니다. 동물 그리기, 파충류를 그리는 날입니다.

 

 지난 시간 장수하면 떠오르는 거북 중에서 육지 거북 그 중에서도 갈라파고스 땅거북이를 그려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도 이어서 거북을 그려보겠습니다.

 



 오늘 그려볼 파충류는 바다거북입니다. 척삭동물, 파충류강, 거북목, 바다거북과. 이번에는 제대로 찾았나봅니다. 크기는 지난 시간의 갈라파고스 땅거북과 비슷하지만 바다거북과의 거북들은 대부분 크기가 큰편입니다. 단 등껍질의 몸 길이가 길고 큰 것이지 실제 무게로 따지자면 오히려 땅거북 쪽이 더 크다고 할 수 있겠네요. 제가 그린 거북은 바다거북이지만 영어명으로는 그린 터틀로 불리는 종입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바다 거북은 이 거북이를 가리키는 것이죠. 물고기의 지느러미같은 발, 매끄러게 생긴 납작하고 둥근 등껍질에 유선형 머리. 어딜봐도 바다에 살기 좋은 형태로 보입니다. 용궁으로 토끼를 데려갔다는 그 거북으로 볼 수 있는데 요즘은 바다에 떠다니는 쓰레기를 먹이로 착각해서 곤혹을 겪는다는 뉴스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아직 우리는 바다로 나가보지도 못했는데 이미 오염시키고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다같이 잘 살 수 있는 세상이 오면 좋겠네요. 거북이도 인간도 다른 생물들도 말이죠. 이제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바다거북 그리기


  Step 1. 지난 시간처럼 등껍질의 형태를 기준으로 하겠습니다. 바다거북은 납작한 타원형으로 시작하겠습니다. 그리고 머리, 발의 크기와 위치를 잡아보겠습니다.


  Step 2. 둥근 머리, 눈과 입의 위치, 등껍질, 지느러미같은 발 등 대략적인 형태를 만들어갑니다.


  Step 3. 등껍질이 나눠지는 부분과, 눈과 입, 발 주변의 비늘을 그립니다. 이때 그림자 영역을 생각해서 밝은 부분 위주로만 그립니다. 


  Step 4. 명암을 간략하게 넣고 마무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등껍질을 보면 확실히 지난 시간의 땅거북이와 구분이 가죠? 땅거북 육지거북은 주로 정원에 가까운 형태, 물에 가깝거나 물에 사는 거북일수록 타원형의 납작한 형태에 가까운 등껍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차이점으로 구분을 하거나 머리모양의 차이를 생각하시면 그림으로 그릴 때 조금은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다음 시간에 만나요.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수요일입니다. 동물 그리기, 파충류를 그리는 날입니다.

 

 지금까지 만난 파충류들은 날렵하거나 강인하거나 혹은 생김새라도 성질있게 보였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뭔가 순하고 짠하기도 하고 장수의 아이콘으로 불리는 동물입니다.

 


 오늘 그려볼 파충류는 육지거북입니다. 척삭동물, 파충강, 거북목, 남생이과에 속하는 것은 갈라파고스땅거북이고 육지거북 육상거북들은 주로 육지에서 생활하는 거북들의 총칭으로 보입니다. 따로 레오파드 육지거북나 호스필드 육지거북처럼 육지거북으로 부르는 경우도 있는데 땅거북은 따로 땅거북과가 있었습니다. 이럴 때 참 난감한데요. 육지거북으로 소개하려했는데 육지거북이라고 따로 분류된 것은 찾지 못했습니다. 어쨌든 육지에 사는 거북들 그 중에서 갈라파고스 땅거북을 참고했는데 알고보니 갈라파고스라는 말 자체가 거북이라는 뜻이라고 하더라구요. 다윈의 이야기를 하면 매번 등장하는 이 거북이가 괜히 갈라파고스의 명물인 것이 아니었습니다. 아직 종의 기원 읽어보지 않았는데  괜히 반가운 마음에 읽어보고 싶네요. 뭔가 급하게 이야기를 끝냈습니다. 그려보겠습니다. 

     

<준비물>



 육지거북 그리기


  Step 1. 거북이하면 등껍질이죠. 크고 둥근 등껍질을 위해 반구의 형태를 그립니다. 그리고 목과 다리의 위치를 그립니다.


  Step 2. 머리, 눈, 다리 형태를 대략적으로 그립니다. 등껍질이 어떻게 나눠지는지 대략적으로 구분합니다.


  Step 3. 등껍질과 머리, 다리를 정리해서 그리면서 다리와 머리 일부분의 비늘을 밝은 부분 위주로 그립니다.


  Step 4. 명암을 간략하게 넣고 마무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악어나 도마뱀 그릴 때 보다 확실히 생각하기 쉽게 그려지는 것 같아요. 아무래도 등껍질이라는 정확하고 변하지 않는 기준이 있어서일까요? 그림자에 맞게 비늘도 간결하게 표현이 되는 것 같아요. 물론 다른 방향이나 거북의 내부를 그리게 되면 또 어떻게 될지 모르겠지만 기본적으로 등껍질에 맞추어 그려나가다 보면 거북의 형태를 좀 더 쉽게 그릴 수 있겠습니다.  

 

  다음 시간에 만나요.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수요일입니다. 동물 그리기, 파충류를 그리는 날입니다.

 

 지난 시간 포악한 얼굴을 하고 초식동물 행세를 하는 이구아나를 그렸습니다. 오늘은 맹한 표정으로 곤충의 천적을 자처하는 파충류 만나보겠습니다.

 



 오늘 그려볼 파충류는 카멜레온입니다. 이름 카멜레온, 척삭동물, 파충류, 뱀목에 속하는 도마뱀입니다. 따로따로 움직이는 크고 맹한 눈과 화살처럼 뻗어나가는 긴 혀를 가지고 먹이를 사냥하는 포식자입니다. 예전에 제가 한번 그렸어요. 동물 대충 그리기를 할 때 파충류 그리기로 카멜레온을 그렸었는데 지금하고 달라진 점이 없습니다. 그때 대충 그리진 않았나봐요. 어쨌든 카멜레온의 발을 보면 레고 손처럼 쥘 수 있게 생겼는데 이게 생각보다 앙증맞도 귀엽습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점 주변색에 따라 몸 색깔을 변화 시키죠. 이것을 바탕으로 역반사패널 같은 기술이 발전하는게 아닌가 싶어요. 신기합니다. 이제 그려볼까요. 

     

<준비물>



 카멜레온 그리기


  Step 1. 예전에 그렸었는데 그리는 방법이 비슷합니다. 얼굴은 삼각형을 기본으로 하고 몸통은 만두모양? 반달 모양을 기본으로 하면 되겠습니다. 거기에 다리와 꼬리의 위치와 크기를 설정합니다.


  Step 2. 머리형태를 잡으면서 눈을 대략적으로 그립니다. 몸통의 형태와 이어지는 다리형태, 발가락을 대략적으로 그립니다. 꼬리는 롤리팝 캔디처럼 말려있는 형태를 기본으로 대략적으로 그립니다.


  Step 3. 이제 전체적으로 디테일하게 그립니다.  선을 정리합니다.


  Step 4. 무늬와 명암을 간략하게 넣고 마무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카멜레온은 다른 파충류에 비해 형태가 꽤 분명하게 나눠져있어서 그리기 좋은 동물일 것입니다. 머리의 돌기는 목과 몸의 접합부를 가리고 있어서 떨어뜨려 그리기 좋고 발의 모양도 다른 파충류에 비해 단순한 편이죠. 꼬리도 편리하게 말려있습니다. 참 귀엽고 그리기 좋은 동물이 아닐 수 없어요. 여러분도 한번 그려보세요. 오늘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다음 시간에 만나요.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찰리입니다. 


 수요일입니다. 동물 그리기, 파충류를 그리는 날입니다.

 

 이번 시간에도 네 발로 다니는 파충류 그려보겠습니다. 겉모습만 보면 지난 시간의 도마뱀보다 성질이 좋아보이지 않지만 생각 보다 온순한 초식 파충류 친구입니다. 

 



 오늘 그려볼 파충류는 이구아나입니다. 척삭동물, 파충류, 뱀목, 이구아나과입니다. 원래 고향은 아메리카 지역이네요. 일종의 대형 도마뱀으로 몸길이가 2미터 가까이까지 자란다고 합니다만 실제로 보면 절반이상이 꼬리입니다. 그리고 머리부터 꼬리쪽까지  촘촘하고 날카로운 등 비늘? 갈기가 돋아있는데 이런 모습만 보면 한 성격 할 것 같아보입니다. 하지만 이 친구 새싹이나 과일 등을 주식으로 하는 초식 동물에  가깝습니다. 육식을 해봐야 곤충 정도라고해요. 바닷가에 사는 이구아나들도 있는데 이녀석들도 해조류에 이끼를 뜯어먹고 살아갑니다. 성격도 온순하죠. 보통 이런 성격에 초식까지하면 사람들은 자기들 집에 데려다 섬기기 시작하죠. 이미 오래전부터 우리나라에서 애완용으로 이구아나를 키우는 경우가 많습니다. 동물을 키울 때는 책임감이 중요하죠? 이왕 이구아나 님들 섬기고 계신 분들 끝까지 잘 부탁드립니다. 이제 그려볼께요.

     

<준비물>



 이구아나 그리기


  Step 1. 이구아나는 이런 자세로 배를 바닥에 붙이고 앉아있는 모습이 많아보입니다. 그래서 삼각형 형태를 기본으로 머리쪽과 다리, 꼬리 부위의 형태와 위치를 설정합니다.


  Step 2. 얼굴 형태, 눈, 몸통, 다리, 발가락, 꼬리, 등의 갈기 형태를 간략하게 그립니다.


  Step 3. 전체적인 부위를 디테일하게 그립니다. 등의 갈기도 그리고 몸통의 비늘, 무늬도 간단하게 그립니다.


  Step 4. 얼굴과 다리의 비늘, 줄무늬와 명암을 간략하게 넣고 마무리합니다.


 영상으로 보겠습니다. 



 지난 시간까지의 악어나 도마뱀에 비해 비늘의 디테일을 많이 줄여서 그렸어요. 도마뱀만큼 확대되지도 않았고 악어처럼 비늘 면적이 넓지도 않았구요. 이럴 땐 줄무늬와 명암 위주로 그리면 되겠습니다. 얼굴 쪽에는 눈을 중심으로 꽤 뚜렷한 비늘이 보이니까 이쪽을 중심으로 그리면 되겠습니다.


 다음 시간에 만나요.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